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대 근동의 법전
1.이집트지역의 고대법
2.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고대법
2. 히브리 법과 메소포타미아의 법전과의 비교
1.언어적 차이
2.역사적인 차이
3.내용적인 차이
3. 결 논
1.이집트지역의 고대법
2.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고대법
2. 히브리 법과 메소포타미아의 법전과의 비교
1.언어적 차이
2.역사적인 차이
3.내용적인 차이
3. 결 논
본문내용
가슴자르기, 불쇠낙인을 찍는 등 잔인하고 極한 형벌이 있었으나 히브리법에는 그런 것이 없었다.
그 외에도 히브리인의 법에는 외국인과 경제,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사회적 정의사상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어있다.
고대 히브리 법사상은 유대교의 왕성하고 유능한 랍비들의 꾸준한 토라에 대한 연구활동과 신약시대의 기독교의 교회법전을 통해 현대서양법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토라에 나타난 여화와와의 계약사상, 신앙에 기초한 법정신 그리고 인간존중과 정의 및 박애의 정신은 그대로 만인은 신앞에 평등하며 여호와는 정의와 사랑의 源泉이라는 기독교의 원리가 되어 이것이 교회법의 모체가 되었으며 이 원리가 교회법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실현되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즉 노예제도의 완화 내지 폐지, 강자의 책임강화, 약자의 보호, 여성의 법률적 지위 提高와 더불어 성년여자에게 결혼의 자유를 인정했고, 로마법이나 게르만법과는 반대로 婚姻의 純潔과 不可解消性을 확보했으며 또 중세의 사적 복수나 형벌을 완화하기 위하여 決鬪를 금지하고 신의 휴전, 敎會保護權等을 인정하는 등 그 영향이 지대하다.
교회법은 서양법제사에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며 로마법 및 자연법과 더불어 현대의 西洋法思想의 成立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고 할 것이므로 로마法을 제외하고 서양법제사나 法思想史를 이해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히브리 법사상은 서구인들의 사회생활과 정신세계에 있어서 깊이 침투되어 그들의 법은 물론 정치, 사회등 모든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음은 오늘날 서구문화를 그리스도교 文化라고 규정하고 있는 것만을 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다.
本 硏究는 원래 히브리 法思想을 간단히 고찰하고 이와 비교하여 히브리민족 주변의 古代近東의 法思想과 제도를 비교하여 양 법체제 간의 차이나 유사점을 발견하고 그 이유를 찾아보고 히브리 民族의 法思想이 갖는 우수성을 입증하려는데 그 주안점이 있었으나 히브리 法思想에 앞서 히브리 民族의 역사, 종교에관한 基礎說明이 다소 길어졌고, 이와 비교할 만한 고대 근동의 法典에 관하여는 그 寫本은 물론 短篇的인 모습조차도 충분히 入手할 수 없없던 관계로 히브리 法思想의 고찰에 많은 비중이 두어지고 정작 比較硏究는 단편적이 되었던 것에 아쉬움을 느낀다.
앞으로 本主題에 관한 硏究가 진전되면서 그러한 未備點이 보완될것을 기대하며 이 분야에에 대한 연구는 法學徒나 神學徒들이 새롭게 개척할 만한 가치있고 흥미있는 領域임을 提示하며 本論文을 끝맺는다.
參 考 文 獻
[韓書]
金性叔, 舊約家族法, 서울 : 숭실대학교 출판부, 1989.
文熹錫, 聖書와 考古學, 보이스사, 1984.
徐仁錫, 聖書의 가난한 사람들, 분도출판사, 1979.
정진석, 敎會法源史, 분도출판사, 1975.
원용국, 모세오경, 서울 : 지혜문화사, 1992.
박창환, 聖經의 形成史, 현대신서9, 서울 : 大韓基督敎書會, 1989.
金熙相, 中東戰爭, 서울 : 日新社, 1977.
월요신학서당編, 새롭게 열리는 舊約聖書의 세계,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87.
대천덕, 기독교는 오늘을 위한 것, 서울 : 도서출판 무실, 1990.
대천덕, 산골짜기에서 온 편지, 서울 : 신앙계, 1983.
[譯書]
존 브라이트, 이스라엘 歷史, 上, 金允柱(譯), 분도출판사, 1983.
존 브라이트, 이스라엘 歷史, 下, 金允柱(譯), 분도출판사, 1983.
G.허버트 리빙스톤, 모세五經의 文化的 背景, 김의원(譯),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1990
페터 F. 엘리슨, 모세오경, 김윤주(譯), 분도출판사, 1987.
E.L.에리히, 要點이스라엘歷史, 배제민(譯), 서울 : 기독교문사, 1988.
