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종문학분석) 논이야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줄거리

2.어휘 및 구절 이해

3.작품 해제

4.작품 해설

5.작품 이해

본문내용

빼앗기는 데에서도, 남은 일곱 마지기 농사로 근근히 살아가다가 이것마저 일본인에게 팔아야 했던 데에서도 좌절을 겪는다. 농토의 진정한 주인은 농민들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늘 농토를 빼앗기거나 잃어버리는 처지에 놓이고 마는 데에서 좌절하고 분노하는 것이다. 이 작품은 토지 수탈과 왜곡된 토지 제도는 해방이 되어서도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다는 비판적인 시각에서 출발하고 있다.
농민들에게 독립의 실감이란 민족 해방이니 독립 국가의 건설이니 하는 추상적인 것보다는 농토를 되찾는 일일 것이다. 국가와 정치의 역할은 농민들의 이러한 욕구를 이해하고 실감나는 기쁨을 그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해방 직후 정치와 국가는 이 같은 역할을 다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오늘부터 도루 나라 없는 백성'이라는 한 생원의 말에서 볼 수 있듯이, 이 작품은 국민들의 희망과 욕구를 소외시킨 해방 정국을 비판·풍자하고 있다.
▶ 작품 이해
■ "논 이야기"의 풍자성
농민들에 있어서의 독립의 실감이란, 민족 해방이나 독립 국가의 건설이니 하는 추상적 구호보다 농토를 되찾는 일일 것이다. 그런데 국가와 정치가(위정자)는 그들이 이해하고 실감할 수 있는 기쁨을 전혀 제공해 주지 못했던 것이다. 곧 엉뚱한 모함(동학의 가담 등)을 씌워 농토를 수탈했던 시대나, 독립을 맞아서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 현재에서나, 토지 수탈과 왜곡된 토지 제도는 농민 입장에서는 조금도 달라진 게 없다는 점을 풍자·비판하고 있다. 또한 작가는 일제하의 가혹한 공출과 왜채(倭債), 징용으로 몰린 한국 농민들의 고통과, 해방되어서도 여전히 농토를 갖지 못하고 가난의 굴레에서 맴도는 농민의 처지를 대비시킴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해방과 독립을 역설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 주인공 '한 생원'의 인물 유형
주인공 '한 생원'은 갑자기 찾아온 해방과 그 직후의 사회 혼란의 와중에서 자신의 권리만을 찾겠다고 우겨대는, 자신의 이익에 부합되지 않으면 '나라'도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이기주의자이다. 예를 들면, 일인이 물러나고 땅을 다시 찾을 것을 기대했지만, 그것이 무산되자 자신은 '다시 나라 없는 백성'이라고 하며, '해방되던 날 만세 안 부르기 잘했다'고 말하는 부분에서 이를 극명하게 알 수 있다. 작가는 바로 이 부분에 주목하고 있다. 그 이유는, 성격상 결함이 있는 '한 생원'을 풍자하면 할수록 당시의 뒤틀리고 혼란한 시대 정황이 객관적으로 부각되기 때문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6.19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