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광고의 헤드카피
2.헤드카피의 종류
3.사용실태
4.연구목표
5. 방법 및 절차
6.결 과
1) 상표명 회상율
2) 헤드라인 문장형식 재인율
3) 광고요소 회상율
4) 상표태도와 광고태도
7.논 의
참고문헌
2.헤드카피의 종류
3.사용실태
4.연구목표
5. 방법 및 절차
6.결 과
1) 상표명 회상율
2) 헤드라인 문장형식 재인율
3) 광고요소 회상율
4) 상표태도와 광고태도
7.논 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른 어떤 광고들보다 낮고 기존광고에서 더 가장 높은 경향이 있었다. 이런 결과는 감탄형 헤드라인 자체가 주의를 끄는데는 효과적이고 이런 주의획득이 상표의 기억이나 태도형성에는 미치는 영향은 신규상표의 광고일 때보다는 기존상표의 광고일 때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런 결과는 본 연구에서 조사한 기존광고들의 형식분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둘째, 의문형은 헤드라인 문장형식의 재인율을 제외하면 감탄형은 대부분의 지표에서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다만, 감탄형이 신규상표든 기존상표든 문장형식 재인율이 비슷하게 매우 높은 반면에, 의문형은 신규상표일 때가 기존상표일 때에 비해 훨씬 높은 경향이 있었다.
셋째, 그리 널리 사용되지 않는 청유형과 평서형은 효과양상이 매우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형식 모두 기억지표와 태도지표 모두에서 비교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표명의 단서회상율이 평서문과 함께 가장 높았고, 광고요소의 회상율에서도 어떤 다른 형식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헤드라인의 재인율은 다른 형식들에 비해 매우 낮았다.
대체로 기억지표에 관해서 청유형과 평서형은 기존상표에 적용했을 때가 신규상표일 때에 비해 나은 경향이 있었다. 한편, 상표태도와 광고태도도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유형이나 평서형이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상표종류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서, 신규상표일 경우에는 상표태도나 광고태도 모두 다른 어떤 유형에 비해 높지만 기존상표일 때는 오히려 낮았다.
넷째, 기존의 연구결과나 분석에서 주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명령형 헤드라인이나 정지형 헤드라인은 기억지표나 태도지표 모두에서 두드러진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표명 회상이나 헤드라인 문장형식 재인율 모두 평균수준이었고, 상표태도나 광고태도도 평균이나 또는 평균보다 다소 낮았다. 다만, 광고요소의 회상율은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이런 결과는 명령형이나 정지형 헤드라인이 광고내용에 대한 소비자의 호기심을 다소 자극하는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설득에 까지 효과를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축약형 헤드라인은 모든 지표들에서 다른 유형에 비해 열등한 경향이 있다. 축약형은 상표명 자유회상율이 낮고 단서회상율과 광고내용 회상율도 전체평균치로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헤드라인 문장형식 재인율도 평균 이하였고, 광고태도나 상표태도은 평균보다 높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대체로 기억효과와 관련해서는 헤드라인의 주의획득력이라는 측면에서는 감탄형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표명관련 기억에서는 평서나 청유형이 특히 기존상표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고내용의 회상과 관련해서는 신규광고에는 명령형이나 감탄형이, 기존 광고에는 평서나 청유형이 더 나은 거으로 나타났다.
한편, 설득의 지표인 상표태도나 광고태도에 관해서는 신규상표광고에는 평서형이나 청유형이 유리하고 기존광고에서는 의문형이나 감탄형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장형식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계획되었다. 이런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 고려해야할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광고효과의 매개과정을 나타내는 지표들을 주로 측정하였다. 그러나 각 유형의 헤드라인이 매개과정에서 하는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욱 질적인 정보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각 유형의 헤드라인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반응을 측정해야 할 필요성이 매우 큰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인지반응 측정치는 헤드라인 유형에 따른 기억효과나 태도효과를 해석하는데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유형의 헤드라인을 가진 광고에 대한 집단토의나 심층면접과 같은 질적인 연구들을 통해 헤드라인 유형이 갖는 독특한 효과에 대해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미리 계획하지 못했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신규상표와 기존상표를 중요한 분류변인으로 사전에 포함시키는 것이 각 유형의 헤드라인들이 갖는 톡특성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기존상표는 이미 상표와 관련한 지식체계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헤드라인을 포함한 광고정보의 해석에서 신규상표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홍익(1991). 광고어에 대한 효율적인 언어사용에 관한 연구.서울대 석사 논문
리대룡(1985). 현대광고론. 서울 : 무역경영사.
빅터 웨이드맨(1983). 조한웅역, 돈을 벌게 해주는 광고 / 물건을 파는 광고를 위한 지침. 서울 : 한국광고문화연구소
신혜란(1996). 광고헤드카피의 화행연구. 서울여자 대학교 국문학과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용선(1989). 잡지광고표현기법에 관한 수사학적 문체 연구.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상우역(1983). 존케이플즈의 성공하는 광고. 서울 : 오리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정호기(1985). 신문광고의 카피표현에 관한 연구. 대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Bovee, C. L. & Arens, W. F.(1992). Contemporary Advertising.
Burton, P. W. (1983). Advertising Copywriting. New York : John Wiley & Sons.
Dunn, W. S. & Barhan, A.N.(1982). Advertising - It's role in modern marketing.
J. L. Austin. (1992). 말과 행위 김영진역. 서울 : 탑출판사.
Kleppner, O. (1960). Advertising Procedure. Englewood Cliffs , N. J : Prentice Hall Inc.
Stebbins, H. (1993). 카피캡슐. 송도익역. 서울 : 서해문림.
Wells, W. D., Burnett, J., & Moriarty, S. (1989). Advertising: Principles and practice. Prentice-Hall Int. Inc.
