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이론을 통해 본 한국 방송학의 정체성 문제 ( 공간구조이론 )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지식 영역으로서 방송학의 정체성

3. 방송학에서 공간 개념의 유형
1) 기술적·지리적 공간
2) 규범적 공간
3) 사회적 공간

4. 공간구조 이론의 함의
1) 공간구조의 요소
2) 공간구조의 현상 형태
3) 공간정치
4) 공간감지

5.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향력은 그리 크지 않게 되는 역설이 발생할 수도 있다(임미옥, 1996).
또한 방송학이 연구대상으로 삼는 방송 환경 역시 기존의 이론적 틀로서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공간 문제만 보더라도 전통적인 공간 개념에 의해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다. 위성방송은 전통적인 방송권역 개념을 뒤흔들어놓고 있으며 사이버공간은 지리적/기술적 공간을 파괴해 버렸다. 공간문제를 사회문화적 공간으로 보고 새로 접근할 이론적 틀이 필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방송학계의 지식생산구조에서도 미세하지만 변화의 요인도 싹트고 있다. 즉 연구자의 제도적 기반인 대학에서 연구성과, 특히 학술적 논문 생산의 압력이 거세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마 이러한 변화는 비공식적 지식 형태로 현상을 보는데 익숙해진 방송학자의 활동과 사고방식에도 적지 않게 파급효과를 미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변화가 더욱 단편적이고 미세한 연구를 양산하는 쪽으로 유도할지, 아니면 이론적이고 학술적인 연구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할지는 좀더 두고 보아야 할 듯하다.
참고문헌
강명구 (1998). 한국의 도시와 권력. 한국도시연구소 편 <한국도시론> 박영사.
강상현 (1992). 영호남 지방신문에 나타난 대통령 후보 이미지 비교. <한국사회와 언론> 2지1.
강상현 (1994). 방송환경의 변화와 지역방송의 과제. <방송연구> 38호.
강태영 (1994).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국제적 유통에 관한 연구. <방송연구> 38호.
권숙인 (1996). <현대 일본사회와 지방의 아이덴티티>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대호 (2001). 국경을 초월한 방송 시대의 방송권역과 지역성. 한국언론학회 주최 <미래의 방송과 로칼리즘> 심포지엄, 11월 9일.
김도연 (2001). 디지털 시대 지상파 방송 재송신정책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13권, 223-255.
김동규 (1994). 지역방송의 활성화를 위한 산업적 분석. <방송연구> 제38호.
김동규 (2001). 위성방송의 지상파 재송신과 지역방송: 그 경제적 함의. 방송위원회 주최 <방송채널정책방안 마련을 위한 공개토론회> 발제문, 10월 25일.
김승현 (1998). 전지구화와 미디어: 국제커뮤니케이션 시각에서. 부산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편 <21세기 미디어산업의 전망> 한울.
김신동 (2000). 위성방송 정책논의의 문제점: 독점사업자 방안과 외국자본반대 논의를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창간호.
김형국 (1997). <한국공간구조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승관·장경섭 (2000). 한국의 정치변동과 언론권력: 국가-언론 관계 모형 변화. <한국방송학보> 통권 14-3호.
박영민 (1997). 르페브르의 실천전략과 사회공간. <공간과 사회> 제9호.
방송위원회 (2000). <지역방송 발전정책 연구>.
배진아 (1999). 방송정책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공익' 개념의 유형 연구. <방송연구> 49호.
변동현·양승관 (1997). 지역민방의 위상과 역할. <방송연구> 45호.
손승혜 (2001). 아시아에서의 위성방송과 국제커뮤니케이션 논의의 패러다임 전화. <한국방송학보> 15-2호.
우실하 (1997). <오리엔탈리즘과 우리 문화 바로 읽기>. 서울: 소나무.
윤석년 (2001). 위성방송의 실시와 지역 지상파방송의 활로모색. 전국언론노동조합 주최 <다매체·다채널 시대의 지역방송 생존전략> 발제문, 9월 6일.
이재원 (1994). 국제화와 지방정치: 신도시정치적 이해. <공간과 사회> 제4호.
임미옥 (1996). 1990년 방송구조 개편과정에서 언론학자의 참여와 영향. <방송시대> 통권 8·9호.
임영호 (1998). 한국 언론학의 영역주의와 정체성의 위기. <한국언론정보학보> 통권 11호.
전규찬 (1999). 지역의 문제설정과 미디어·문화연구. <언론과 정보>, 제5호.
전환성 (2001). 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지역방송의 대응전략 및 정책방향. <방송연구>, 제53호.
정상윤 (2001). 지역방송 프로그램의 경쟁력 강화방안. 한국언론학회 주최 <미래의 방송과 로칼리즘> 심포지엄 발제문, 11월 9일.
조명래 (1997). 진보적 도시담론의 위기? <공간과 사회>, 제9호.
최병두 (2001). 데이비드 하비: 공간의 정치경제학과 포스트모더니티. 김호기 엮음. <현대 비판사회이론의 흐름> (150-214쪽). 서울: 한울.
최운식 (1972).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관한 연구. <지리학>, 제7호.
황인성 (1999).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민속지학적 관음주의와 타문화의 현실구성에 대한 연구. <프로그램/텍스트>, 창간호.
Anderson, B. (1983).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London: Verso.
Friedman, J. & Miller, J. (1965). The urban field. Journal of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1, 312-319.
Gregory, D. & Urry, J. (1985). Introduction. In D. Gregory & J. Urry (Eds.),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structures (pp.1-8) London: Macmillan.
Picard, R. G. & Brody, J. H. (1997). The newspaper publishing industry. Boston: Allyn and Bacon.
Richardson, H. (1972). Optimality in city size, systems of cities and urban policy: A sceptic's view. Urban studies, 9(1), 29-48.
Said, E. W. (1979). Orientalism, New York: Vintage.
Soja, E. (1993). Postmodern geographies. 이무용 외 역 (1997).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서울: 시각과 언어.
  • 가격2,3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2.08.08
  • 저작시기20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08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