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arete 개념의 형성과 관점
Ⅲ. 국가의 비유와 나타난 arete
Ⅳ. 맺음말
Ⅱ. arete 개념의 형성과 관점
Ⅲ. 국가의 비유와 나타난 arete
Ⅳ. 맺음말
본문내용
다."509b 그러나 이러한 선의 형상의 실체에 대한 초월성 내지 우월성은 완전한 대상인 형상들 사이에서 또 다시 완전성의 정도의 차이를 설정해야 하는 어려움에 부닥친다. Field는 이 차이를 "실재하는 대상 자체 사이에 성립하는 상이한 차원이라기 보다는 그들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있어서의 상이한 차원일 가능성이 있다."25)
고 한다.
이는 여타의 형상과 선의 형상 사이에 실제적으로는 완전성의 차이가 없으나, 플라톤 자신의 특정한 의욕이 그런 차이를 낳았음을 시사한다. 즉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윤리학의 과업을 이어받아 인간 행위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을 마련하려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선의 형상의 여타의 형상에 대한 우월성을 요청26)
한 것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확립된 善은 플라톤에게 있어서도 "모든 영혼이 추구하고, 또 그 때문에 모든 것을 행하게 되는 것"505d-e이며, 이와 같은 것을 모른다면, 올바른 것들과 아름다운 것들이 도대체 어떤 점에서 가치있는 것들인지 알려지지 않은"506a 기준이며 본인 것이다. 즉 선의 형상의 우월성의 요청에 의하여, 인간 행위를 포함한 세계 일반에 관한 일원론적인 해석이 가능해진다.
Ⅳ. 맺음말
사람으로서의 훌륭함에 관한 고찰은 호메로스(homeros) 이래로 모든 시대마다 계속되어 온 것이었다. 그러기에 희랍인들의 역사는 적어도 그 정신사적 측면에서 볼진대 다름아닌 이 사람의 사람다움에 관한 추구 과정으로서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다.
사람의 사람됨을 그들은 언제나 사람다움의 관점에서 평가하려 했다. 참으로 사람의 사람다움이 어떤 것인가는 물론 그 시대에 따라 내용적으로는 달라지게 마련이다. 즉 그 시대가 용기를 필요로 하는 시대이면 그것은 용기이겠고, 정의를 필요로 하면 정의일 것이고, 기술을 필요로 하면 기술일 것이다.
이러한 arete개념에 소크라테스는 윤리적인 의미를 덧붙였으며, 플라톤은 이를 계승하는 한편, 형이상학적으로 정초함으로써 소크라테스가 열망했으나 이루지 못한 윤리학의 절대적 기준을 마련했다. 물론 이러한 작업은 소피스테스들의 윤리적 상대주의 내지 허무주의적 도전에 대한 응답이었다.
본 논문은 arete를 끊임없이 탐구해온 희랍의 정신사에서도 유독 빛나는, 즉 "훌륭히 사는 것, 인간의 진정한 행복내지 안녕 (eu prattein)의 의미에 대한 원천적 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주고자 한 플라톤 철학의 의도가 잘 나타난 그의 『국가』 편을 중심으로 arete개념을 고찰해 보았다.
『국가』편을 통해서 플라톤은 소피스테스들과도 다르고 소크라테스와도 다른 자신의 고유한 arete관을 제시한다. 이는 두 가지 단계로 진행된다. 즉 첫째, 국가와 혼과의 비유를 통한 arete의 탐구이며, 둘째, idea의 관점에서의 arete 탐구가 그것이다.
플라톤은 국가와 영혼의 구조는 똑같이 이성적 부분, 기개적 부분, 욕망의 부분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좋은 국가와 영혼에서 발견되어지는 arete는 이들 부분들의 arete는 이들 부분들의 arete들, 즉 지혜, 용기, 절제와 국가 또는 영혼의 부분들을 조화시키는 역할을 지닌 정의라는 arete, 이 네가지 arete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한편, 국가의 비유를 통한 arete 탐구는 불완전한 것이며, 따라서 플라톤의 arete론은 형이상학적 관점에 이르러서야 완성된다. 형이상학적인 arete의 표현은 '善의 형상'이며, 이를 통해서 플라톤은 세계와 인간 행위를 일관성 있게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즉 그는 세계와 인간(행위)을 선의 일관된 현현으로 본다. 이때 idea론은 그의 고유한 존재론으로서, arete의 개념과 선의 형상 개념의 매개자가 된다.
이상의 작업과정을 통하여 밝혀진 플라톤의 arete개념은 다음과 같다.
1. 『국가』편에서 밝힌 플라톤의 arete는 인간(내지 영혼)의 arete이다.
