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두보의 인간과 시
2. 두보의 시대적 배경
3. 두보의 생애
4. 두보의 사상
5. 두보의 시
2. 두보의 시대적 배경
3. 두보의 생애
4. 두보의 사상
5. 두보의 시
본문내용
덕치의 바탕으로 삼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두보가 시를 높이고 평생의 대업으로 삼은 것도 말하자면 요순지치(堯舜之治)를 이상으로 하는 그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시를 평생의 일로 삼은 두보는 글을 배우고 짓기에 진지했다. 「본성이 좋은 시를 짓고자 했으며, 시의 표현이 남을 감탄시키지 못하면 안심하고 죽을 수가 없노라.(爲人性僻耽佳句語不驚人死不體)」라고 했다.
이백은 일기가성, 하늘에서 폭포수가 쏟아져 내려오듯 후련하게 지었다. 그러나 두보는 세심하고 치밀하게 한 자 한 자 다졌다. 그렇다고 잘고 좁다는 뜻이 아니다. 형식이나 표현에 그만큼 정성과 노력을 기울였고, 기왕의 모든 유산을 충분히 섭취하되, 오직 자기만의 독창과 신기(新奇)를 만들어내고자 했던 것이다.
따라서 그의 시는 넓고, 심각하고 또한 심각하면서도 새롭고 기발했다. 그러기에 두보는 특히 형식미의 최고를 자랑하는 율시에 있어서는 중국 문학의 대표적 걸작을 무수히 지어 냈던 것이다.
두보의 시를 종합적으로 평하면, 위대한 휴머니즘의 사상을 적절한 형식으로 적응시킨 진지한 사실주의의 시라 하겠다. 따라서 그의 묘사는 냉철한 객관성을 지녔고, 언어는 정련(精煉)되었고, 운율은 엄정하다.
시를 평생의 일로 삼은 두보는 글을 배우고 짓기에 진지했다. 「본성이 좋은 시를 짓고자 했으며, 시의 표현이 남을 감탄시키지 못하면 안심하고 죽을 수가 없노라.(爲人性僻耽佳句語不驚人死不體)」라고 했다.
이백은 일기가성, 하늘에서 폭포수가 쏟아져 내려오듯 후련하게 지었다. 그러나 두보는 세심하고 치밀하게 한 자 한 자 다졌다. 그렇다고 잘고 좁다는 뜻이 아니다. 형식이나 표현에 그만큼 정성과 노력을 기울였고, 기왕의 모든 유산을 충분히 섭취하되, 오직 자기만의 독창과 신기(新奇)를 만들어내고자 했던 것이다.
따라서 그의 시는 넓고, 심각하고 또한 심각하면서도 새롭고 기발했다. 그러기에 두보는 특히 형식미의 최고를 자랑하는 율시에 있어서는 중국 문학의 대표적 걸작을 무수히 지어 냈던 것이다.
두보의 시를 종합적으로 평하면, 위대한 휴머니즘의 사상을 적절한 형식으로 적응시킨 진지한 사실주의의 시라 하겠다. 따라서 그의 묘사는 냉철한 객관성을 지녔고, 언어는 정련(精煉)되었고, 운율은 엄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