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 목 : 논어에 관하여
□ 총 페이지수 : 9
□ 목 차:
1. 서 론
2. 본 론
⑴ 학문의 의의
⑵ 학문의 방법
⑶ 학문의 태도
⑷ 학문과 사회 진출
3. 결 론
< 참고 문헌 >
□ 총 페이지수 : 9
□ 목 차:
1. 서 론
2. 본 론
⑴ 학문의 의의
⑵ 학문의 방법
⑶ 학문의 태도
⑷ 학문과 사회 진출
3. 결 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면 굶주림이 그가
운데 있고 배움에 관직이 저절로 그 안에 있으니, 고로 군자는 도를 근심하지 가난함을 어
려워하지 않는다." 하였다.
17) 陽 貨
17-15-0 子曰 鄙夫 可與事君也與哉 其未得之也 患得之 旣得之 患失之 苟患失之 無所不至矣
해석) 공자가 말하기를, "졸장부와 함께 직장을 가질가부냐, 벼슬자리를 얻지 못하면 얻으려
고 근심하고, 이미 얻음에 잃을까 근심하니, 진실로 잃을까 근심하면 정의에 벗어나는 일이
라도 못할 짓이 없다" 하였다.
19) 子 張
19-13-0 子夏曰 仕而優則學 學而優則仕
해석) 자하가 말했다. "벼슬하여 여력이 있거든 배우고, 배워 힘이 남거든 벼슬하라."
따라서 도를 추구하여 관직을 얻는다는 것은 곧 그 출발점이 개인적인 수양에 있다는 것을 되새긴다. 공자에게 있어 학문이란 도를 추구하는 것이고 도를 추구한다 함은 자기자신으로부터 수양하고, 그덕이 가정에 미치고, 가정에서 지역 사회로, 그리고 종국에는 국가 전체에 미쳐, 개인의 덕이 전 우주에 미친다는 왕도정치에 다름아닌 것이다. 그래서 관직에 진출한다는 것, 오늘날의 의미로는 사회에 진출한다는 것은 학문-또는 수신-에서 출발하여 도에 다다르는 최종의 종착지인 것이다.
2) 爲 政
02-18-2.子曰 多問闕疑 愼言其餘則寡尤 多見闕殆 愼行其餘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
해석) 자장이 관직을 추구함을 물었다.공자가 대답하기를, "많이 들어서 들은 말 가운데 의
심나는 것은 그냥 묻어두고, 나머지 확실한 것 의심스럽지 않은 것만 입 밖에 내서 말하면
구설수에 오르내리는 일이 적으며, 많이 보고 읽어서 자신없는 것은 빼놓고 확실한 것만
신중히 실행하면 후회가 적다. 말에 허물이 적고 행함에 후회함이 적으면 관직(祿)이 절로
그안에 있느니라." 하였다.
02-21-1 或謂孔子曰 子奚不爲政
02-21-2.子曰 書云孝乎 惟孝 友于兄弟 施於有政 是亦爲政 奚其爲爲政
해석) 누군가 공자에게 물었다. "선생님은 어찌 정사에 참여하지 않으십니까?" 공자 대답하
기를, "서경에 이르기를 오직 효도하며 형제에게 우애함이 바로 정사를 취함이라 하니, 이
또한 위정이요 어찌 참정함 만을 위정이라 하리오?" 하였다.
4) 里 仁
04-14-0 子曰 不患無位 患所以立 不患莫己知 求爲可知也
해석) 공자가 말하기를, "벼슬자리가 없음을 근심하지 말고 벼슬자리에 설 자격이 없음을
근심하며,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말고 알려질 만한 일을 하도록 하라." 하였다.
5) 公 冶 長
05-05-0 子使漆雕開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說
해석) 공자가 칠조개로 하여금 벼슬하기를 명한 즉, 칠조개 사양하여 말하였다. "제 아직은
깊은 연구가 없으매 벼슬자리를 능히 감당하지 못하나이다." 공자, 그말을 들으시고 기뻐하
셨다.
