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상담의 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상담의 이론과 실제Ⅰ
1. 프로이드의 아동기 이해
1) 구순기 ( 0 - 만 1세 까지 )
2) 항문기 ( 만 1세 - 만 3세 )
3) 성기기 ( 만 3세 - 만 5 세 )

2. 에릭 버언의 아동기 이해

3. 아동상담의 실제
1). 개인 상담
2) 내 이야기 ( my story ) 써오기
3) 바램과 소원을 말하기 . 그림편지 보내기
4). 사랑의 쓰다듬기
5). 또래 상담 ( Peer Counseling ) 프로그램 : 감정 서로 나누기

상담의 이론과 실제Ⅱ
1. 청소년기의 심리와 과제

2. 일탈청소년 상담
1) 일탈행위( deviant behavior )의 정의
2) 일탈행위의 원인과 특징
3) 일탈청소년 상담

3. 결 론

본문내용

요구로부터 자신을 도피하려는 반응이다(1,2,5,6,). 세 번째는 일탈적인 성취욕, 호기심이다(3,7). 즉 정상적인 방법이 아닌 빗나간 방법으로라도 현실보다 더 나은 느낌, 감정을 맛봄으로써 실패한 삶, 낙오된 생활에서 벗어나 활력을 얻고자 하는 노력이다.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 무엇인가 자신의 일을 해 보려고 하고 있었다(7). 다만 그 방법이 술이나 약물을 통해 이루어 보려는데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네째는 또래 집단으로부터의 경험한 소외감의 치유를 삐뚤어진 또래 집단을 통해서 얻어 보려는, 소속감을 느끼기 원하는 관계에의 바램인 것이다.
이상 그들의 여러가지 대답을 나름대로 분석해 보았다. 이 분석 결과, 우리는 그들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게 되었다. 그것은 먼저 그들이 친구가 필요했고, 인정받을 대상이 필요했고, 자신의 삶을 회피하지 않고 용기를 가지고 직면할 수 있는 삶의 돌파구, 비젼있는 미래적 삶의 패턴 제시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들 연령층에 자칫 빠질 수 있는 삐뚤어진 가치관, 왜곡된 인생관의 바른 수정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위와같은 진단결과에 의해서 상담자는 일탈청소년 상담의 목표를 먼저 왜곡된 가치관, 인생관 즉 왜곡된 신념의 변화에 두어 어떻게 살든지 당면한 입시문제, 가정문제, 성격문제, 소외감을 잊기위해 알코올, 약물등을 통해 자신을 잊고 황홀감에 빠져보면 그것도 재미있는 삶이라는 인식에 대한 수정이 필요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꼬이고, 삐뚤어진 생각들을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로 바꾸어 나가면 즉 왜곡된 생각들(dyfunctional thoughts)을 이성적 판단에 의해서 올바른 생각으로 바꾸어 수용하면 그의 일탈적 행동은 교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일탈행위는 일탈적 사고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아래에 한 상담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현민이가 상담자를 찾아온 것은 겨울 어느날 오후였다. 그는 고등학교 1학년 남자학생이다. 그의 어머니는 상담자에게 성경공부를 하는 집사님이었는데 며칠전 그녀는 자기 아들이 너무 과격한 행동을 하여 이제는 감당할 수 없게 되었다고 호소했다. 현민이는 늘 어머니를 무시하고 가정에 별 관심이 없이 항상 바쁘고, 가끔 집에 함께 있으면 소리를 지르거나 권위적인 태도로 행동하는 아빠에게 불만이 많았다. 아빠가 사업에 실패하자 채무자들을 피해 다니느라고 현민이는 국민학교 시절 내내 이사를 다녀야 했고, 학교도 수시로 전학을 해야했다. 중학교 2학년 때부터 아빠의 사업이 잘되어 경제적으로 안정이 되고 여유가 생기자, 현민이는 엄마에게 용돈을 받아 친구들과 어울려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고 방과 후에 당구장에 다니며 여자친구들과 디스코장에도 다녔다. 이를 말리는 엄마에게 현민이는 아빠가 엄마에게 하듯이 소리를 지르고 욕을 하면서 닥치는 대로 그릇도 던지고 난동을 부리곤 한다. 현민이는 화가 나 있으면 엄마는 벌벌 떨고 무서워하고 그 아이를 달래느라, 비위를 맞추곤 한다는 것이다. 현민이의 방문은 주먹으로 쳐서 문 앞쪽에 구멍이 펑하니 뚫려있다.