2. 플라톤 arete는 호메로스의 전통과 소크라테스의 arete의 일정 부분을 계승하고 있으나, 그들과는 다른, 플라톤 자신의 고유한 관점에 입각하고 있다. 플라톤의 arete의 체계는 도덕과 형이상학이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3. 플라톤의 arete 개념은 그 자신의 고유한 존재론인 idea론과 결합함으로써 선의 형상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낸다.
4. 선의 형상이라는 개념은 『국가』편에서 논리적으로 선재하는 본(para-deigma)으로서, 이 대화편의 처음부터 끝까지에 걸쳐서 일관되게 선에 관해서 주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5. 그렇지만 선의 형상 개념은 플라톤의 의욕이 지나친 감이 없지 않다. 즉 요청된 개념이다.
6. 플라톤의 arete개념은 전체의 입장을 한결같이 옹호하고 있다. 그것은 선의 형상에서 완결되는데, 이 선의 형상이 전체를 총괄하는 기능은 실체(ousia)를 초월하여 작용한다.
7. 플라톤이 arete 개념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옹호한 전체론적 관점은 그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요청한 과제였다. 즉 플라톤의 작업은 소피스테스들과의 이론 투쟁의 성격을 띈다.
※ 참고문헌
1. 박종현, 『희랍사상의 이해』, 종로서적, 1982
2. 박종현, 『플라톤』 대학고전총서 2,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3. 최민홍, 『국가론』, 플라톤 전집 1, 상서각, 1973
4. 요한네스 힐쉬베르거, 『서양철학사上』, 강성위 역, 이문출판사, 1988
5. G.C.Field, 『플라톤의 철학(The Philosophy of Plato)』, 양문흠 역, 서광사,
1986
6. F.E.Peters, 『Greek Philosophical Terms』, NewYork University Press, 1967
7. Christoper Rowe, 『An Introduction To Greek Ethics』, The Anchor Press,
1976
8. 김남두, <플라톤의 정의 규정고>, 종로서적-『희랍철학연구』, 1988
9. 노양진, <플라톤에 있어서 이데아론의 기본구조>,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83
10. 이정호, <플라톤의 대화편 폴리테이아 Ⅰ의 분석>, 철학논구 12집, 서울대
학교 철학과, 1984
고 한다.
이는 여타의 형상과 선의 형상 사이에 실제적으로는 완전성의 차이가 없으나, 플라톤 자신의 특정한 의욕이 그런 차이를 낳았음을 시사한다. 즉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윤리학의 과업을 이어받아 인간 행위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을 마련하려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선의 형상의 여타의 형상에 대한 우월성을 요청26)
한 것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확립된 善은 플라톤에게 있어서도 "모든 영혼이 추구하고, 또 그 때문에 모든 것을 행하게 되는 것"505d-e이며, 이와 같은 것을 모른다면, 올바른 것들과 아름다운 것들이 도대체 어떤 점에서 가치있는 것들인지 알려지지 않은"506a 기준이며 본인 것이다. 즉 선의 형상의 우월성의 요청에 의하여, 인간 행위를 포함한 세계 일반에 관한 일원론적인 해석이 가능해진다.
Ⅳ. 맺음말
사람으로서의 훌륭함에 관한 고찰은 호메로스(homeros) 이래로 모든 시대마다 계속되어 온 것이었다. 그러기에 희랍인들의 역사는 적어도 그 정신사적 측면에서 볼진대 다름아닌 이 사람의 사람다움에 관한 추구 과정으로서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다.
사람의 사람됨을 그들은 언제나 사람다움의 관점에서 평가하려 했다. 참으로 사람의 사람다움이 어떤 것인가는 물론 그 시대에 따라 내용적으로는 달라지게 마련이다. 즉 그 시대가 용기를 필요로 하는 시대이면 그것은 용기이겠고, 정의를 필요로 하면 정의일 것이고, 기술을 필요로 하면 기술일 것이다.
이러한 arete개념에 소크라테스는 윤리적인 의미를 덧붙였으며, 플라톤은 이를 계승하는 한편, 형이상학적으로 정초함으로써 소크라테스가 열망했으나 이루지 못한 윤리학의 절대적 기준을 마련했다. 물론 이러한 작업은 소피스테스들의 윤리적 상대주의 내지 허무주의적 도전에 대한 응답이었다.
본 논문은 arete를 끊임없이 탐구해온 희랍의 정신사에서도 유독 빛나는, 즉 "훌륭히 사는 것, 인간의 진정한 행복내지 안녕 (eu prattein)의 의미에 대한 원천적 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주고자 한 플라톤 철학의 의도가 잘 나타난 그의 『국가』 편을 중심으로 arete개념을 고찰해 보았다.