11) 先 進
11-24-0 子路使子羔 爲費宰 子曰 賊夫人之子 子路曰 有民人焉 有社稷焉 何必讀書然後 爲學 子曰 是故惡夫 者
해석) 자로가 자고를 비나라의 제상으로 천거하자, 공자가 말하였다. "남의 아들을 해롭게
하는구나." 자로, "그곳에도 인민이 있으며 제사지낼 곳도 있습니다. 어찌 반드시 글을 읽
은 연후에야 배웠다고 하겠습니까?" 라고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그래서 말치레 하는 자
들이 미운 것이다." 라고 꾸짖었다.
3. 결 론
유가철학의 체계에 있어 학문이란 서양철학의 진리 인식과는 다른 도덕실천적 의미가 강하다. 과거의 전통적인 덕목들을 계승하여 禮를 기반으로 仁을 중심으로 道를 추구하는 것이 인간 세계에 참다운 활동으로 정의 내리고 그에 따른 학문 방법과 학문에 대한 태도, 그리고 그 구체적인 구현인 사회 진출의 의의 까지를 논증이라기 보다는 명제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論語>는 제시하고 있다.
물론 공자의 진리관이 오늘날에 얼마나 그 합리적인 가치를 보증받을 수 있는지는 논란이 많지만, 학문함에 있어서의 정진하는 태도라든가 학문 자체의 진정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론과 실천의 통일이라는 지상의 과제를 진작부터 추구했다는 사실은 오늘날에도 다시금 새겨봐야할 중요한 덕목이 아닌가 싶다.
<論語>에서 공자가 학문에 대해서 피력하고자 하는 바는 도덕적 실천에 그중점을 두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오늘날 <論語>를 해석할 때에는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지평의 확장으로 인한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남아있고 앞으로도 그 지평은 더욱 확대될 지도 모를 일이다.溫故而知新 아니겠는가?
< 참고 문헌 >
新譯四書. [論語]. 김범부 外. 현암사
[論語解說]. 이민수. 일조각
운데 있고 배움에 관직이 저절로 그 안에 있으니, 고로 군자는 도를 근심하지 가난함을 어
려워하지 않는다." 하였다.
17) 陽 貨
17-15-0 子曰 鄙夫 可與事君也與哉 其未得之也 患得之 旣得之 患失之 苟患失之 無所不至矣
해석) 공자가 말하기를, "졸장부와 함께 직장을 가질가부냐, 벼슬자리를 얻지 못하면 얻으려
고 근심하고, 이미 얻음에 잃을까 근심하니, 진실로 잃을까 근심하면 정의에 벗어나는 일이
라도 못할 짓이 없다" 하였다.
19) 子 張
19-13-0 子夏曰 仕而優則學 學而優則仕
해석) 자하가 말했다. "벼슬하여 여력이 있거든 배우고, 배워 힘이 남거든 벼슬하라."
따라서 도를 추구하여 관직을 얻는다는 것은 곧 그 출발점이 개인적인 수양에 있다는 것을 되새긴다. 공자에게 있어 학문이란 도를 추구하는 것이고 도를 추구한다 함은 자기자신으로부터 수양하고, 그덕이 가정에 미치고, 가정에서 지역 사회로, 그리고 종국에는 국가 전체에 미쳐, 개인의 덕이 전 우주에 미친다는 왕도정치에 다름아닌 것이다. 그래서 관직에 진출한다는 것, 오늘날의 의미로는 사회에 진출한다는 것은 학문-또는 수신-에서 출발하여 도에 다다르는 최종의 종착지인 것이다.
2) 爲 政
02-18-2.子曰 多問闕疑 愼言其餘則寡尤 多見闕殆 愼行其餘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
해석) 자장이 관직을 추구함을 물었다.공자가 대답하기를, "많이 들어서 들은 말 가운데 의
심나는 것은 그냥 묻어두고, 나머지 확실한 것 의심스럽지 않은 것만 입 밖에 내서 말하면
구설수에 오르내리는 일이 적으며, 많이 보고 읽어서 자신없는 것은 빼놓고 확실한 것만
신중히 실행하면 후회가 적다. 말에 허물이 적고 행함에 후회함이 적으면 관직(祿)이 절로
그안에 있느니라." 하였다.
