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의 사회적 기능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가. 본질적 기능


첫째, 학교의 교육적 기능이다.

둘째, 학교의 사회화 기능이다.

셋째, 학교의 선발 기능이다.


나. 부수적 기능

본문내용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학생들이 학교밖에서 공부할 곳, 과외할 곳, 학원 등으로 새어나가고 있다. 즉 학생들은 그룹과외, TV과외, 가정교사에게로 빠나가고 상업용 연습장, 학습장, 참고서도 쏟아져 나온다. 한국 학생들에게는 교과서보다 참고서가 더 중요하고 학교교사보다 과외교사, 학원교사가 더 긴요해지고 있다. 결국 학교의 사회적 위상과 학교 교사의 사회적 위치가 위협당하면서 학교교육이 무력해지고, 학생들의 정서교육·윤리도덕교육·시민교육·인격교육은 더 이상 기대할 수 없게 되면서 심각한 교육 누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한국교육은 병들대로 병들고, 황폐할 대로 황폐하여, 마치 애꾸눈들만 사는 원숭이 동네에서는 애꾸가 정상이고 두눈박이 원숭이가 도리어 병신 취급을 받는 상황에 빠져들고 있다.

키워드

학교,   사회적,   기능

추천자료

  • 가격7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2.10.1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