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유료화의 개념
Ⅲ.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 배경(최성재, 1999 최성재) Ⅳ. 사회복지 서비스 유료화의 필요성
Ⅴ. 사회복지 서비스 유료화의 문제점
Ⅵ. 유료화의 사회복지적 의미에 대하여
Ⅶ. 한국의 현실과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
Ⅷ. 결 론
Ⅱ. 유료화의 개념
Ⅲ.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 배경(최성재, 1999 최성재) Ⅳ. 사회복지 서비스 유료화의 필요성
Ⅴ. 사회복지 서비스 유료화의 문제점
Ⅵ. 유료화의 사회복지적 의미에 대하여
Ⅶ. 한국의 현실과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
Ⅷ. 결 론
본문내용
되었지만 모든 대상을 국가의 공공부문이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지불 능력이 있는 대상에 대한 일부 서비스에 관하여 비용의 일부를 부과하거나 또는 경제시장에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그 공급주체도 다양해지는 것은 필요하다. 국가가 전통적인 범주에서 국가재정으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회의 공공재적 성격인 공통적 욕구 외의 부가적 요구에 대하여는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Ⅵ. 한국의 현실과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
서구 복지국가에서 서비스의 유료화 논의가 지나친 사회복지 재정 부담에 의한 정부실패와 무관하지 않다. 즉, 복지서비스에 대한 국가의 지나친 투자에 대한 반발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라는 화두는 우리의 현실과 동떨어져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러나 우리의 사회복지 현실에서 유료화 경향은 실버산업을 중심으로 보편화되어 있으며, 앞으로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우리의 사회복지 현실에 맞는 유료화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는 중요한 관심사가 될 수 있다. 그러면 한국의 사회복지에서 경제적 시장에 의한 유료화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고 언제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 보도록 하겠다.
우리나라는 저소득층에 대한 생계보장조차 달성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는 저소득층의 생계보장 및 나아가서 최저 한도의 생활보장을 포함한 기본적 욕구 해결을 위한 사회서비스-예를 들면 보육서비스나 성인 주간보호 서비스 등-에 계속 정책적 관심을 두어야 하겠지만 중산층 이상의 복지 수요에도 유의를 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아동, 장애인, 노인, 청소년, 가족문제, 여가문제 등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현상이고 그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중산층 이상의 욕구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국가는 이러한 수요를 더 이상 무관심하게 방치할 수 없을 것이다.
이들의 복지적 서비스를 국가재정에서 해결해 줄 수 없다고 그대로 방치해 둔다는 것은 국가의 책임 방기라 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이들의 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수익자 부담 원칙으로 경제시장에서라도 해결하도록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현재 한국의 사회복지 급여 중 앞으로 국가가 기본적으로 제공하여야 할 것이 많을 것이다. 그러한 급여를 국가가 가능하면 무료로 제공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지만 모든 복지 서비스를 국가재정으로 중산층 이상까지 지원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부의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유료화는 불가피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에 편승하여 정부의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책무를 민간부문에 떠넘겨서는 안 될 것이다. 아무리 서비스의 전달주체가 다양화한다 하더라도 사회복지의 사회적 복지 향상이라는 이념에 의한 국가 역할의 중요성은 가벼워질 수 없다.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 논의가 결코 정부의 부담을 덜어주고 복지국가를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중산층 이상의 수익자 부담 원칙을 적용하는 것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는 국민의 기본생활 보장을 위한 정책적 노력과 다양한 복지 욕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더불어 해야 할 것이다.
