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습상의 낭독 문제에 대하여
1. 서론
2. 본론
1) 낭독과 연설
2) 낭독상의 아이디어
(1) 줄거리에 대한 이해
- 개요
- 대의
- 부연
(2) 미묘한 의미의 차이
- 어의 정확한 의미(외연)
- 어의 연상 의미(내포)
- 작자의 취지
(3) 의미 구조
- 새 아이디어와 메아리
- 리듬과 의미
- 어구와 포즈
(4) 중심 사고
3) 낭독의 방법
(1) 특정의 표현 방법
- 몸의 동작
- 적절한 눈길
- 목소리의 크기
- 발음과 발성
- 고저 변화
- 시간 조절
- 강조 음절
(2) 전달과 의미
4) 연설을 위한 낭독
3. 결론
1. 서론
2. 본론
1) 낭독과 연설
2) 낭독상의 아이디어
(1) 줄거리에 대한 이해
- 개요
- 대의
- 부연
(2) 미묘한 의미의 차이
- 어의 정확한 의미(외연)
- 어의 연상 의미(내포)
- 작자의 취지
(3) 의미 구조
- 새 아이디어와 메아리
- 리듬과 의미
- 어구와 포즈
(4) 중심 사고
3) 낭독의 방법
(1) 특정의 표현 방법
- 몸의 동작
- 적절한 눈길
- 목소리의 크기
- 발음과 발성
- 고저 변화
- 시간 조절
- 강조 음절
(2) 전달과 의미
4) 연설을 위한 낭독
3. 결론
본문내용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같은 필요성 역시 낭독과 연설에 다 같이 요구된다.
⑦ 강조 음절
감정적인 요소가 많이 담긴 것이 아니면 낭독할 때 음질에 큰 변화를 줄 필요가 없다. 대부분 음질의 변화를 신체적 반응으로 대신할 수 있다. 그것은 자료 내용에 따라 이루어진다. 만약 적절한 자세를 취함으로써 포즈의 시간을 갖는다면 연후에 다양한 음질의 변화가 수반될 것이다.
(2) 전달과 의미
가치에 대한 인간의 예리한 감각과 지적인 판단을 대신할 수 있는 기술적 분석 방법이 아직 없다. 마찬가지로 발언하는 순간에 자료 내용의 의미와 분위기에 대한 생동적인 감각에 대신할 수 있는 전달 방법과 낭독 연습이 아직 없다.
연습에 장점도 있으나 한편 위험이 따른다. 만약 낭독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사고와 감정을 목소리의 크기, 시간, 조절, 고저, 음질의 기법으로 단순하게 표현하려면 낭독자는 인위적인 소리를 내면 될 것이다. 이 때에 아름다운 목소리와 명료한 발음이 남의 칭찬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낭독자는 아이디어를 명쾌하고 신뢰감 있게 드러내지 못할 수 있다.
동시에 낭독자는 한 개 역할을 맡아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연출하는 것이 주된 임무임을 깨달아야 한다. 낭독자가 남의 연설문을 읽을 때, 그의 표현 습관을 모방할 필요는 없다. 내용에서 포착한 작자의 사고와 감정을 신뢰감 있게 표현하면 된다. 본인과 똑같게 모방을 시도하는 것은 낭독자 자신을 회화화 하는 결과가 되고, 내용의 주요 아이디어가 진행 과정에서 다소 상실될 우려가 따른다.
4) 연설을 위한 낭독
낭독과 연설의 기본적인 표현 방법이 같기 때문에 낭독 기법은 연설 능력을 향상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방편이 된다. 낭독하는 순간 문장의 통사적인 계통을 세워 나갈 필요가 없으므로 낭독자는 원고의 문장을 음미하는 데에 정신을 집중할 수 있다.
기법에 치중하기보다 오히려 아이디어와 감정을 더 잘 살리려면 낭독은 물론, 즉석 연설에서 음성 표현력 향상에 일층 주력할 일이다. 만약 낭독자로서 참된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원고 연설을 즉석 연설 처럼 직접 전달하는 것 같은 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즉석 연설에서 놓칠 수 있는 강조의 형식과 정도에서도 현저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그 위에, 비록 즉석의 표현이라도 낭독을 통하여 효과를 크게 확대할 수 있다.