C.F.파이퍼, 舊約歷史槪論, 배제민(譯), 서울 : 기독교문사, 1990.
강병도, QA시스템 聖經硏究시리즈 Vol.2 레위기~신명기, 서울 : 기독지혜사, 1991.
아놀드로드스, 通讀을 위한 聖書解說 하나님의 위대한 行爲, 문희석.황성규(共譯), 서울 : 大韓基督敎出版社, 1987.
헨리에타 미어즈, 성경의 파노라마(수정판),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92.
윌리엄 헨드릭슨, 헨드릭슨 聖經핸드북, 김경신(譯), 서울 : 아가페출판사, 1990.
S.G.DE.그라아프, 約束 그리고 救援 Vol.1 天地創造에서 가나안征服까지, 박권섭(譯), 서울 : 크리스챤서적, 1988.
W.워커, 世界基督敎會史, 강근환.민경배.박대인.이영헌(譯編),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88.
성경전서, 개역한글판, 대한성서공회, 1961.
성서, 신구교공동번역, 대한성서공회, 1977.
현대인의 성경,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91.
[洋書]
Van Houten, Christiana de Groot. The alien in Israelite law, London : JSOT Press, 1991.
L on Epsztein, Social Justic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the people of the Bible, London : SCM Press, 1986.
R.E. Clements, Deuteronomy, London : JSOT Press, 1989.
The Holy Bible, New International Vwrsion, U.S.A.: International Bible Socity, 1984.
[論文]
임기석, 古代 히브리 法思想에 關한 硏究, 博士學位論文,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6.
김승근, 히브리 律法과 메소포타미아 法典들과의 比較硏究, 碩士學位論文, 서울신 학대학, 1983.
엄재원, 신명기法典의 法律的 理解 우리나라 現代 民.刑法과의 比較, 감리교신학대학원, 1992.
[辭典類]
大韓基督敎書會, 그리스도교 大辭典, 1972.
서울서적(편), 聖句辭典, 서울 : 서울서적, 1992.
동아출판사(편),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서울 : 동아출판사,1984.
라이너널 캐슨, 古代이집트, 라이프 人間世界史, 서울 : 한국일보타임 라이프, 1983.
Yaacov Shimoni, Political Dictionary of the Arab World, New York : Macmillan, 1987.
그 외에도 히브리인의 법에는 외국인과 경제,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사회적 정의사상이 두드러지게 표현되어있다.
고대 히브리 법사상은 유대교의 왕성하고 유능한 랍비들의 꾸준한 토라에 대한 연구활동과 신약시대의 기독교의 교회법전을 통해 현대서양법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토라에 나타난 여화와와의 계약사상, 신앙에 기초한 법정신 그리고 인간존중과 정의 및 박애의 정신은 그대로 만인은 신앞에 평등하며 여호와는 정의와 사랑의 源泉이라는 기독교의 원리가 되어 이것이 교회법의 모체가 되었으며 이 원리가 교회법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실현되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즉 노예제도의 완화 내지 폐지, 강자의 책임강화, 약자의 보호, 여성의 법률적 지위 提高와 더불어 성년여자에게 결혼의 자유를 인정했고, 로마법이나 게르만법과는 반대로 婚姻의 純潔과 不可解消性을 확보했으며 또 중세의 사적 복수나 형벌을 완화하기 위하여 決鬪를 금지하고 신의 휴전, 敎會保護權等을 인정하는 등 그 영향이 지대하다.
교회법은 서양법제사에 중요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며 로마법 및 자연법과 더불어 현대의 西洋法思想의 成立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고 할 것이므로 로마法을 제외하고 서양법제사나 法思想史를 이해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히브리 법사상은 서구인들의 사회생활과 정신세계에 있어서 깊이 침투되어 그들의 법은 물론 정치, 사회등 모든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음은 오늘날 서구문화를 그리스도교 文化라고 규정하고 있는 것만을 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다.
本 硏究는 원래 히브리 法思想을 간단히 고찰하고 이와 비교하여 히브리민족 주변의 古代近東의 法思想과 제도를 비교하여 양 법체제 간의 차이나 유사점을 발견하고 그 이유를 찾아보고 히브리 民族의 法思想이 갖는 우수성을 입증하려는데 그 주안점이 있었으나 히브리 法思想에 앞서 히브리 民族의 역사, 종교에관한 基礎說明이 다소 길어졌고, 이와 비교할 만한 고대 근동의 法典에 관하여는 그 寫本은 물론 短篇的인 모습조차도 충분히 入手할 수 없없던 관계로 히브리 法思想의 고찰에 많은 비중이 두어지고 정작 比較硏究는 단편적이 되었던 것에 아쉬움을 느낀다.