『국가』편을 통해서 플라톤은 소피스테스들과도 다르고 소크라테스와도 다른 자신의 고유한 arete관을 제시한다. 이는 두 가지 단계로 진행된다. 즉 첫째, 국가와 혼과의 비유를 통한 arete의 탐구이며, 둘째, idea의 관점에서의 arete 탐구가 그것이다.
플라톤은 국가와 영혼의 구조는 똑같이 이성적 부분, 기개적 부분, 욕망의 부분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좋은 국가와 영혼에서 발견되어지는 arete는 이들 부분들의 arete는 이들 부분들의 arete들, 즉 지혜, 용기, 절제와 국가 또는 영혼의 부분들을 조화시키는 역할을 지닌 정의라는 arete, 이 네가지 arete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한편, 국가의 비유를 통한 arete 탐구는 불완전한 것이며, 따라서 플라톤의 arete론은 형이상학적 관점에 이르러서야 완성된다. 형이상학적인 arete의 표현은 '善의 형상'이며, 이를 통해서 플라톤은 세계와 인간 행위를 일관성 있게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즉 그는 세계와 인간(행위)을 선의 일관된 현현으로 본다. 이때 idea론은 그의 고유한 존재론으로서, arete의 개념과 선의 형상 개념의 매개자가 된다.
이상의 작업과정을 통하여 밝혀진 플라톤의 arete개념은 다음과 같다.
1. 『국가』편에서 밝힌 플라톤의 arete는 인간(내지 영혼)의 arete이다.
2. 플라톤 arete는 호메로스의 전통과 소크라테스의 arete의 일정 부분을 계승하고 있으나, 그들과는 다른, 플라톤 자신의 고유한 관점에 입각하고 있다. 플라톤의 arete의 체계는 도덕과 형이상학이라는 이중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3. 플라톤의 arete 개념은 그 자신의 고유한 존재론인 idea론과 결합함으로써 선의 형상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낸다.
4. 선의 형상이라는 개념은 『국가』편에서 논리적으로 선재하는 본(para-deigma)으로서, 이 대화편의 처음부터 끝까지에 걸쳐서 일관되게 선에 관해서 주장하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5. 그렇지만 선의 형상 개념은 플라톤의 의욕이 지나친 감이 없지 않다. 즉 요청된 개념이다.
6. 플라톤의 arete개념은 전체의 입장을 한결같이 옹호하고 있다. 그것은 선의 형상에서 완결되는데, 이 선의 형상이 전체를 총괄하는 기능은 실체(ousia)를 초월하여 작용한다.
7. 플라톤이 arete 개념을 확정하는 과정에서 옹호한 전체론적 관점은 그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 요청한 과제였다. 즉 플라톤의 작업은 소피스테스들과의 이론 투쟁의 성격을 띈다.
※ 참고문헌
1. 박종현, 『희랍사상의 이해』, 종로서적, 1982
2. 박종현, 『플라톤』 대학고전총서 2,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3. 최민홍, 『국가론』, 플라톤 전집 1, 상서각, 1973
4. 요한네스 힐쉬베르거, 『서양철학사上』, 강성위 역, 이문출판사, 1988
5. G.C.Field, 『플라톤의 철학(The Philosophy of Plato)』, 양문흠 역, 서광사,
1986
6. F.E.Peters, 『Greek Philosophical Terms』, NewYork University Press, 1967
7. Christoper Rowe, 『An Introduction To Greek Ethics』, The Anchor Press,
1976
8. 김남두, <플라톤의 정의 규정고>, 종로서적-『희랍철학연구』, 1988
9. 노양진, <플라톤에 있어서 이데아론의 기본구조>,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83
10. 이정호, <플라톤의 대화편 폴리테이아 Ⅰ의 분석>, 철학논구 12집, 서울대
학교 철학과, 1984
추천자료
철학자의 사상과 생애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생애)
플라톤의 생애와 플라톤의 국가론에 대한 서평
역사적 위인에 관한 고찰(아리스토텔레스 레오나르도 다빈치 뉴턴 괴테 슈브륄)
신플라톤주의의 역사
하룻밤의 지식여행 - 아리스토텔레스를 읽고
도덕교육 - 아직도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를 기억해야 한다.
연극 미학(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및 노와 가부키)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플라톤적 관점, 조명성, 일자설, 신플라톤 학파, 인식론, 윤리설)
[필독도서][독후감][독서감상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고
[정치학] 아리스토텔레스 독서보고서
플라톤의_인간관완성
[정치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요액과 논평
POLITIKA BY ARISTOTELES -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마키아벨리,홉스,헤겔,마르크스,고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