Ⅶ. 결 론
이상에서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 배경, 유료화의 필요성 및 문제점, 그리고 우리 현실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유료화는 여러 가지 요인을 원인으로 하고 있지만 유료화는 결국 사회복지 재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사회복지의 전통적 개념에 대한 고수는 서구 복지국가의 보수주의로의 회귀와 신보수주의적 경향, 세계적 경제 둔화라는 현실 앞에서 심각하게 재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의 전통적 개념에 얽매여 현실적 변화의 수용을 거부한다면 사회복지의 개념이 공허한 이데올로기나 현실성 없는 관념에 불과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복지 서비스의 유료화가 복지국가의 발달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러한 흐름이 우리의 복지국가 발전에 있어 중요한 점을 시사하고 있으므로 계속 논의하며 연구할 과제일 것이다. 우리의 현실에서 정부 재정이 큰 폭 국방비에 지출되는 특수한 상황이므로 복지에 대한 투자가 인색하지만 앞으로 통일이 되었을 경우 국방비의 지출 감소와 함께 각종 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증가할 것이고 이에 따른 복지 예산이 증가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렇다면 서비스의 욕구에 따라 유료화 기제를 선택적으로 조심스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태성 외, 복지국가론, 서울: 나남, 1993
NASW, 1999, 사회복지대백과사전, 이문국 외 1인 역, 서울: 나눔의집
장인협, 社會福祉學槪論,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김영종,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학지사, 1998
김형식 외,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동인, 2001
성규탁, 社會福祉行政論, 서울: 法文社, 1993
최성재 외,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나남, 1993
강환순, 1992, 社會福祉 서비스의 傳達體系 改善에 關한 硏究, 석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한국사회복지학회, (2000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공동개최)한국사회복지학회 논문발표 자료집, 청주: 2000
한림과학원 편, 사회복지제도의 쟁점과 과제, 서울: 小花, 1999
한국사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실, 세계의 사회복지, 서울: 인간과 복지, 1999
신건희, 신 사회복지학 개론, 서울: 문음사, 1998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사회복지연구, 서울: 1996
박차상, 한국 사회복지 행정론 : 수요자 중심 접근방법, 서울: 대학출판사, 1999
한국사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실, 한국사회복지의 현황과 쟁점, 서울: 인간과 복지, 1998
기 고 자
소 속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학 년 : 3학년
학 번 : 9648039
성 명 : 최 권 호
연락처 : 017-704-9156
titus-choi@hanmail.net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그 공급주체도 다양해지는 것은 필요하다. 국가가 전통적인 범주에서 국가재정으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회의 공공재적 성격인 공통적 욕구 외의 부가적 요구에 대하여는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Ⅵ. 한국의 현실과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
서구 복지국가에서 서비스의 유료화 논의가 지나친 사회복지 재정 부담에 의한 정부실패와 무관하지 않다. 즉, 복지서비스에 대한 국가의 지나친 투자에 대한 반발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라는 화두는 우리의 현실과 동떨어져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러나 우리의 사회복지 현실에서 유료화 경향은 실버산업을 중심으로 보편화되어 있으며, 앞으로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우리의 사회복지 현실에 맞는 유료화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는 중요한 관심사가 될 수 있다. 그러면 한국의 사회복지에서 경제적 시장에 의한 유료화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고 언제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 보도록 하겠다.
우리나라는 저소득층에 대한 생계보장조차 달성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는 저소득층의 생계보장 및 나아가서 최저 한도의 생활보장을 포함한 기본적 욕구 해결을 위한 사회서비스-예를 들면 보육서비스나 성인 주간보호 서비스 등-에 계속 정책적 관심을 두어야 하겠지만 중산층 이상의 복지 수요에도 유의를 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아동, 장애인, 노인, 청소년, 가족문제, 여가문제 등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현상이고 그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중산층 이상의 욕구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국가는 이러한 수요를 더 이상 무관심하게 방치할 수 없을 것이다.
