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과 건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 신학적 관점
2. 심리학적 관점
3. 정신의학적 관점

나가는 말

본문내용

한 인간의 아픔은 단순한 육체적 질병뿐만이 아닌, 정신적, 영적인 문제를 일으키며 가정과 사회까지 그 영향이 파급되어 간다. 그러므로 병든 상태에 있는 인간을 회복시키기 위한 치유사역은 말씀선포와 가르침 못지 않게 중요하다. 왜냐하면 인간을 돌보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이 치유사역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고통이 감소되고 상처가 아물어져 가는 것으로 기뻐하면서 보살피는 것이 치유사역이다.
현대 교회가 성장과정에서 조직화, 제도화 그리고 대형화 되어 가는 동안 하나님의 백성들은 깊이 병들어 고통을 당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교회는 예수의 사역을 계속하는 사명을 맡은 그리스도의 교회이기 때문에 치유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또한 목회는 예수와 그의 제자들의 사역을 이어 받는 일이기 때문에 치유하는 목회가 되어야 한다. 목회의 모든 일들을 치유사역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행해져야 한다. 말씀선포와 가르침은 치유와 관계를 맺어야 한다. 결국 목회는 사람들을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가지도록 회복시키며, 하나님과 역동적인 관계를 가지게 사람을 돌보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살펴보건대, 구원과 건강과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건강하지 않은 그리스도인들이 올바른 구원관을 확립하고 있다고 믿기는 어렵다. 그리스도안에서 올바로 서 있을 때만이 올바른 건강한 크리스챤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구원은 자유다. 모든 것에서 억눌리지 않고, 참으로 자유로운 것. 또한 자유로운 것이 바로 건강한 상태이다. 이렇게 온전한 구원안에서 자유로운 건강의 상태를 유지하며 나가는 우리의 삶은 주님께서 원하시고 바라시는 우리의 모습이다.

키워드

구원,   건강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0.1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5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