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종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한국의 기독교회 역사』 Ⅰ -Ⅱ
신학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 역사를 기술했기에 일반학자의 눈으로 본 한 국 교회의 역사는 한계가 있다. '1907년의 성령의 역사'를 그들은 선교사들 이 한국교회 독립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내세지향적인 신앙에 관심갖도록 한 운동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인간이 어떤 목적을 가지고 한 운동이 아니다. 평양 신학교 사경회 마지막 날에 성령이 부어진 것이었 다. 성령에 대한 이해가 없는 그들이기에 가지는 한계다.
그러나, 한국 근대사에 관련된 부분은 참고할 부분이 많다. 이들이 많은 관 변자료를 인용하고 있는데, 관변자료도 객관적 자료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점 이 있다.
5. 섭리사관, 구속사관 --- 함석헌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 역사』
김교신 『성서조선』
섭리사관은 위 네가지 사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오히려 위 모든 것들을 다 공부해야 한다. 그러나, 섭리사관도 하나님의 섭리를 주관적인 입장에서 서 술할 수 밖에 없다.
한국교회의 역사
섭리사관
경교가 한국에 전파되지 않은 것은 하나님의 섭리다.
경교는 이단사설이기 때문이다.
세스페데즈가 한국에 천주교를 전파하지 않은 것은 하나님의 섭리다.
점령군과 함께 왔기 때문이다. 역사를 보면 지배자의 종교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는 것 을 자명한 사실이다. 인도네시아의 경우가 그랬다. 점령군의 종교로 천주교회가 전파 되지 않은 것은 참 다행한 사실이다.
소현세자에 의해 한국에 천주교가 전파되지 않은 것은 하나님의 섭리다.
왕권에 의해 위에서부터 그리스도교가 전파되었다면, 남미나 필리핀처럼 기독교국가 는 되었겠지만, 실제로는 거듭나지 못한 그리스도인들이 넘쳐나는 국가가 되었을 것이 다. 그러므로 이것도 하나님의 섭리였다.
한국 천주교회의 특징.
천주교회는 종교적 관심보다는 학문적 관심에서부터 시작되었다.
① 천주교회는 한국 사람의 구도에 의해 시작되었다. 실예)
② 학자들의 학자들 호기심에서 시작된 천주교회가 상류(집권, 양반, 관리)와 중류층에서 시작되었다. 천주교회는 정변과 연결된다. 즉 정치적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1801년 신유교란의 시파와 벽파, 1839년 기해교란 풍향조씨와 안동김씨 등 권력싸움에 휘말리다.
③ 상하에서 하로 내려오는 선교전략, 물리적 힘에 의한 선교 방법이 조선에서도 지속되었다.
④ 한국의 천주교회는 성사적Sacramental(성서적에 반대되는 말, 성례중심)교회였다. 결속력은 강화되었지만, 선교에는 방해가 되었고, 선도들이 말씀으로 양육되는 것이 약화되게 되었다. 천주교는 쪽복음 하나 번역하지 않았고, 교리서만 번역했다.
⑤ 급진적 대치주의를 도입함으로 기존의 문화와 충돌하는 우를 범했다.
제사문제, 왕권의 절대성을 부인, 사회신분 제도를 거부.
⑥ 참하나님 참신(창조주, 역사의 하나님, 인격적 하나님)을 소개해 주었다.
⑦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전통문화와 접촉하려고 노력했다. 한문의 가치를 인정하고 교리서를 한글로 찍어내고 경향신문을 한글로 찍어내게 했다. 단어와 문법의 통일을 가져왔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0.0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3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