02-21-1 或謂孔子曰 子奚不爲政
02-21-2.子曰 書云孝乎 惟孝 友于兄弟 施於有政 是亦爲政 奚其爲爲政
해석) 누군가 공자에게 물었다. "선생님은 어찌 정사에 참여하지 않으십니까?" 공자 대답하
기를, "서경에 이르기를 오직 효도하며 형제에게 우애함이 바로 정사를 취함이라 하니, 이
또한 위정이요 어찌 참정함 만을 위정이라 하리오?" 하였다.
4) 里 仁
04-14-0 子曰 不患無位 患所以立 不患莫己知 求爲可知也
해석) 공자가 말하기를, "벼슬자리가 없음을 근심하지 말고 벼슬자리에 설 자격이 없음을
근심하며,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근심하지 말고 알려질 만한 일을 하도록 하라." 하였다.
5) 公 冶 長
05-05-0 子使漆雕開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說
해석) 공자가 칠조개로 하여금 벼슬하기를 명한 즉, 칠조개 사양하여 말하였다. "제 아직은
깊은 연구가 없으매 벼슬자리를 능히 감당하지 못하나이다." 공자, 그말을 들으시고 기뻐하
셨다.
11) 先 進
11-24-0 子路使子羔 爲費宰 子曰 賊夫人之子 子路曰 有民人焉 有社稷焉 何必讀書然後 爲學 子曰 是故惡夫 者
해석) 자로가 자고를 비나라의 제상으로 천거하자, 공자가 말하였다. "남의 아들을 해롭게
하는구나." 자로, "그곳에도 인민이 있으며 제사지낼 곳도 있습니다. 어찌 반드시 글을 읽
은 연후에야 배웠다고 하겠습니까?" 라고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그래서 말치레 하는 자
들이 미운 것이다." 라고 꾸짖었다.
3. 결 론
유가철학의 체계에 있어 학문이란 서양철학의 진리 인식과는 다른 도덕실천적 의미가 강하다. 과거의 전통적인 덕목들을 계승하여 禮를 기반으로 仁을 중심으로 道를 추구하는 것이 인간 세계에 참다운 활동으로 정의 내리고 그에 따른 학문 방법과 학문에 대한 태도, 그리고 그 구체적인 구현인 사회 진출의 의의 까지를 논증이라기 보다는 명제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論語>는 제시하고 있다.
물론 공자의 진리관이 오늘날에 얼마나 그 합리적인 가치를 보증받을 수 있는지는 논란이 많지만, 학문함에 있어서의 정진하는 태도라든가 학문 자체의 진정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론과 실천의 통일이라는 지상의 과제를 진작부터 추구했다는 사실은 오늘날에도 다시금 새겨봐야할 중요한 덕목이 아닌가 싶다.
<論語>에서 공자가 학문에 대해서 피력하고자 하는 바는 도덕적 실천에 그중점을 두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그러나 오늘날 <論語>를 해석할 때에는 형이상학적 인식론적 지평의 확장으로 인한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남아있고 앞으로도 그 지평은 더욱 확대될 지도 모를 일이다.溫故而知新 아니겠는가?
< 참고 문헌 >
新譯四書. [論語]. 김범부 外. 현암사
[論語解說]. 이민수. 일조각
추천자료
장 자크 루소의 생애와 교육사상, 현대적의의 및 비판, 주요저서
[무사도]일본의 무사도 개념과 현대적 의의
금오신화(작가, 작품 분석, 의의, 성격, 특징)
신라인의 화랑정신과 화랑도 교육사상의 교육사적 의의
[창업재무관리 기본개념] 창업재무관리의 기능(의의, 중요성)과 목표, 재무관리의 원리와 가...
아동복지 4공통) 입양과 가정위탁 보호서비스의 의의와 역할에 대한 비교 논의
[행정학 개론] 공공서비스 - 공공서비스의 의의와 유형, 공공서비스의 공급방식, 공공서비스 ...
[유아교육평가 B형] 표집의 개념과 의의를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입장에서 설명하고 각 입장...
<사회복지> 사회복지에서 과학적 방법과 탐구가 가지는 의의를 서술
[아동복지child welfare론] 변화하는 사회와 아동복지의 의의 - 아동복지의 기본개념, 아동의...
[재무행정론] 재무행정 - 재무행정의 의의(정의)와 연구대상
[정부의 위기관리 (危機管理)] 위기관리의 의의(개념)와 유형
[조직행태론 (organization behavior)] 조직행태론의 의의와 인간관의 변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