앞으로 本主題에 관한 硏究가 진전되면서 그러한 未備點이 보완될것을 기대하며 이 분야에에 대한 연구는 法學徒나 神學徒들이 새롭게 개척할 만한 가치있고 흥미있는 領域임을 提示하며 本論文을 끝맺는다.
參 考 文 獻
[韓書]
金性叔, 舊約家族法, 서울 : 숭실대학교 출판부, 1989.
文熹錫, 聖書와 考古學, 보이스사, 1984.
徐仁錫, 聖書의 가난한 사람들, 분도출판사, 1979.
정진석, 敎會法源史, 분도출판사, 1975.
원용국, 모세오경, 서울 : 지혜문화사, 1992.
박창환, 聖經의 形成史, 현대신서9, 서울 : 大韓基督敎書會, 1989.
金熙相, 中東戰爭, 서울 : 日新社, 1977.
월요신학서당編, 새롭게 열리는 舊約聖書의 세계,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87.
대천덕, 기독교는 오늘을 위한 것, 서울 : 도서출판 무실, 1990.
대천덕, 산골짜기에서 온 편지, 서울 : 신앙계, 1983.
[譯書]
존 브라이트, 이스라엘 歷史, 上, 金允柱(譯), 분도출판사, 1983.
존 브라이트, 이스라엘 歷史, 下, 金允柱(譯), 분도출판사, 1983.
G.허버트 리빙스톤, 모세五經의 文化的 背景, 김의원(譯),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1990
페터 F. 엘리슨, 모세오경, 김윤주(譯), 분도출판사, 1987.
E.L.에리히, 要點이스라엘歷史, 배제민(譯), 서울 : 기독교문사, 1988.
C.F.파이퍼, 舊約歷史槪論, 배제민(譯), 서울 : 기독교문사, 1990.
강병도, QA시스템 聖經硏究시리즈 Vol.2 레위기~신명기, 서울 : 기독지혜사, 1991.
아놀드로드스, 通讀을 위한 聖書解說 하나님의 위대한 行爲, 문희석.황성규(共譯), 서울 : 大韓基督敎出版社, 1987.
헨리에타 미어즈, 성경의 파노라마(수정판),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92.
윌리엄 헨드릭슨, 헨드릭슨 聖經핸드북, 김경신(譯), 서울 : 아가페출판사, 1990.
S.G.DE.그라아프, 約束 그리고 救援 Vol.1 天地創造에서 가나안征服까지, 박권섭(譯), 서울 : 크리스챤서적, 1988.
W.워커, 世界基督敎會史, 강근환.민경배.박대인.이영헌(譯編),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88.
성경전서, 개역한글판, 대한성서공회, 1961.
성서, 신구교공동번역, 대한성서공회, 1977.
현대인의 성경,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91.
[洋書]
Van Houten, Christiana de Groot. The alien in Israelite law, London : JSOT Press, 1991.
L on Epsztein, Social Justic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the people of the Bible, London : SCM Press, 1986.
R.E. Clements, Deuteronomy, London : JSOT Press, 1989.
The Holy Bible, New International Vwrsion, U.S.A.: International Bible Socity, 1984.
[論文]
임기석, 古代 히브리 法思想에 關한 硏究, 博士學位論文,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6.
김승근, 히브리 律法과 메소포타미아 法典들과의 比較硏究, 碩士學位論文, 서울신 학대학, 1983.
엄재원, 신명기法典의 法律的 理解 우리나라 現代 民.刑法과의 比較, 감리교신학대학원, 1992.
[辭典類]
大韓基督敎書會, 그리스도교 大辭典, 1972.
서울서적(편), 聖句辭典, 서울 : 서울서적, 1992.
동아출판사(편),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서울 : 동아출판사,1984.
라이너널 캐슨, 古代이집트, 라이프 人間世界史, 서울 : 한국일보타임 라이프, 1983.
Yaacov Shimoni, Political Dictionary of the Arab World, New York : Macmillan, 1987.
키워드
추천자료
궁륭(穹隆) 건축용어
동서양 호텔 발전 과정
입양정책에 대한 고찰
중국 수.당과 우리나라, 일본의 율령체제 비교조사
우리나라 입양서비스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
사형 제도에 대한 나의 생각 써오기
자유형 제도에 관한 고찰
2012년 1학기 비교법 중간시험 핵심체크
자유형 제도
[숙박업의 역사] 숙박업 발전과정(발달과정), 우리나라(한국) 숙박업의 발전과정과 현황
입양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 레포트 입니다 (입양 유형, 현황, 제도와서비스, 문...
[구약신학] 출애굽기 2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종 · 살인 · 폭력 · 배상 등...
[구약신학] 레위기 25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안식년과 희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