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교육과 비디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비디오의 특성
1)특성 및 교육적 의의
2)비디오의 장점
3)비디오의 단점

2. 방송과 비디오
1)방송과 비디오는 다르다

3. 교회교육에서의 활용
1)활용의 장
2)활용의 단계

4. 비디오 프로그램 기획
1)기획이란 무엇인가
2)프로그램 제작 기획

5. 프로그램 제작과정
(1) 촬영
(2) 편집

6. 웍샵
(1) 기획서

본문내용

.
-나레이션, 음악, 효과음 등을 써넣는다.
-카메라 워크등 세부적인 표현을 결정한다.
준비
-스케줄을 결정한다.
-출연자, 스탱, 소품 등을 결정한다.
-비디오 기재를 정리하고 준비한다.
촬영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과 음성을 수록한다.
편집
-촬영한 테이프를 대본의 흐름에 따라 순서를 맞춘다.
-필요에 따라서 음악, 나레이션등을 첨가한다.
완성
-편집이 완료되면 시사를 거쳐 완성한다.
②제작스텝의 역할
스 텝
역 할
연출(P.D, A.D, F.D)
프로그램 제작의 연출담당 책임자. 기획자의 의도에 따라 제작현장에서 스스로 제작스탭을 지휘하고,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하는 연출자(P.D)와 그 보좌(A.D,F.D)
카메라멘
켐코더를 조작하여, 연출효과를 충분히 표현하는 화면을 만든다.
구성작가
프로그램의 대본을 쓰는 사람
편집(T.D)
기술 스탭을 지휘하며, 디렉터와 협력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 제작을 맡은 기술부문의 책임자
조명
조명 조작 담당자, 조명 기구를 준비하고 운용 조작
음악, 음향담당
효과음과 음악을 만드는 사람으로 소리를 녹음하여 재편성하는 일을 맡는다.
5. 프로그램 제작과정
(1) 촬영
1) 훌륭한 촬영을 하려면
* 수동 기능의 활용 / 자동을 이용하기 보다 수동을 사용할때 좋은 영상을 만들 수 있다.
① 초점보내기 / 자동으로 할 수 있지만 초점이동을 통해 시선을 옮겨가는 기법을 배워야 한다.
② 실루엣 촬영 / 역광촬영을 말한다.
* 카메라 워크의 70-80%는 고정촬영 / 고정촬영은 안정감을 느끼게 한다.
① 카메라가 고정되어야 하는 이유 / 피사체에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 편집시에 연결하기 편리하다. 미묘한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촬영자의 존재를 감지하지 못하도록 한다.
② 흔들림을 방지하는 방법 / 삼각대 없이 화면을 안정시키려면 카메라와 친숙해 져야 한다.
*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느낌 / 카메라를 어떤 높이에서 활영하느냐?
① 아이 레벨 포지션 / 사람이 서있을 때의 눈높이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방법
② 웨이스트 레벨 포지션 / 허리 높이에서 카메라를 들이대는 방법
③ 로 포지션 / 바닥에 앉아 무릎의 위치에서 카메라를 잡는 방법
* 앵글에 따라 달라지는 느낌
① 수평앵글 ② 로 앵글 ③ 하이 앵글
2) 인물 숏의 선택
와이드 숏(WS):전체장면을 넓게 보여주는 이 화면은 주피사체들과 그들 서로간의 관계를 나타내준다. 이 와이드 숏은 관람자를 화면으로 유도하는 매우 중요한 숏이다.
롱 숏(LS): 와이드 숏보다 가깝게 보이는 이 롱 숏은 피사체들을 일반적인 배경으로부터 분리시켜서 화면의 주된 테마로 관심을 모이게 한다. 화면의 아래 위로 어느 정도 공간을 남겨두고 전체 인물을 다 포함하고 있다.
