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학급신문과 학급문집의 정의
Ⅲ. 학급신문과 학급문집의 중요성
Ⅳ. 학급신문과 학교문집의 목표
1. 넓은 의미의 목표
2. 좁은 의미의 목표
Ⅴ. 학급신문과 학급문집의 단계와 유의점
1. 학급신문 및 문집 제작단계
2. 학급신문 및 문집을 만들면서 유의해야 하는 점
Ⅵ. 학급신문과 학급문집의 시사점
Ⅶ. 결론
참고문헌
Ⅱ. 학급신문과 학급문집의 정의
Ⅲ. 학급신문과 학급문집의 중요성
Ⅳ. 학급신문과 학교문집의 목표
1. 넓은 의미의 목표
2. 좁은 의미의 목표
Ⅴ. 학급신문과 학급문집의 단계와 유의점
1. 학급신문 및 문집 제작단계
2. 학급신문 및 문집을 만들면서 유의해야 하는 점
Ⅵ. 학급신문과 학급문집의 시사점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궁금증이 발동하기 때문이 아닐까? 재질을 발견하는 장소가 되기도 한다. 평소에 잘 드러나지 않던 글쓰기 실력을 놀랍게 바라보는 기회가 되기도 하고, 글속에서 새롭게 만나는 삶의 깊이에 선입견을 씻어버리는 자리가 되기도 한다. 어떤 아이들은 만화 실력으로, 어떤 아이들은 만평 실력으로 놀라게 한다. 담임 선생님을 멋지게 그려서 다른 아이들의 탄성을 자아내기도 하는 숨은 재주꾼도 있다.
글씨는 엉망이면서도 글에 내용을 담는 아이들은 참으로 큰 기쁨을 준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중요한 상담 기회가 되기도 한다. 모둠일기와 더불어 전혀 엉뚱한 일을 알게 해주는 계기가 되어 또 다른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자리를 가지게도 하기 때문이다.
담임에게 보내는 채찍의 역할은 덤으로 얻을 수 있는 이삭이라는 생각이 든다. 담임을 맡고 나면 처음에는 거창한 계획을 세워서 해보고 싶은 일들이 많다. 하지만 현실적인 여건이 허락하지 않거나 게을러져서 처음에 계획했던 일들을 제대로 실천해나가기가 쉽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 때 학급 문집은 여지없이 채찍이 되어 다가선다.
Ⅶ. 결론
한 편의 글이 활자화 되어 독자에게 알려지게 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물론 여기엔 시간과 경비 그리고 노력이 뒤따르게 되므로 차일 피일 미루다보면 한 해가 훌쩍 지나가곤 하는 것이다. 시작이 반이다,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고 했다. 학교, 학급을 책임지고 있는 선생님들이 어린이들의 표현 능력의 신장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의 개선 차원에서 학교(학급) 문집 발간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때에 어린이들의 맑고 고운 마음속에는 깊고 넓은 사고와 창작력이 솟아나리라 생각한다.
문집을 통해 아이들이 마음과 사고가 쑥쑥 자라는 모습을 보는 것 같고, 문집 읽기와 문집에 실려있는 친구들의 고민과 주장에 대해 토의를 하고 나면 서로 이해하고 도와가는 태도를 볼 수 있다. 이래서 우리 학급 월 문집은 어린이, 학부모, 담임 교사가 서로의 느낌과 생각을 나누면서 교육을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매체로 자리잡고 있다.
참고문헌
▷ 강소천(1962), 아동문학이란 무엇인가?, 아동문학 제1집, 배명사
▷ 석용원(1979), 아동문학 개설, 예문관
▷ 이상금·장영희(1990), 유아문학론
▷ 유창근(1991), 현대아동문학론, 동문사
▷ 이재철(1988), 아동문학의 이론 3판, 형설출판사
▷ L. H. Smith 원저 김요섭 역(2000), 아동문학론, 교학사
글씨는 엉망이면서도 글에 내용을 담는 아이들은 참으로 큰 기쁨을 준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중요한 상담 기회가 되기도 한다. 모둠일기와 더불어 전혀 엉뚱한 일을 알게 해주는 계기가 되어 또 다른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자리를 가지게도 하기 때문이다.
담임에게 보내는 채찍의 역할은 덤으로 얻을 수 있는 이삭이라는 생각이 든다. 담임을 맡고 나면 처음에는 거창한 계획을 세워서 해보고 싶은 일들이 많다. 하지만 현실적인 여건이 허락하지 않거나 게을러져서 처음에 계획했던 일들을 제대로 실천해나가기가 쉽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 때 학급 문집은 여지없이 채찍이 되어 다가선다.
Ⅶ. 결론
한 편의 글이 활자화 되어 독자에게 알려지게 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물론 여기엔 시간과 경비 그리고 노력이 뒤따르게 되므로 차일 피일 미루다보면 한 해가 훌쩍 지나가곤 하는 것이다. 시작이 반이다,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고 했다. 학교, 학급을 책임지고 있는 선생님들이 어린이들의 표현 능력의 신장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의 개선 차원에서 학교(학급) 문집 발간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때에 어린이들의 맑고 고운 마음속에는 깊고 넓은 사고와 창작력이 솟아나리라 생각한다.
문집을 통해 아이들이 마음과 사고가 쑥쑥 자라는 모습을 보는 것 같고, 문집 읽기와 문집에 실려있는 친구들의 고민과 주장에 대해 토의를 하고 나면 서로 이해하고 도와가는 태도를 볼 수 있다. 이래서 우리 학급 월 문집은 어린이, 학부모, 담임 교사가 서로의 느낌과 생각을 나누면서 교육을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매체로 자리잡고 있다.
참고문헌
▷ 강소천(1962), 아동문학이란 무엇인가?, 아동문학 제1집, 배명사
▷ 석용원(1979), 아동문학 개설, 예문관
▷ 이상금·장영희(1990), 유아문학론
▷ 유창근(1991), 현대아동문학론, 동문사
▷ 이재철(1988), 아동문학의 이론 3판, 형설출판사
▷ L. H. Smith 원저 김요섭 역(2000), 아동문학론, 교학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