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신문이 갖는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목 : 21세기 교육과 신문의 역할
□ 총 페이지수 :
□ 목 차:


- `21세기의 교육을 위한 신문의 역할` -

1. 21세기, 고도의 정보화와 사회변화의 의미와 특징

2. 21세기의 교육의 전망과 대비

3. 21세기의 교육과 신문의 역할과 상호 의존성

본문내용

난 것이다. 정보사회는 산업사회와는 다른 형태의 사회이다. 산업사회의 산물인 학교가 정보사회에도 같은 형태로 같은 내용을 가르치며, 존속되어야 한다는 당위론은 성립될 수 없다. 지금은 학교교육이 어떤 형태로 변화되어 갈 지 속단할 수는 없지만, 사회의 변화가 필연적인 것이라면 학교교육도 변화에 소극적이어서는 안될 것이다.
1) NIE (newspaper in education)--신문은 종합적인 정보수용 및 전달체이다. 요즘은 섹션신문이라하여 현대 생활의 제 부면을 망라하고 있다. 앞으로의 학교교육도 기존의 제한된 교과내에서 이루어지기 보다는 보다 포괄적인 삶의 국면들을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종합적 정보매체화한 신문의 내용은 앞으로의 교육이 다루어야 할 교과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고 또 활용될 수 있다.
NIE로서 신문이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 교육적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성찰과 철저한 인식이 수반되어야 한다. 하루하루의 독자들을 위한 신문, 즉 그 날 읽고 폐기되는 신문이 아니라 두고 두고 학생들의 장래에 영향을 주게 된다는 사실은 자못 우리를 엄숙하게 만든다.
지방지의 경우 자치제의 실시 및 정착과 관련하여 nie의 기능은 앞으로 더욱 제고되어야 할 것이다. 자라나는 세대가 우리 고장에 관심을 갖고 지역공동체의 삶에 적극적인 참여자로 성장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고장신문을 통한 학습이 절실하다. 지방지의 위상이 낮은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위축된 자세를 버리고 장차의 독자들을 확보한다는 의미에서도 이 기능은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2) database--신문과 교육이 공동노력 해야할 분야--앞으로의 교육은 know-where, 즉 필요한 정보를 어디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찾아서 활용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학교건 가정이건 교육장소의 중요성은 줄어들 것이고 정보검색기기가 있는 곳이 곧 교육의 장이 될 것이다. 대학의 강좌도 cyber system화 되고 있다. 그 구심적 역할을 현재 신문사가 담당하고 있다(조선일보). 이를 위해 잘 짜여진 databased의 개발은 국가경쟁력 제고에 필수적. 또한 자체의 database 개발 뿐아니라 종합정보 관리기능도 요구된다. 경남신문을 비롯한 모든 신문이 database화 하고 또 추천 웹사이트 제시를 통해 종합적 네트웍을 형성하는 것이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이제 우리는 분명 새로운 세기를 맞으며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문명사적 대변혁의 도전에 응전해야 할 때다. 패러다임의 전환을 실천해야 할 시대적.사회적 요청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전환기적 과정에서 교육과 신문이 감당하여야 할 역사적 몫은 무엇인지를 검토해 보는 것은 시의 적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유익한 토론의 기회가 계속 거듭되어서 우리의 사명인 지방화, 자율화, 세계화 시대를 성숙시켜갈 창의적이고 삶의 질을 보장하는 지역사회의 언론의 책임과 교육의 사명을 다하는 학교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참여하는 계기가 되도록 하자.
- 참 고 문 헌 -
▶ 金璟東, 發展의 社會學, 서울:文學과 知性社, 1979.
▶ 김경동, 21세기 사회전망과 미래 교육, 교육개발, 한국교육개발원, 1997. 9월, 30-35쪽.
▶ 김태길, 한국의 미래상과 인간교육의 과제, 敎育學硏究, 한국교육학회, 1993. 제 31권 제 4호, 1-10쪽.
▶ 손석춘, 신문 읽기의 혁명(개마고원 신서 9), 서울:개마고원, 1997.
▶ 신극범, 고도정보화 시대의 한국교육의 과제, 敎育學硏究(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한국교육학회, 1996. 34권 제 4, 1-15 쪽.
▶ 李敦熙, 21세기의 사회와 한국의 교육, 敎育學 硏究, 제 31권 제 4호, 1993. 11-30쪽.
▶ 정범모, '한국인의 새로운 삶을 위하여', 교육월보, 1993. 1월호, 교육부, 50-53쪽.
▶ 鄭範謨, 未來의 選擇, 서울: 도서출판 나남, 1989.
▶ 차경수, '열망과 좌절, 그리고 반항:변동사회 속의 한국청년문화의 특징과 과제', 청소년 문화, 서울: 한국청소년연구원, 1990. 7
▶ 차경수, 세계화와 시민의식,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사회교육연구소, 세계화, 시민의식, 시민교육:1994년도 시민교육 세미나, 4-19쪽.
▶ 허병두 지음, 신문활용교육이란 무엇인가:NIE의 이해와 실제, 서울:중앙M&B, 1998.
▶ 황정규, '인간과 미래', 황정규 편, 未來指向의 人間敎育,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1986.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10.03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0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