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철학에서 핵심적인 것.(중용,주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가철학에서 핵심적인 것.(중용,주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는 말
-哲學 속에서의 儒家哲學

Ⅱ.본론
①易學의 본질적 이해
②주역(周易)이해의 기초:
태극(太極)과 천(天)의 개념
③中庸에 대한 이해
④삶의 원리와 宇宙의 原理

Ⅲ.나오는 말

※참고자료

본문내용

에 의해 무한한 응용력을 지니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 역리(易理)가 우리 문화의 전통으로서 지나간 역사 속에 적용되었던 사실을 이해하는 것에 머무르고 말 수는 없다. 따라서 앞으로 남은 과제는 현재의 우리 의식 속에 남아 있는 역리의 형식을 발견하고 계발하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이다. 정치경제사회과학의 다양한 영역에서 새ㄹ운 논리로 재창조되고 있는 역 사상에 주의 깊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유학사상과 유교문화』, 전통문화연구회, 이계황(1995)·pp.254~256
유교철학의 세계에서는 학문영역과 더불어 중심개념의 문제를 소홀히 하고는 이해를 심화시킬 수 없다.
그 대표적 문제로서 천(天)-상제(上帝)의 개념문제와 도덕규범의 체계문제를 이해한다는 것은 머리 위로 초월적 하늘과 마음속으로 인격의 도덕성을 탐구하는 두 축을 이루고 있다. 유교의 하늘은 인간의 도덕성 속에 내재하고 인간의 도덕성은 하늘에 뿌리를 두고 있으므로, 어느 한 쪽의 이해가 없이도 온전한 유교의 세계를 이해 할 수 없는 것이다.
유교적 삶은 도덕성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요, 도덕성과 경제성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가장 아름다운 정의(正義)로 파악하는 입장이다. 그만큼 경제(經濟)의 문제를 유교에서 배제하면 유교의 전체적 균형이 심각한 손상을 입지 않을 수 없다.
유교사상은 그 역사적 실현과정에 다양하고 품격이 높은 문화를 생산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우리의 우주론에서부터 도덕의식과 역사의식 및 문자생활에 이르기까지 문화의 다양한 양상을 뒷받침하였던 논리를 제공한 것은 『주역(周易)』이었다. 역학(易學)의 논리는 과거의 우리문화를 생산하는 논리였을 뿐 아니라 앞으로의 문화 창조를 위한 논리로 주목되어야할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유학사상과 유교문화』 전통문화연구회, 이계황(1995)pp.5,6
Ⅲ.나오는 말
주역의 특징 중의 하나는 자연 현상과 인간 사회를 연결시켜 보고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평탄한 것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것이 없고, 가는 것으로 돌아오지 않는 것이 없다. 사람이 어려운 가운데서도 마음을 곧고 바르게 가지면 허물됨이 없으리라"라는 구절은 자연의 원리를 인간의 수양에 적용한 예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군자(君子)는 하루 종일 힘써 노력하고, 밤에 이르러서도 삼가 두려워하며 매사를 조심하면, 비록 위험한 일이 있다 하더라도 아무런 허물이 없게 될 것이다"라는 구절도 있다.
그러나 『주역』은 기본적으로 음양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수업시간에도 배웠듯이, 음과 양은 서로 대립하지만, 주역의 사상에서 음양(陰陽)의 대립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순환하는 것이다. 모든 사물은 음양의 양면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양의 일면을 보았다면 음의 일면도 보아야 한다는 대립과 통일의 사유를 주역에서는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순환하는 음양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고 대립적인 것으로만 받아들일 때, 주역의 사상은 봉건사회에서 억압의 도구가 되기도 했다고 한다.
일단 양은 하늘이고, 음은 땅이다. 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태도가 사회의 윤리 의식과 결합하여 계급관념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도 한 것이다. 즉 ,하층민은 상층민에게 복종하여야 하며, 하층민이 상층민과 투쟁하고, 그들의 지위를 바꾸려는 시도는 모두 불길한 것으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관념은 기득권층을 더욱 공고히 하였고, 하층민의 사고방식을 억제하는 일면도 있었다.
이렇듯 유가 철학 속에서의 주역은 인간의 삶과 그 역사를 같이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간의 삶에 있어서 올바른 삶의 방향을 제시하여 주고, 너무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중용(中庸)을 취할 것을 강조한 것이 바로 주역의 핵심사상이다.
동아시아의 전통적 지식 세계 속에 터 잡고 있는 유가 철학가들의 사상체계는 현대가 야기하는 문제를 극복할 단초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사상 체계를 단순히 철학의 한 단편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현대인들이 이를 올바로 이해하고 습득함으로써, 좀더 바람직한 삶을 영위해야 함이 옳지 않을까?
※참고자료
-『한국의 유학사상』 , 서광사, 황의동(1995)
-『도설로 보는 한국유학』 ,예문서원, 한국사상연구회(2000)
-『유학사상과 유교문화』, 전통문화연구회, 이계황(1995)
-『이 땅에서 우리 철학하기』,예문서원, 윤천근(2001)
-www.cyworld.com/club동양철학산책 참고.
-http://my.netian.com/~bookac/page11.htm 참고.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03.15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8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