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rehension Test -(3) 종양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종양의 정의를 써라.

2. 종양의 Nomenclature를 설명하라.

3. 악성/양성 종양을 구별하고 그 특징을 써라.

4. 종양의 원인은 무엇인가?

5. 발암성 Virus에 관하여 설명하라.

6. 암의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하라.

7. 종양의 표지(Tumor Mark)에 대해 설명하라.

8. Carcinoma In Situ의 의학적 의미에 대해 기술하라.

9. 악성종양의 전이 경로를 설명하라.

10. 환경과 나이에 따라 발생빈도가 다른 악성 종양에 대해 설명하라.

11. 암세포가 숙주의 면역감시체계를 벗어나는 기전에 대해 설명한다.

본문내용

한다.
3)파종
복강이나 흉강, 특히 Douglas 와로 전이되는 것을 말하는데 이경우에는 흔히 다수의 소결절을 형성하게 된다. 위암이나 담낭암이 난소로 파종되어 큰 종양괴를 형성하는 경우가 잇는데 이 때에도 림프행성의 전이와 같이 난소암으로 오인할 때가 있으므로 주의를 해야 한다.
4)접촉성 전이
가장 흔한 예로 상구순암이 하구순암으로 전이 되는 경우이나 매우 드물다. 이 외에도 시술용 기구를 통한 직접전이도 이론상 가능하나 지극히 드물기 때문에 거론을 피한다.
10. 환경과 나이에 따라 발생빈도가 다른 악성 종양에 대해 설명하라.
▷지리적 및 환경적 요인
전세계에 걸쳐서 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지역에 따른 차이가 있다. 위암 사망률은 미국보다 일본에서 8배나 높다. 반대로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일본보다 미국에서 2배 더 높으며 벨기에는 미국보다 훨씬 높다. 피부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Iceland 보다 New Zealand에서 6배 더 흔한데 태양 광선의 노출의 차이 때문으로 보인다. 환경적 요인에는 음식, 직장, 그리고 개인적인 생활 방식 등 수 많은 요인이 있다. Asbestos, vinylchloride, 2-naphthylamine 등은 직업적인 위험 요소로 알려졌으며, 개인의 생활 습관과 개인적 노출(예를 들면 식사 습관) 등으로 암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기도 한다. 25% 이상 과체중을 가진 사람에서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으며, 알코올의 과용은 구강, 인두, 후두, 식도암, 그리고 알코올성 간경변은 간암의 위험을 증가 시킨다. 흡연은 구강, 후두, 식도, 췌장, 그리고 방광암에 관계가 있으며 흡연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암은 폐암으로 남자에서 약 77%, 여자에서는 43%의 폐암이 흡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궁경부암의 위험은 첫 성교시의 나이와 성 상대자 수와 연관이 있는데, 성관계를 통한 자궁경부의 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이 자궁경부암의 원인인 점과 일치하는 소견이다.13)
·나이
나이는 암 발생에 중요한 영향 인자이다. 대분의 암은 일생 중 55세 이상의 후반기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15세 이하의 어린이에서 사망의 원인 중 약 10% 이상이 암으로 인한 사망으로 사고로 인한 사망 다음으로 많다. 이 연령에서 급성 백혈병과 중추신경계 암은 암으로 인한 사망에 대략 60-75%를 차지하며 그 외 영아와 소아에 흔한 암은 신경모세포종, Wilms 종양, 망막모세포종, 급성 백혈병과 횡문근육종있다.14)
11. 암세포가 숙주의 면역감시체계를 벗어나는 기전에 대해 설명한다.
▷종양세포가 숙주의 면역 방어 기능을 피해가는 대표적인 기작으로 MHC(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과 II의 표현 감소를 들 수 있다. 즉, 종양이 된 세포의 표면에서는 MHC class I 표현이 감소되고, 이는 CTL(CD8+ T cell)의 살세포(殺細胞) 작용에 대한 반응성을 약화시켜 결국 항암 면역능이 떨어지게 된다.
종양 세포 표면의 MHC class II 및 costimulatory molecule의 표현 감소는 CTL 활성에 필요한 helper T (CD4+) cell의 작용을 부족하게 하여 종양 세포가 숙주의 면역 방어 시스템을 피해가게 는 원인을 제공한다
종양 세포가 분비하는 면역 억제 물질도 면역 방어 기능을 피해가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하고 있다. 이러한 면역 억제 물질로 Transforming growth factor-b(TGF-b),
Interleukin-10(IL-10),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등이 있다.
종양 항원에 대한 숙주의 관용성(tolerance)도 중요한 tumor escape mechanism 예
가 된다. 예를 들면, neonatal tolerance는 신생아 일 때 노출 되었던 특정 항원(예:murine mammary tumor virus)에 대한 관용성 획득하는 것을 말하는데, 실제로 갖 태어난 mouse를 종양 항원에 노출 시키면, 성년 mouse에서 항암 면역 방어 기능을 유발 하지 못하고breast cancer가 발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종양 세포가 면역 방어 기작을 회피하는 방법으로, 항원조작(antigenic modulation) , antigen masking , 종양세포가 항 암 면역 반응이 확립되기 전에 면역 저항성 종양으로 자라가는 종양 성장 속도의 kinetics등의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15)

키워드

암세포,   악성,   발암,   칼시노마,   양성,   종양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9.21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7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