일본의 GD 운영제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생산 측면에서의 효과

2. 소비 측면에서의 효과

3. 국제적인 측면에서의 효과

본문내용

진보성의 요소를 띠고 있는 작품의 경우에는 가산점이 있음).
가. 기본요소(Design Basic)
1) 심미성
2) 우수함
3) 독창성
4) 안전성
5) 기능 및 사용 용이도
6) 사용환경과의 조화
7) 책정가격의 타당성
나. 우수성(Design Excellence)
1) 디자인 개념과 표현의 일치도
2) 디자인개념의 우수성
3) 사용자 편의도모 정도
4) 해법(解法)의 정확도
5) 총제적인 디자인
6) 생태학적인 요소
7) 제품 라이프사이클의 적절성
8) 제품의 성숙도
9) 가격 외적인 가치
10) 제품의 구성도
다. 진보성(Progressiveness)
1) 창조성
2) 기능과 해법의 선도성(leadership)
3) 조직적인 삶의 형태를 선도하는 정도
4) 새로운 삶의 형태를 제시하는 정도
5) 일본 주체성(identity)에의 기여도
6) 현 사회에의 기여도
7) 인류에의 기여도
4. 시상내역(세부내역 : <표> 참조)
가. 대상(Good Design Grand Prize) : 최우수 제품 및 설비
나. 금상(Good Design Gold Prize) : 각 부문별 최우수 제품 및 설비
다. 유니버설 디자인상(Universal Design Prize) : 각 부문별 복지면에서 우수한 제품 및 설비
라. 인터액션 디자인상(Interaction Design Prize) : 사용자의 편의측면에서 디자인된 각 부문별 우수 제품 및 설비
마. 사회 디자인상(Ecology Design Prize) : 사회와 환경과의 조화측면에서 개발된 작품들 중에서 부문별 우수 제품 및 설비
<표> 제41회 선정제 세부내역
1. 선정
가. 분야별
구 분
출품
선정
선정율
분야별
총선정대비
A
스포츠·레저용품
165
58
35
6.88
B
가정용 미디어 장비
245
120
48
14.25
C
일상용품 및 의류
353
104
29
12.35
D
주방용품
190
41
21
4.86
E
실내장식용품
165
52
31
6.17
F
주거용품
197
76
40
9.08
G
사무기기용품
245
55
22
6.55
H
교육용품
60
15
25
1.78
J
건강용품
107
42
39
4.98
K
정보통신용품
187
73
39
8.66
L
산업기자재
237
90
37
10.68
M
자동차류
158
52
32
6.17
N
공공용품
111
35
31
4.15
P
설비
104
29
27
3.44

2,524
842
33
*
나. 국가별
(단위 ; 개)
국 가 명
선정작
비 고
1
일본
784
주최국
2
독일
20
3
미국
12
4
덴마크
6
5
이태리
4
6
한국
3
LG 전자전화기 외
7
싱가포르
3
8
스웨덴
2
9
영국
2
10
프랑스
2
11
오스트레일리아
1
12
스위스
1
13
스페인
1

842
2. 시상내역
(단위 : 개)
구 분
작품
비고
1
대상(Good Design Grand Prize)
1
2
금상(Good Design Gold Prize)
15
3
유니버설 디자인상(Universal Design Prize)
4
4
인터액션 디자인상(Interaction Design prize)
5
5
사회 디자인상(Ecology Design prize)
1
6
해외작품상(Good Design Prize for Foreign Products)
14
LG
수상
7
중소기업상(Good Design Prize for Product of SM Enterprises)
22
8
장기판매특별상(Special Prize for Long-selling Good Design
Products)
78
[첨부#2]
1957년부터 매년 우수 디자인을 선정해 온 Good Design 선정제도는 1998년 4월 명칭을 "Good Design Award"(우수디자인상)로 변경했습니다.
우수디자인상(GDA, Good Design Award)이란 공식적으로 유일한 디자인 평가제도로서 기업의 디자인 개발능력을 촉진시키고자 한다.
이 시상제도에 응모한 작품 및 출품자들에게는 조직 내에서 디자인된 그들의 제품이 객관적으로 평가받는 기회가 부여되는 것이다. 아울러 시상결과의 발표를 통해 국제 디자인 제분야에서의 신경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G-Mark를 획득한 제품은 그 우수성에 대한 사회적 인증과 신뢰를 더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우수디자인상의 획득은 그 제품의 디자인과 질에 대한 엄격한 평가의 결과치를 말해주는 것이며, 나아가 그 제조업체의 경영방식과 제품 개발능력에 대한 우수성을 인정한다는 의미이다.
특히 중소기업체에 있어 G-Mark의 의미는 그 업체의 사회적 위상과 신뢰도를 제고해주는 촉진제와도 같다.
G-Mark는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높은 인지율과 수용성을 갖고 있다. 즉, 그들에게 있어서 G-Mark는 제품의 스타일과 디자인에 있어서의 우수함 뿐 아니라, 품질의 우수성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G-Mark는 제조업자(체)와 소비자 사이의 신뢰와 결속을 디자인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창출해 낼 뿐 아니라, 디자인을 통한 세계의 어울림을 촉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997년의 예를 들면, 894개사에서 2,524점을 출품하여 412개사의 842점이 선정되었다(단, 해외 출품작 111점 중 선정 58점 포함). 즉, 총선정율 33%인 한편 해외출품작의 선정율은 52%에 이르고 있다.
특히 1991년, 1992년 및 1994년의 대상은 미국, 덴마크, 스웨덴의 출품작들이었다.
1. 주 최 : 재단법인 일본산업디자인진흥회(JIDPO)
2. 일 정 : 가. 응모 - 1998. 7. 1(수) ∼ 17(금) 단, 도착분에 한함
출품에 관한 세부사항은 첨부 참조
나. 심사(단, 출품자는 응모작을 각 심사장으로 운송해야 함)
- 1차 : 1998. 8. 19(일) ∼ 20(월) Tokyo Big Sight 전시장
출품작은 심사 후 8. 20(월) ∼ 21(화) 위 전시장에서 일반에게 공개됨
- 2차 : 1998. 8. 19(일) ∼ 20(월) Tokyo 패션 전시홀
다. 시상 - 1998. 10.30(금)
3. 대 상 : 산업상 생산된 모든 분야의 전 제품(단, 일본 내에서 시판 중이 거나
특정일 내 판매 예정일 것)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05.30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3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