이들의 복지적 서비스를 국가재정에서 해결해 줄 수 없다고 그대로 방치해 둔다는 것은 국가의 책임 방기라 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이들의 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수익자 부담 원칙으로 경제시장에서라도 해결하도록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현재 한국의 사회복지 급여 중 앞으로 국가가 기본적으로 제공하여야 할 것이 많을 것이다. 그러한 급여를 국가가 가능하면 무료로 제공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지만 모든 복지 서비스를 국가재정으로 중산층 이상까지 지원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부의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유료화는 불가피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에 편승하여 정부의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책무를 민간부문에 떠넘겨서는 안 될 것이다. 아무리 서비스의 전달주체가 다양화한다 하더라도 사회복지의 사회적 복지 향상이라는 이념에 의한 국가 역할의 중요성은 가벼워질 수 없다.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 논의가 결코 정부의 부담을 덜어주고 복지국가를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중산층 이상의 수익자 부담 원칙을 적용하는 것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는 국민의 기본생활 보장을 위한 정책적 노력과 다양한 복지 욕구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을 더불어 해야 할 것이다.
Ⅶ. 결 론
이상에서 사회복지 서비스의 유료화 배경, 유료화의 필요성 및 문제점, 그리고 우리 현실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 유료화는 여러 가지 요인을 원인으로 하고 있지만 유료화는 결국 사회복지 재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사회복지의 전통적 개념에 대한 고수는 서구 복지국가의 보수주의로의 회귀와 신보수주의적 경향, 세계적 경제 둔화라는 현실 앞에서 심각하게 재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사회복지의 전통적 개념에 얽매여 현실적 변화의 수용을 거부한다면 사회복지의 개념이 공허한 이데올로기나 현실성 없는 관념에 불과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복지 서비스의 유료화가 복지국가의 발달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이러한 흐름이 우리의 복지국가 발전에 있어 중요한 점을 시사하고 있으므로 계속 논의하며 연구할 과제일 것이다. 우리의 현실에서 정부 재정이 큰 폭 국방비에 지출되는 특수한 상황이므로 복지에 대한 투자가 인색하지만 앞으로 통일이 되었을 경우 국방비의 지출 감소와 함께 각종 복지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증가할 것이고 이에 따른 복지 예산이 증가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그렇다면 서비스의 욕구에 따라 유료화 기제를 선택적으로 조심스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태성 외, 복지국가론, 서울: 나남, 1993
NASW, 1999, 사회복지대백과사전, 이문국 외 1인 역, 서울: 나눔의집
장인협, 社會福祉學槪論,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김영종,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학지사, 1998
김형식 외,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동인, 2001
성규탁, 社會福祉行政論, 서울: 法文社, 1993
최성재 외,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나남, 1993
강환순, 1992, 社會福祉 서비스의 傳達體系 改善에 關한 硏究, 석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한국사회복지학회, (2000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공동개최)한국사회복지학회 논문발표 자료집, 청주: 2000
한림과학원 편, 사회복지제도의 쟁점과 과제, 서울: 小花, 1999
한국사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실, 세계의 사회복지, 서울: 인간과 복지, 1999
신건희, 신 사회복지학 개론, 서울: 문음사, 1998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연세사회복지연구, 서울: 1996
박차상, 한국 사회복지 행정론 : 수요자 중심 접근방법, 서울: 대학출판사, 1999
한국사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실, 한국사회복지의 현황과 쟁점, 서울: 인간과 복지, 1998
기 고 자
소 속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학 년 : 3학년
학 번 : 9648039
성 명 : 최 권 호
연락처 : 017-704-9156
titus-choi@hanmail.net
추천자료
사회복지서비스에서 민간 비영리단체(NGO/NPO)의 필요성 및 과제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와 전문요원
아동복지론, 이혼가정, 이혼이 아동에게 미치는 문제점과 사회복지서비스 지원 방안 보고서
사회복지서비스의 할용
사회복지서비스법
인간발달의 특성과 영아기, 유아기의 신체, 인지, 언어, 정서, 사회성 발달 특징에 대해 설명...
다문화가정이 한국 사회에서 건강한 하나의 가족 형태로 자리잡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할 수 ...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 주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신보건]정신보건(정신건강)과 정신보건서비스, 정신보건(정신건강)과 정신보건사업, 정신...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
사회복지서비스의 품질과 전달체계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권(바우처)에 대해 조사하고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바우처 사업...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공적, 사적)의 실태와 그 중 한 곳의 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