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기원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훈민정음 기원설

1.1 발음기관상형 기원설
1.2 고전기원설
1.3 범자 기원설
1.4 몽고자 기원설
1.5 범자와 몽고자 기원설
1.6 고대문자 기원설
1.7 태극사상 기원설
1..8 창문 상형 기원설
1.9 기일성문도 기원설

2. 태극사상 기원설

2.1 모든 기원설 비평
2.2 태극사상 기원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요, <ㅜ,ㅓ,ㅠ,ㅕ>의 둥글이 아래와 안쪽에 놓인 것은 그것이 땅에서 생기어 음이 되는 까닭이며, <ㆍ,ㅡ,ㅣ>의 석자가 여덟소리의 첫머리인 동시에 <ㆍ>가 다시 석자 중 가장 꼭대기가 된다고 하였다.
이렇게도 중성과 초성이 오직 삼재오행에 근본되어 있되 삼재의 하늘에는 사람의 머리를 배속시키고, 땅에 발을, 사람에 몸길을, 또 오행의 水에는 목구멍을, 火에 혀를, 木에 엄니를, 金에 이를, 土에 입술을 각각 갈라 붙이어 그 취상 연유이며 소리의 이치 등 해설이 뚜렷하므로 그 밑뿌리가 음양 오행의 모체인 태극이라 할 수 있다.
내가 태극사상 기원설을 가장 타당성 있게 보는 이유는 태극이 우리 사상의 기본인 유교사상의 기본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우리의 글을 만들 당시 그 글속에는 우리 선조들이 가장 중시여기고 생활의 근본이 되는 사상이 포함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위의 설명에서 본 것처럼 태극에 맞추어 하나 하나의 음소가 과학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기원설들 보다는 더 구체적인 설명이 되어 있다는 점에서 태극사상 기원설을 가장 타당성 있게 보았다.
@ 참고 문헌
강신항, 훈민정음 연구, 1991,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김석환, 훈민정음 연구, 1997, 한신 문화사
유창균, 훈민정음 역주, 1993, 형설 출판사
이기문외, 한국 어문의 제문제, 1983, 일지사
최현배, 고친한글 갈, 1982, 성음 문화사
훈민정음 기원설
학 번: 96101040
학 과: 국어국문학과
이 름: 최 진 형
과 목 명: 국어학 특강
담당교수: 김경아 교수님
제 출 일: 1999년 3월 19일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7.30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