글을 읽을 때, 낭독자는 고저, 시간 조절, 강조에 대한 특별한 기법의 가치와 함께 표현상 나타나기 쉬운 오류를 깨닫게 된다. 그리고 지적이고 감각적인 사람이면 이같은 기법을 즉석의 표현으로 돌릴 수 있다. 반대로, 즉석 연설에서 쓰이는 정상적인 억양과 시간 조절 형식을 연습함으로써 낭독에 유용하게 적용해 볼 수 있다. 그것을 간파할 때에 낭독자는 화자의 전달 목적을 상실함이 없이, 선명한 의미 묘사를 위하여 그것을 잘 정제할 수 있다.이같은 방법으로, 낭독과 연설의 두 형식에 발성의 명료성과 신뢰성이 고양될 수 있다.
<연구 학습>
1. 학급에서 낭독할 수 있는 전형적인 자료를 선택한다. 그것을 앞에 제시한 몇 가지 방법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앞에 밝힌 전달 어조의 음질을 충실히 활용하며 그것을 낭독한다. 가능하면 녹음기를 이용하여 낭독 연습을 한다. 만족한 정도가 아니면 문장을 다시 읽고 그것을 녹음하여 재생해가며 검토한다. 효과적으로 읽은 최상의 낭독이라는 확신이 설 때에 비로소 학급에서 그 문장을 낭독한다.
2. 자신이 택한 자료를 가지고 같은 절차에 따라 연습한다. 한 편의 수필, 소설의 한 장면, 유명 인사의 연설 부분 등이 이에 해당한다.
3. 발표하고 싶은 설득 연설의 도입 부분을 써 본다. 또 학급에서 이미 행한 연설의 도입 부분을 새로 써 본다. 그리고 그것을 학급에서 낭독한다.
4. 교사의 지도로 학생은 완전한 연설을 원고로 준비하고 그것을 가지고 연설을 해 본다. 준비할 때에 낭독에 관해 배운 내용은 물론 표현 및 전달법에 대해 도움을 준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본다.
<낭독에 대한 비평>
3개 항의 다음 질문에 대답해 본다.
1. 낭독자는 그가 낭독한 자료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증명해 보였는가?
2. 리듬에 대한 이해를 포기하지 않은 채 낭독자는 자료에 따라 발생한 자연스러운 리듬을 쓸모 있게 활용했는가? 낭독자는 강조할 필요성이 있는 어는 물론, 이에 종속되는 어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는가?
3. 청중과의 눈길을 외면하지 않고 낭독자는 자료를 충분히 소화할 수 있었는가? 그의 낭독은 자연스럽고 효과적이었는가?
3. 결 론
국어 교육의 현장 지도에서 낭독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낭독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그동안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같은 동기에서 착수한 '학습상의 낭독 문제'는 낭독에 대하여 여러가지 의미를 시사해준다고 본다.
종전에 낭독을 음성 표현의 개인 행위로 보아 온 관점에 대해 전혀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게 되었다. 말하자면 연설·대화와 마찬가지로 낭독 역시 메시지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식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내리기에 이르렀다.
적어도 음성 표현에서 연설과 낭독은 거의 유사한 양상을 띤다는 점과 낭독자는 낭독에 앞서 그 준비 단계로 작자의 중심 아이디어를 정확히 파악하여 낭독을 통해 그것을 분명하게 드러내놓아야 한다는 점 등이 낭독 방법의 핵심으로 떠 오른다.
끝으로 낭독은 음성 표현의 기교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작자의 아이디어를 진솔하게 전달하는 데 무게를 실을 때에 비로소 성과를 거두어 효과적인 낭독이 된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된다.
작자의 중심 아이디어를 정확히 파악하여 자연스러운 음성 표현으로 청자 및 청중에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식이 바로 '낭독' 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E.F.Elson, The Art of Speaking, Ginn and Company, Boston,1957.