상담자가 현민이를 만났을때, 그리고 그가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 놓을때, 그의 얼굴에는 분노가 가득했다. 그의 문제의 원인은 아빠에 대한 분노에 있었다. 사업 실패하여 돈이 없다고 가지고 싶었던 자전거도 안 사주었고, 컴퓨터도 안 사 주었으면서 늦도록 술을 마시고 들어와서는 엄마를 때리고 괴롭히는 아빠가 미웠다. 이제 생활에 여유가 생겼지만, 현민이의 아빠에 대한 미움은 더 심해만 갔다. 어느날 우연히 아빠의 옷장 밑에 떨어진 종이 쪽지를 보게 되었는데, 그것은 할머니에게 보냈던, 이혼한 고모에게 부쳐준 생활비를 위한 온라인 입금표였다. 아빠는 나와 엄마에게는 지금도 여전히 관심도 없고, 인색하면서 어려울때 도와 준적도 없는 할머니와 고모에게는 생활비를 보내는 것이 화가 난 것이다. 현민이는 이들과 아버지를 모두 죽이고 싶다고 했다. 그래서 방문짝도 뚫어놓고, 난동을 부린다는 것이다.
상담자는 모든 현민이의 일탈행위가 아빠에 대한 미워하는 생각에 있다고 보아, 이 아빠에 대한 생각들의 왜곡인 요소들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사고로 전환시키는 것을 상담의 목표로 삼았다. 초기 상담에서 현민이는 자신의 생각이 늘 부정적은 아닌지 만일 비합리적이라면 어떤 생각이 이성적인 대답일지를 적어 오도록 요구 받았다.
아래에 그 목록표의 한 부분을 보면,
상황
느낌
부정적 사고
이성적 사고
아빠에게 컴퓨터를 사달라고 했더니 사주지 않았다.
분노
아빠는 늘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거절한다.
아빠가 거절을 했지만 항상 거절하신 것은 아니다. 지난주에 내가 부탁한 나이키 운동
화는 사주셨다.
몇일전, 아빠가 할머니와 고모에게 보내는 온라인 입금표를 우연히 발견했다.
소외감
할머니와 고모는 언제나 우리를 못살게 쫓아 다닌다. 그들은 없어져야 할 존재들이다. 아빠는 나쁘다.
할머니와 고모가 늘 나를 못살게 한 것은 아니다.아빠돈을 가져간것만 빼면 내게 친절하고 사랑도 보여 주신다. 아빠는 나쁜분이 아니라 부양할 가족을 돌보는 책임있는 아들이며,오빠이다.
위의 목록표를 작성하면서 현민이는 아빠에 대한 생각중 많은 부분이 왜곡되었음을 발견하게되었다. 그 왜곡된 부분들을 인정하고 감정적으로 용납하여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로 바꾸어 나가기 까지 여러차례를 상담치유 과정이 필요했다.
현민이는 결국 아빠에 대한 자신의 어느만큼의 왜곡된 사고를 수정하기로 결단하였다. 그리고 아빠에 대한 생활에서의 서운한 감정은 아들의 일탈행위에 대해 뒤늦게 염려하게된 아빠와의 대화를 통해 서서히 회복되어갔다. 현민이는 이제 자기 방문의 뚫어진 구멍을 쑥스러워 하며 달력으로 이를 가려 놓았다.
3. 결 론
1) 상담자로서의 교사의 자세
(1) 진지성(Genuineness)
(2) 정확한 공감(Accurate Empathic Understanding)
눅 15:11-32 의 두아들의 Case
(3) 무조건적인 용납(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마 9:35-36 예수님의 파토스
(4) 상담자의 위치정립 - The Bridge of God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2.10.03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