미디엄 숏(MS): 인물의 일부를 생략함으로써 관심이 쏠리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다른다. 허리의 위쪽으로 하면을 구성한다. 이에 이어서 촬영할 수 있는 것은 가슴높이에서 자르는 미디엄 클로즈업이 바람직하다.
클로즈업(CU): 얼굴의 표정이나 세부를 자세하게 나타내려 할 때 적합하다. 머리윗부분에 약간의 공간을 남겨두고 어깨 바로 밑에서 자른다.
빅크로즈업(BCU): 시각적으로 주의를 끌며 박진감을 주는 숏이다. 이것은 이마부분에서 턱 바로 위까지를 포함한다. 이 숏은 절제해서 사용하지 않으면 극적인 효과를 충분히 살릴 수가 없다.
* 화면 크기와 영상표현 / 비디오 카메라로 얻을 수 있는 영상은 3대4의 사각 프레임 속에 한정된다.(영화는 9:16)
①숏의 크기에 따라 화면의 의미가 달라진다.
②롱 숏은 화면 구석까지 신경 써야 한다.
③인물이 있는 롱 숏은 색에 주의해야 한다.
* 클로즈업 숏과 롱 숏의 용도
①클로즈업 숏은 촬영 위치 선정이 중요
②클로즈업 숏의 화각과 느낌 / 광각과 망원의 차이
③스토리를 만들기 위한 컷의 구성 / 롱숏은 스토리를 위해 필요한 것이다.
3) 컷의 연결
* 컷의 표현의도 / 편집을 의식한 영상을 수록
* 연결 숏과 연결되지 않는 숏
① 동일 피사체에서 움직이고 있는 피사체에 대해서는 같은 위치, 같은 각도의 컷은 연결하지 않는다.
② 동일 카메라 워크의 컷은 직접 연결하기 어렵다.
③ 상황설정은 롱숏으로 한다.
④ 인서트 것은 클로즈업 숏으로 한다.
⑤ 동일한 크기의 화면은 직접 연결하지 않는다.
⑥ 화면 크기의 변화로 영상의 리듬을 만든다.
⑦ 각 숏에 타이밍의 변화에 의한 리듬을 만든다.
4) 카메라 워크
* 고정촬영(fix)
* 주밍(zooming)
* 패닝(panning)과 틸팅(tilting)
* 팔로우(follow)
* 트랙(track)
* 달리(dolly)
(2) 편집
1)카메라 편집
- 캠코더로 촬영시 가상의 콘티를 가지고 촬영을 할 때 편집을 하면서 촬영하는 것을 말한다.
-카메라 편집시에는 잘못된 컷(NG)이 없이 촬영해야 하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 다.
-앞에서 촬영한 컷의 크기, 카메라워크등을 정확하게 기억해야한다.
-촬영시 스템바이상태로 들어갔을 때에는 서치로 촬영한 컷의 키점을 확인할 수 있다.
-촬영을 하고난 후 정지를 한 다음 촬영하기 위해서는 블랙상태를 없애야 하며, 전에 촬영한 컷의 끝점을 정확히 서치해야 한다.
-촬영이 끝나면 적절한 음향과 함께 편집을 완료할 수 있다.
2)VTR 편집
-편집이 가능한 VTR을 사용해 편집할 경우에는 어셈블 편집과 인서트편집을 할 수 있다.
-어셈블 편집은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녹화하는 것을 말한다.
-인서트편집은 영상과 음성을 나누어 편집하며 어셈블 편집상태에 영상과 음성을 적절하게 넣을 수 있다.
-가정에 있는 VTR로 편집하기 위해서는 일시정시를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 (블 랙상태를 없애기 위해서)
6. 웍샵
(1) 기획서
제목: 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제작일정
촬영장소
(실내)
(옥외)
제작 스테프
(연출) (카메라) (조명)
(진행) (연기자)
사용기재
준비용구
유의할 점
기안자:
기획의도
방영일시:
제작목적:
활용방안:
시청대상:
목표:
구성
(주제)
(서론)
(본론)
(결론)
작성일:
2)콘티 작성
No
카메라
영상
음성(나레이션)
1
2
3
4
5
6
7
8
9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10.03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1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