2. A.C.Baird, General Speech,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1957.
3. C.W.Lomas, Speech, Houghton Mifflim Company,Boston, 1963.
⑦ 강조 음절
감정적인 요소가 많이 담긴 것이 아니면 낭독할 때 음질에 큰 변화를 줄 필요가 없다. 대부분 음질의 변화를 신체적 반응으로 대신할 수 있다. 그것은 자료 내용에 따라 이루어진다. 만약 적절한 자세를 취함으로써 포즈의 시간을 갖는다면 연후에 다양한 음질의 변화가 수반될 것이다.
(2) 전달과 의미
가치에 대한 인간의 예리한 감각과 지적인 판단을 대신할 수 있는 기술적 분석 방법이 아직 없다. 마찬가지로 발언하는 순간에 자료 내용의 의미와 분위기에 대한 생동적인 감각에 대신할 수 있는 전달 방법과 낭독 연습이 아직 없다.
연습에 장점도 있으나 한편 위험이 따른다. 만약 낭독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사고와 감정을 목소리의 크기, 시간, 조절, 고저, 음질의 기법으로 단순하게 표현하려면 낭독자는 인위적인 소리를 내면 될 것이다. 이 때에 아름다운 목소리와 명료한 발음이 남의 칭찬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낭독자는 아이디어를 명쾌하고 신뢰감 있게 드러내지 못할 수 있다.
동시에 낭독자는 한 개 역할을 맡아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연출하는 것이 주된 임무임을 깨달아야 한다. 낭독자가 남의 연설문을 읽을 때, 그의 표현 습관을 모방할 필요는 없다. 내용에서 포착한 작자의 사고와 감정을 신뢰감 있게 표현하면 된다. 본인과 똑같게 모방을 시도하는 것은 낭독자 자신을 회화화 하는 결과가 되고, 내용의 주요 아이디어가 진행 과정에서 다소 상실될 우려가 따른다.
4) 연설을 위한 낭독
낭독과 연설의 기본적인 표현 방법이 같기 때문에 낭독 기법은 연설 능력을 향상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방편이 된다. 낭독하는 순간 문장의 통사적인 계통을 세워 나갈 필요가 없으므로 낭독자는 원고의 문장을 음미하는 데에 정신을 집중할 수 있다.
기법에 치중하기보다 오히려 아이디어와 감정을 더 잘 살리려면 낭독은 물론, 즉석 연설에서 음성 표현력 향상에 일층 주력할 일이다. 만약 낭독자로서 참된 능력을 가지고 있다면 원고 연설을 즉석 연설 처럼 직접 전달하는 것 같은 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동시에 즉석 연설에서 놓칠 수 있는 강조의 형식과 정도에서도 현저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그 위에, 비록 즉석의 표현이라도 낭독을 통하여 효과를 크게 확대할 수 있다.
글을 읽을 때, 낭독자는 고저, 시간 조절, 강조에 대한 특별한 기법의 가치와 함께 표현상 나타나기 쉬운 오류를 깨닫게 된다. 그리고 지적이고 감각적인 사람이면 이같은 기법을 즉석의 표현으로 돌릴 수 있다. 반대로, 즉석 연설에서 쓰이는 정상적인 억양과 시간 조절 형식을 연습함으로써 낭독에 유용하게 적용해 볼 수 있다. 그것을 간파할 때에 낭독자는 화자의 전달 목적을 상실함이 없이, 선명한 의미 묘사를 위하여 그것을 잘 정제할 수 있다.이같은 방법으로, 낭독과 연설의 두 형식에 발성의 명료성과 신뢰성이 고양될 수 있다.
<연구 학습>
1. 학급에서 낭독할 수 있는 전형적인 자료를 선택한다. 그것을 앞에 제시한 몇 가지 방법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앞에 밝힌 전달 어조의 음질을 충실히 활용하며 그것을 낭독한다. 가능하면 녹음기를 이용하여 낭독 연습을 한다. 만족한 정도가 아니면 문장을 다시 읽고 그것을 녹음하여 재생해가며 검토한다. 효과적으로 읽은 최상의 낭독이라는 확신이 설 때에 비로소 학급에서 그 문장을 낭독한다.
