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강 화 소 개
2. 강화군의 역사
3. 강화군의 유적
2. 강화군의 역사
3. 강화군의 유적
본문내용
숙종 26년(1700)에도 보수하였다.또한 조선 숙종 43년(1717)에 강화유수 최석항이 무너진 참성단을 수축케한 사실 이 참성단중수비(문화재자료 제13호)에 기록되어 있으며 한편 전국 체육대회 때마다 대회장에 타오르는 성화는 이 참성단에서 7선녀에의해 채화되어 대회장으로 봉송 점화되고있다. 특히 88세계장애자 올림픽대회의 성화도 이곳에서 채화 되어 대회기간을 밝힌바 있다.
5) 초지진
이곳은 해상으로 침입하는 외적을 막기 위하여 조선 효종 7년(1656)에 구축한 요새이다. 고종 3년(1866) 천주교 탄압을 구실로 침입한 프랑스함대와 고종 8년(1871) 통상을 강요하며 내침한 미국 로저스의 아세아 함대 그리고, 1875년 침공한 일본군함 운양호를 맞아 치열한 전투를 벌인 격전지이다. 당시 프랑스·미국·일본 함대는 우수한 근대식 무기를 가진데 비하여 조선군은 열세한 무기로 대항해 용감히 싸웠던 곳이다. 특히 운양호의 침공은 고종 13년(1876) 강압적인 강화도 수호조약의 체결을 가져옴으로써 일본침략의 문호가 개방되었던 것이다. 1973년 성곽을 보수하고 당시 대포를 진열하였다.
6) 덕진진
고려시대에 강화해협을 지키던 외성의 요충지로 조선 숙종 5년(1679)에 축조된 용두돈대, 덕진돈대와 남장포대, 덕진포대가 이 진에 소속되어 있다. 숙종 3년(1677) 만호를 두고 군관 26명, 병 100명, 돈군 12명, 군선 2척이 배치되어 있었다. 고종3년(1866) 병인양요때는 프랑스함대와 고종 8년(1871) 신미양요때는 미국함대와 격전을 하였던 곳으로 무너진 성곽과 문루를 1976년에 복원하였다
5) 초지진
이곳은 해상으로 침입하는 외적을 막기 위하여 조선 효종 7년(1656)에 구축한 요새이다. 고종 3년(1866) 천주교 탄압을 구실로 침입한 프랑스함대와 고종 8년(1871) 통상을 강요하며 내침한 미국 로저스의 아세아 함대 그리고, 1875년 침공한 일본군함 운양호를 맞아 치열한 전투를 벌인 격전지이다. 당시 프랑스·미국·일본 함대는 우수한 근대식 무기를 가진데 비하여 조선군은 열세한 무기로 대항해 용감히 싸웠던 곳이다. 특히 운양호의 침공은 고종 13년(1876) 강압적인 강화도 수호조약의 체결을 가져옴으로써 일본침략의 문호가 개방되었던 것이다. 1973년 성곽을 보수하고 당시 대포를 진열하였다.
6) 덕진진
고려시대에 강화해협을 지키던 외성의 요충지로 조선 숙종 5년(1679)에 축조된 용두돈대, 덕진돈대와 남장포대, 덕진포대가 이 진에 소속되어 있다. 숙종 3년(1677) 만호를 두고 군관 26명, 병 100명, 돈군 12명, 군선 2척이 배치되어 있었다. 고종3년(1866) 병인양요때는 프랑스함대와 고종 8년(1871) 신미양요때는 미국함대와 격전을 하였던 곳으로 무너진 성곽과 문루를 1976년에 복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