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육군본부 1차 국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2001년 육군본부 1차 국어

본문내용

글을 못 짓는 자 있으면 곤장 다섯 개씩
때려 밖으로 내 쫓기로 헙시다.“ ”거 좋은 말씀이시오.“ 본관이 운자를 내는디,
기름 고(膏) 높을 고(高) 두 자 운을 내노니, 어사또 한 수 하야 허는 말이 “여, 운봉 영감,
나도 부모 덕에 천자권(千字倦)이나 읽었으니, 나도 한 수 짓고 가겠소.“ 운봉이 눈치
있어, 통인 불러, “네, 저 냐안 지필묵(紙筆墨) 갖다 드려라.”
통인이 지필묵 갖다 어사또 앞에 노니, 어사또 일필휘지(一筆揮之)하야 글 지어
운봉 주며, “운봉은 밖으로 나가 조용헌 틈을 타서 한 번 떼 보시오. 자, 나는 갑니다.”
운봉이 맡아 밖에 나와 떼어 보니, 글이 문장이요, 글씨 또한 명필이라.
[영시조]
금준미주(金樽美酒)는 천인혈(千人血)이요, 옥반가효(玉盤佳肴) 만성고(萬姓膏)를,
촉루낙시(燭淚落時) 에 민루낙(民淚落)이요, 가성고처(歌聲高處) 원성고(怨聲高)라
[아니리]
그때야 춘향 모난 어사또가 사윈 줄은 알았으나, 간밤에 사위를 너무 괄시헌
가남이 있어, 염치 없어 못 들어가고 삼문 밖에서 눈치만 보다, 춘향 입에서
우리 어머니 소리가 나니, ‘옳지 인자 되었다.’허고 떠들고 들오난디,
19.위 글과 관련된 판소리 용어는?
가) 창 나) 추임새 다) 발림 라) 아니리
20.판소리와 관련이 먼 내용은?
가) 언어 층위가 다양하다
나) 서민과 양반이 공유했다
다) 적층구비문학이다
라) 산문 중심의 문어체 문장이다.
21.이인직의 “혈의 누”와 같은 국문학 장르 주제와 거리가 먼 것은?
가) 미신타파 나) 서구 문명에의 동경
다) 권선징악 라) 자유연애
22.다음중 뜻이 다른 한자성어는?
가) 昏定晨省 나) 風樹之嘆 다) 反哺受恩(?) 라) 首邱初心
天下( )安 亡戰必急 .
23.다음( )안에 들어갈 말은?
가) 猶 나) 若 다) 雖 라) 如
24. 다음 중 撤자의 쓰임이 잘못 된 것은 ?
가) 透徹 나) 不撤晝夜 다) 前撤 라)徹底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25.다음 보기에서 밑줄 친 부분이 나타내는 의미는?
가) 슬픔 감정의 깊이 나) 세월의 흐름
다) 향토적 서정 라) 일년 열두 달
정답: 1.나) 2.라) 3.가) 4.나) 5.가)
6.다) 7.나) 8.라) 9.가) 10.라)
11.다) 12.나) 13.나) 14.가) 15.가)
16. 17. 18. 19.라) 20.라)
21.라) 22.라) 23. 24.다) 25.가)

키워드

육군본부,   국어,   ,   표준어,   경기체가,   작문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7.08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2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