2. 자신이 택한 자료를 가지고 같은 절차에 따라 연습한다. 한 편의 수필, 소설의 한 장면, 유명 인사의 연설 부분 등이 이에 해당한다.
3. 발표하고 싶은 설득 연설의 도입 부분을 써 본다. 또 학급에서 이미 행한 연설의 도입 부분을 새로 써 본다. 그리고 그것을 학급에서 낭독한다.
4. 교사의 지도로 학생은 완전한 연설을 원고로 준비하고 그것을 가지고 연설을 해 본다. 준비할 때에 낭독에 관해 배운 내용은 물론 표현 및 전달법에 대해 도움을 준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본다.
<낭독에 대한 비평>
3개 항의 다음 질문에 대답해 본다.
1. 낭독자는 그가 낭독한 자료에 대한 완전한 이해를 증명해 보였는가?
2. 리듬에 대한 이해를 포기하지 않은 채 낭독자는 자료에 따라 발생한 자연스러운 리듬을 쓸모 있게 활용했는가? 낭독자는 강조할 필요성이 있는 어는 물론, 이에 종속되는 어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는가?
3. 청중과의 눈길을 외면하지 않고 낭독자는 자료를 충분히 소화할 수 있었는가? 그의 낭독은 자연스럽고 효과적이었는가?
3. 결 론
국어 교육의 현장 지도에서 낭독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낭독에 대한 진지한 연구가 그동안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같은 동기에서 착수한 '학습상의 낭독 문제'는 낭독에 대하여 여러가지 의미를 시사해준다고 본다.
종전에 낭독을 음성 표현의 개인 행위로 보아 온 관점에 대해 전혀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게 되었다. 말하자면 연설·대화와 마찬가지로 낭독 역시 메시지를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식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내리기에 이르렀다.
적어도 음성 표현에서 연설과 낭독은 거의 유사한 양상을 띤다는 점과 낭독자는 낭독에 앞서 그 준비 단계로 작자의 중심 아이디어를 정확히 파악하여 낭독을 통해 그것을 분명하게 드러내놓아야 한다는 점 등이 낭독 방법의 핵심으로 떠 오른다.
끝으로 낭독은 음성 표현의 기교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작자의 아이디어를 진솔하게 전달하는 데 무게를 실을 때에 비로소 성과를 거두어 효과적인 낭독이 된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된다.
작자의 중심 아이디어를 정확히 파악하여 자연스러운 음성 표현으로 청자 및 청중에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한 형식이 바로 '낭독' 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E.F.Elson, The Art of Speaking, Ginn and Company, Boston,1957.
2. A.C.Baird, General Speech,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1957.
3. C.W.Lomas, Speech, Houghton Mifflim Company,Boston, 1963.
추천자료
7. I Can Swim (4/4) 영어과 교수 학습 과정안
[구성주의] 구성주의와 언어학습경험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잘못된 통신언어 문화에 관한 학습지도안
유아의 지각. 의사소통 및 학습의 원리에 관한 고찰
생국1-1)1. 생각과 표현 학습지도안
사이버 중독의 문제점과 현 도덕교과 내에서의 학습에 대해 진단해 보고 그 문제에 따른 교육...
특수교육 정신지체아동의 수 개념 학습 논문요약
미술과(미술수업, 미술교육)의 목적과 학습형태, 미술과(미술수업, 미술교육)의 조건과 과정,...
초등5)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읽기 146~147 (2/6)> 7. 상상의 날개 - 시를 읽고...
고등 1학년) <식품과 영양 학습지도안> Ⅱ. 영양소의 종류와 기능 4. 비타민 ⑴지용성 비타민
[교육과정] 아동과 교육과정 - 학습자와 경험 중심의 교육과정 (듀이 이론, 존 듀이의 아동과...
아동의 발달장애 유형 (정신지체,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ppt
(바른말 좋은 글 학습지도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