둘째, 의문형은 헤드라인 문장형식의 재인율을 제외하면 감탄형은 대부분의 지표에서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다만, 감탄형이 신규상표든 기존상표든 문장형식 재인율이 비슷하게 매우 높은 반면에, 의문형은 신규상표일 때가 기존상표일 때에 비해 훨씬 높은 경향이 있었다.
셋째, 그리 널리 사용되지 않는 청유형과 평서형은 효과양상이 매우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형식 모두 기억지표와 태도지표 모두에서 비교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표명의 단서회상율이 평서문과 함께 가장 높았고, 광고요소의 회상율에서도 어떤 다른 형식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헤드라인의 재인율은 다른 형식들에 비해 매우 낮았다.
대체로 기억지표에 관해서 청유형과 평서형은 기존상표에 적용했을 때가 신규상표일 때에 비해 나은 경향이 있었다. 한편, 상표태도와 광고태도도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유형이나 평서형이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상표종류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서, 신규상표일 경우에는 상표태도나 광고태도 모두 다른 어떤 유형에 비해 높지만 기존상표일 때는 오히려 낮았다.
넷째, 기존의 연구결과나 분석에서 주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명령형 헤드라인이나 정지형 헤드라인은 기억지표나 태도지표 모두에서 두드러진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표명 회상이나 헤드라인 문장형식 재인율 모두 평균수준이었고, 상표태도나 광고태도도 평균이나 또는 평균보다 다소 낮았다. 다만, 광고요소의 회상율은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이런 결과는 명령형이나 정지형 헤드라인이 광고내용에 대한 소비자의 호기심을 다소 자극하는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설득에 까지 효과를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축약형 헤드라인은 모든 지표들에서 다른 유형에 비해 열등한 경향이 있다. 축약형은 상표명 자유회상율이 낮고 단서회상율과 광고내용 회상율도 전체평균치로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헤드라인 문장형식 재인율도 평균 이하였고, 광고태도나 상표태도은 평균보다 높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대체로 기억효과와 관련해서는 헤드라인의 주의획득력이라는 측면에서는 감탄형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표명관련 기억에서는 평서나 청유형이 특히 기존상표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고내용의 회상과 관련해서는 신규광고에는 명령형이나 감탄형이, 기존 광고에는 평서나 청유형이 더 나은 거으로 나타났다.
한편, 설득의 지표인 상표태도나 광고태도에 관해서는 신규상표광고에는 평서형이나 청유형이 유리하고 기존광고에서는 의문형이나 감탄형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장형식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계획되었다. 이런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 고려해야할 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광고효과의 매개과정을 나타내는 지표들을 주로 측정하였다. 그러나 각 유형의 헤드라인이 매개과정에서 하는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욱 질적인 정보들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각 유형의 헤드라인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반응을 측정해야 할 필요성이 매우 큰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인지반응 측정치는 헤드라인 유형에 따른 기억효과나 태도효과를 해석하는데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유형의 헤드라인을 가진 광고에 대한 집단토의나 심층면접과 같은 질적인 연구들을 통해 헤드라인 유형이 갖는 독특한 효과에 대해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미리 계획하지 못했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신규상표와 기존상표를 중요한 분류변인으로 사전에 포함시키는 것이 각 유형의 헤드라인들이 갖는 톡특성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기존상표는 이미 상표와 관련한 지식체계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헤드라인을 포함한 광고정보의 해석에서 신규상표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홍익(1991). 광고어에 대한 효율적인 언어사용에 관한 연구.서울대 석사 논문
리대룡(1985). 현대광고론. 서울 : 무역경영사.
빅터 웨이드맨(1983). 조한웅역, 돈을 벌게 해주는 광고 / 물건을 파는 광고를 위한 지침. 서울 : 한국광고문화연구소
신혜란(1996). 광고헤드카피의 화행연구. 서울여자 대학교 국문학과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용선(1989). 잡지광고표현기법에 관한 수사학적 문체 연구.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상우역(1983). 존케이플즈의 성공하는 광고. 서울 : 오리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정호기(1985). 신문광고의 카피표현에 관한 연구. 대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Bovee, C. L. & Arens, W. F.(1992). Contemporary Advertising.
Burton, P. W. (1983). Advertising Copywriting. New York : John Wiley & Sons.
Dunn, W. S. & Barhan, A.N.(1982). Advertising - It's role in modern marketing.
J. L. Austin. (1992). 말과 행위 김영진역. 서울 : 탑출판사.
Kleppner, O. (1960). Advertising Procedure. Englewood Cliffs , N. J : Prentice Hall Inc.
Stebbins, H. (1993). 카피캡슐. 송도익역. 서울 : 서해문림.
Wells, W. D., Burnett, J., & Moriarty, S. (1989). Advertising: Principles and practice. Prentice-Hall Int. Inc.
추천자료
과거제도의 폐해와 현입시제도의 문제점
서사무가와 신화적 상상력
[과외]중학 한문 3-1학기 기말 예상문제 09
[한국 선교][선교][감리교][장로교][구세군]한국 선교 심층 분석(바울 선교, 매클레이의 한국...
영문법 가정법
성별 방언의 원인
[국어 임용]통사론 - 국어 임용고사 서브노트
[작가][작가 역할][무대의상작가][소설작가][방송작가][게임시나리오작가]작가 개념, 작가 역...
[행정학] 정책과 기획이란 무엇인가
2008년 1학기 생활속의언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표제언어의 특징)
2010년 1학기 생활속의언어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표제어 언어의 특징)
대명사에 대해
문법론 경어법, 높임법 비교분석 레포트
사회복지조사론(연구가설과 영가설의 사례를 각각 5개씩 작성을 하시고, 각 가설에 대한 조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