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3건

덕진진 고려시대에 강화해협을 지키던 외성의 요충지로 조선 숙종 5년(1679)에 축조된 용두돈대, 덕진돈대와 남장포대, 덕진포대가 이 진에 소속되어 있다. 숙종 3년(1677) 만호를 두고 군관 26명, 병 100명, 돈군 12명, 군선 2척이 배치되어 있었다.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덕진진 종목 사적 제226호 지정일 1971.12.28 소재지 인천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846 시대 조선시대 고려시대에 강화해협을 지키던 외성의 요충지이다. 병자호란 뒤 강화도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성 외성 돈대 진보 등의 12진보를 만들었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덕진진(사적 제226호)(16km) - 초지진(사적 제225호) (20km) - 전등사 (25.7km) - 함허동천 야영장 (28.5km) -정수사동막리해수욕장 ▲ B course 터미널 (1.3km) - 용흥궁(철종이 살던 집) (1.7km) - 고려궁지 (7.9km) - 지석묘 - 봉천대고교산리 고인돌군 ▲ C course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07.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강화도의 초지진과 덕진진을 점령하고 광성보를 공격했고 어재연이 이끄는 수비대는 광성보와 갑곶 등지에서 맞서 싸웠으나 함락되고 어재연은 전사하였다. 미국은 광성진을 점령하였지만, 조선의 저항이 예상외로 강했고 조선과의 외교협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장병은 열세한 무기로 분전하다가 중상으로 기동이 어려운 몇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순국하였다. 이때 성첩과 문루가 파괴된 것을 1976년에 복원하는 동시에 당시 전사한 무명용사들의 무덤과 어재연의 쌍충비각을 보수, 정비하였다. 전쟁의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5.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