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물 발파해체 공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목차례>
1. 남산아파트 사업배경과 규모 1
(1) 사업배경 1
(2) 건물개요 1
2. 공법 개요 1
3. 수행 절차 2
4. 주요 검토사항 2
5. 주요 설계 사항 4
6. 기타 사항 7
6. 재활용 9
7. 향후 전망 10

<표차례>

본문내용

함(저장장소의 종류별 구분에 따라)
총포도검 화약류 등 단속법 제 26조, 시행령 제 34조
화약류의 운반신고
발송지 관할 경찰 서장
대상 화약류
총포도검 화약류 등 단속법 제 26조
화약류
주거지역 시도지사
사용개시 7일전
1일 200Kg이상일 때 주거지역, 특수지역등 특수폭약의 종류
소음진동 규제법 제 27조 시행규칙 35조
건 물
건물의 멸실 신고
허가
1개월 이내
건물해체로 인한 건물의 멸실
부동산등기법
제 101
(2) 주변시설물 조사
가. 주변상황
건물좌측에는 남산 1호 터널, 환기소, 남산맨숀이 위치라고 있고, 전면 소월길에는 상수도관이 통과하고 있었으며 건물앞쪽에는 단독주택, 보광동 정수사업소, 하얏트호텔이 위치하고 있었다.
표 6. 주변 주요 시설물 현황
구분
시설물명칭
최 단 거 리
( m )
발파전 측정치
발파시 측정치
비 고
진 동 (cm/s)
소 음 (dbl)
진 동 (cm/s)
소 음 (dbl)
단독 주택
22
0.007
102
0.211
100이하
남산 1호터널
남측 환기소
63
0.025
100이하
-
-
Triggerlevel
0.05 (cm/s)
보광동수원지
125
0.006
100이하
-
-
"
남 산 맨 숀
167
0.006
87
0.052
132.3
하얏트(옥상)
232
-
-
-
-
0.1 (cm/s)
나. 사전조사
주변 건물 및 주요 시설물을 모두 조사 균열, 경사 등을 미리 확인 및 계측하였고, 특히 21개의 소음진동기를 동원 사전에 초기치를 측정하였다.
(3) 주민 및 교통통제
가. 주민 통제
아파트 단지내로 위험구역(약 80m이내)을 설정 발파 2시간전부터 통제하였고 보안구역(약 130m이내)은 발파 1시간전 그리고 경계구역(약 200m)은 발파 15분전부터 통제하였다.
주변이 남산, 보광동정수사업소, 하얏트호텔 그리고 주택지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실제 통제선은 지형상황에 따라 조정하였으며, 특히 경계구역내의 남산 맨숀주민들은 외부로 대피시키지 않고 집안으로 대피를 유도하였다.
나. 교통 통제
남산 1호터널은 안전점검을 위해 발파후 15분까지, 소월길은 수도관의 안전점검 및 도로청소를 위해 발파후 30분까지 교통을 통제하얏다.
* 하얏트호텔입구 - 한남동 고가도로 : 발파전 30분 , 후 30분
* 용산 2가 동사무소 입구 - 하얏트 호텔입구 : 발파전 15분, 후 30분
* 남산 1호터널 : 발파전 30분, 후 15분(교통상황에 따라 조정)
(4) 안전점검 및 주변 청소
가. 안전점검
발파직후 15분동안 남산 1호터널 및 주변 상수도 및 전기의 이상유무점검을 위해 4인 1조로 총 10개조의 점검반이 점검을 하였으며 점검결과 모두 이상이 없었다.
나. 주변 청소
소방차 18대와 진공청소차 2대 및 관계자들이 신속히 도로청소 및 살수작업을 완료하였으며 인근 보광동 수원지 침전지 12칸은 미리 비닐막을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었다.
6. 재활용
지금까지는 국내에서 발생하고 잇는 건설폐자재의 대부분이 매립되거나 불법투기되어 자원의 낭비와 심각한 환경공해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본공사에서는 국내 최초로 철거시 발생하는 자재의 대부분을 재활용하여 환경공해를 줄임은 물론 국가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자원 재활용 시책에 부응할 수 있었다.
- 재활용 현황.
종 류
총발생량
재활용량
재활용률
폐콘크리트 및
벽돌
34,900 m
25,000 m
72 %
철 재 류
(철근 및 배관재)
2,960 ton
2,960 ton
100 %
비 철 금 속 류
(알루미늄,논스립등)
152 ton
112 ton
74 %
폐전선,변압기 등
전기관련 폐자재
68 ton
65 ton
96 %
7. 향후 전망
이번 남산아파트 발파해체공사에는 자격을 갖춘 4개의 업체가 입찰에 참여하였으나 당초 현장설명시에는 국내 유수의 건설업체들이 모두 참석하여 많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발파해체공법은 가폭방법, 발파부선정, 발파시차 등 업체마다 공법이 다양하여 일정 공법을 선정할 수가 없었으므로 설계시공 일괄 입찰로 시행하여 코오롱건설이 선정되었다.
발파해체공법은 경제성과 안정성이 확보되고 환경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법으로 선진국에서는 이미 일반화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도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향후 독자적인 공사수행능력을 배양하므로써 우리의 해체시장을 우리가 지킬 수 있으며 더나아가 동남아 등 해외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이번 공사를 총괄하면서 느꼇던 몇가지를 적어보면
첫째, 발파해체공사의 공사기간을 선정할 때는 사전 파쇄작업과 천공작업을 충분히 감안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특히 사전파쇄작업은 기계작업을 주로 하지만, 작업위치에 따라 수작업을 고려한 공기와 발파후 2차 파쇄와 재활용 자재 생산 반출을 고려한 충분한 공기가 필요하다.
둘째, 안전성 검토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았다. 인근 주민 및 교통통제의 통제범위와 통제시간을 어느 정도로 해야할지 어려웠으며 결국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고 관련기관간 협의를 거쳐 결정하였다. 특히 교통통제, 주민통제는 경찰의 협조가 필요하며 소방서 협조 역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필수적인 협조부서이다.
참고적으로 미국에서는 소관관서에서 발파인허가 및 통제를 한다.
셋째, 입찰방법 및 입찰안내서 작성과정에서 적용해야 할 적정한 규정이 미비하여 자문회의를 거쳐 결정할 수 밖에 없었으며 특히 진동, 소음, 분진의 설계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없었다. 발파해체공법의 활성화를 위해 이 분야에 대해 조속한 건설업법 보완 및 설계기준(진동,소음,분진)제정이 요구된다.
넷째, 발파해체로 인하여 발생하는 분진방지를 위해 여러가지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만 피할 수 없는 상황이며 유해물질이 함유된 재료와 배관보온재등을 미리 제거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밖에 없다.
다섯째, 구조물 철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재는 자원절약과 환경보존차원에서 재활용되어야 하고 재생자재는 건설공사에 일정량 의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국가적으로도 재생골재 생산업자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끝으로 국민들의 따뜻한 이해와 성원이 뒷받침되면 머지않은 장래에 국내 발파해체기술이 정착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2.10.1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4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