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령론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본체론적 성령론

2. 주지주의적 성령 이해

3. 성령과 의지 (주의주의)

4. 성령과 감정(감정주의)

5. 성령과 공동체

6. 성령과 권능(능력)

본문내용

re) 우리의 성화가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났다. 그러나 사실적으로(de facto)는 아직 완성되지 않고 불완전한 것, 경험적으로는 완전히 맛보지 못했다" = 믿음안에서 참여함으로 맛봄. 우리가 그리스도에 참여하여 성화를 이룸. 그러나 우리가 참여하기 전에도 이미 우리의 성화가 그리스도안에서 성취되었다.(성화의 객관성, 보편적 성화) = 그리스도 사건의 객관성을 매우 강조함.
4. 성령과 감정(감정주의)
.조나단 에드워드 : 미국 초창기 18세기 초반의 인물 -> 제1차 대각성 운동을 주도한 부흥사, "Religious Affections" = 내적 경향성이나 의지의 강렬하고 느낄 수 있는 활동.작용 - 종교란 정의들 중에서 거룩한 정의(正義)의 문제이다. 인간은 정의에 의해 움직여지지 않으면 비활동적이다.
.챨스 피니 : 19세기 제2차 대각성 운동을 주도.(개혁교회 배경 + 웨슬리적 부흥운동), 부흥전도에 감정적 흥분 이용. 그러나 감정이 신앙의 본질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음. 중생과 구별되는 성령세례 강조.
.슐라이에르마허 : 신앙의 본질을 감정에서 추구, 낭만주의의 영향, 절대 무한에 대한 자의식적인 의식, 느낌, 조용한 침잠, 성령은 의식 세계 밖에서오는 영이기보다는 공동체 안에 내주하는 공동체 정신에 가깝다.
.Rudolf Otto : "거룩의 개념" - 신앙은 합리성, 도덕성이 아니다. 감정을 말함. 전적 타자에 대한 느낌. 이 신성한 것(거룩한 것)에 대한 느낌에 신앙이 있다.
.과정신학
.빈야드 운동 : 성령의 능력, 은사에 포인트를 맞춤. 성령체험을 함으로 하나님에 대한 느낌을 갖는다.
5. 성령과 공동체
6. 성령과 권능(능력)
*성령운동*
.오순절 운동 : 20세기 초반에 미국에서 시작된 운동, 4가지 특징=구원, 성령세례(방언), 신유, 재림(전천년설), (성화 : 5가지 주제일 경우) == 오순절 계통에서는 성령세례를 '능력'개념으로 이해함 <== 미국의 성결운동(성화를 성결운동으로 연결함) <== 웨슬레의 감리교 부흥운동의 영향(온전한 성화)
.신오순절 운동 : 기성교회 사람들이 오순절 운동의 영향으로 체험을 하고 이를 자기 교단에서 오순절 운동을 전파시킴
.제3의 물결 : 빈야드 운동
--> 오순절, 신오순절, 제3의 물결에 대한 결론 : 20세기 교회로 하여금 성령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 일으킴. 선교 열정을 불러 일으킴. 성령의 은사를 오늘날에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함. 불필요한 열광주의에 빠지기 쉽다. 어떤 특정한 영적 체험이 체험의 표준적인 규준이 될 수 있다. 사회운동에 대단히 무관심함. 기복주의적인 신앙에 흐를 가능성이 있다. 성화의 의미가 능력, 기적에 빠지기 쉽다. 성령세례 교리의 조건이 공로주의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
*성령세례 교리*
.성령받음 : 신앙고백차원이다 - 칭의, 중생
표적, 은사이다 - 사도행전 8장
.성령충만 : 표적, 은사이다
성화(거룩한 삶)이다.
.성령세례 : 오순절 계통 - 최초로 성령의 충만함을 받아서 표적과 은사로 간주
전통적인 개신교 - 신앙고백차원으로 간주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02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4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