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예배
2. 셰례와 성례전
3. 설교
4. 교육
5. 행정
6. 치리(권징)
7. 심방
8. 영혼목회
9. 환자목회
10. 가난한 자를 위한 목회
11. 임종자를 위한 목회
2. 셰례와 성례전
3. 설교
4. 교육
5. 행정
6. 치리(권징)
7. 심방
8. 영혼목회
9. 환자목회
10. 가난한 자를 위한 목회
11. 임종자를 위한 목회
본문내용
돕는 구제로 이분화되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런 구제의 일이 단순히 물질적 궁핍만을 돕는 행위로만 그쳐서는 안될 것이다. 교인들의 경우는 구제받는 것처럼 형편이 좋아질 경우 그들 역시 구제하는 삶을 살아가도록 해야 하며, 교인이 아닌 경우는 그런 구제를 통해 주님을 소개하고 그것이 주님의 사랑임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전도적 성격을 반영하여 구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11. 임종자를 위한 목회
목회자가 임종자가 있는 병원이나 가정을 방문하여 간단한 예배를 드리고 격려하고 세례를 주기도 한다. 임종을 맞이하려는 자가 좋아하는 찬송을 함께 부르기도 한다. 내세의 두려움을 몰아내도록 위로와 소망의 메시지를 전해주며 구원의 확신을 갖고 편안한 마음으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한다.
본교회 목회자들은 임종자 방문시 전도의 기회를 삼기도 한다. 그곳에 임종자를 찾아온 친지들 중에는 비그리스도인들도 있다, 임종의 시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할 기회로 삼아 임종자와 관련된 사람들을 염두하고 예배를 드리기도 한다. 또한 병원일 경우 교회교인만을 위해 예배드리고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입원해 있는 환자들을 위해서도 기도해주기도 한다.
임종자를 위한 목회에서 중요한 것은 죽음 이후를 소망 가운데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있다고 본다. 평소에 좋아하는 찬송을 함께 부른다던지 소망와 위로의 말씀을 들려줌으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또한 임종자를 찾아온 사람들에게도 마음의 평안과 소망을 전해줄 수 있어야하며 비그리스도인일 경우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11. 임종자를 위한 목회
목회자가 임종자가 있는 병원이나 가정을 방문하여 간단한 예배를 드리고 격려하고 세례를 주기도 한다. 임종을 맞이하려는 자가 좋아하는 찬송을 함께 부르기도 한다. 내세의 두려움을 몰아내도록 위로와 소망의 메시지를 전해주며 구원의 확신을 갖고 편안한 마음으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한다.
본교회 목회자들은 임종자 방문시 전도의 기회를 삼기도 한다. 그곳에 임종자를 찾아온 친지들 중에는 비그리스도인들도 있다, 임종의 시기를 가장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할 기회로 삼아 임종자와 관련된 사람들을 염두하고 예배를 드리기도 한다. 또한 병원일 경우 교회교인만을 위해 예배드리고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입원해 있는 환자들을 위해서도 기도해주기도 한다.
임종자를 위한 목회에서 중요한 것은 죽음 이후를 소망 가운데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있다고 본다. 평소에 좋아하는 찬송을 함께 부른다던지 소망와 위로의 말씀을 들려줌으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또한 임종자를 찾아온 사람들에게도 마음의 평안과 소망을 전해줄 수 있어야하며 비그리스도인일 경우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