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행정기관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Ⅱ. 중앙인사행정기관의 유형분석틀
1. 중앙인사행정기관의 이해
1) 인사행정기관의 개념
2) 중앙인사행정기관
3) 인사운영기관
2. 중앙인사행정기관의 역사적 발전과정
1) 개관
2) 단계별 분석
3. 중앙인사행정기관의 유형
1) 유형 구분의 기준
2) 일반적 유형의 분석

Ⅲ. 주요국 인사기관의 벤치마킹
1. 미국의 중앙인사기관
1) 인사관리처(Office of Personal Management: OPM)
2) 실적제보호위윈회(Merit Systems Protection Board: MSPB)
3) 연방노동관계청
2. 일본: 인사원과 총무청 인사국
1) 인사원
2) 총리부 총무청
3) 인사원과 내각총리대신(총무청인사국)과의 관계
3. 영국
1) 연혁
2) 공공서비스실의 기본목표
3) 공공서비스실의 조직 및 기능
4. 프랑스
1) 인사행정처
2) 국가공무원 최고위원
5. 독일
1) 연방내무성
2) 연방인사위원회
6. 종합 요약

Ⅳ. 한국 중앙인사행정기관의 발전과정
1. 국민의 정부 이전의 변천과정
1) 고시위원회와 총무처(1948)
2) 국무원 사무국(1955)
3) 국무원 사무처(1960)와 내각 사무처(1961)
4) 총무처(1963-1998)
2. 정부조직개편 심의위원회의 작업(1998년)
1) 경과
2) 인사행정기능의 조직 개편안
3) 국회에서의 개편안 확정
4) 확정된 인사관련 조직개편의 내용(행정자치부 설치)
3. 정부조직 경영진단 작업(1998-1999)
1) 경과
2) 개편안
3) 중앙인사위원회의 설치(1999-현재)

Ⅴ. 현행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1. 문제점
1) 독립성
2) 기능배분
3) 관리도구의 역할
4) 전문성
5) 개혁추진력
2. 대안의 모색
1) 전문형
2) 비전문형
3. 대안의 비교와 선택기준
1) 비교표
2) 대안 선택의 기준

Ⅵ. 한국 중앙인사행정기관의 발전방안
1. 한국의 인사행정 환경분석
1) 정치적 중립성
2) 인사제도 개혁추진
3) 공무원의 권익옹호
4) 공무원의 단체활동
2. 한국 중앙인사위원회 유형의 선택
1) 집권형/분권형(집권성)
2) 전문형/비전문형(전문성)
3) 단일형/병립형(병립성)
4) 독립형/비독립형(독립성)
5) 단독형/합의형(합의성)
6) 요약
3. 중앙인사행정기관의 단계적 발전방안
1) 단기적 발전방안
2) 장기적 발전방안

Ⅶ. 요약 및 건의사항
1. 요약
1) 현행제도의 문제점
2) 대안의 모색
3) 한국 인사행정 환경분석
4) 한국 중앙인사기관 유형 선택
5) 단계적 발전방안

본문내용

이웅희 (2000). 중앙인사위원회의 효과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길호 (1998). "중앙인사행정기관의 집권화와 분권화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학회 1998년 동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02-526면.
중앙인사위원회 (2000).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
총무처 직무분석기획단 (1996). 정부직무분석 -종합-.
____________________ (1997). 신정부혁신론. 서울: 동명사.
총무처 (1993). 미국연방공무원제도.
______ (1993). 일본국가공무원제도.
______ (1994). 미국연방공무원제도(임용편).
하태권외 (1996). 새인사행정론, 서울: 대영문화사.
행정자치부 (1998). 통계연보.
황인평 (1999). "일본의 중앙인사행정기관: 인사원과 총무청," 인사행정, 창간호.
2. 외국문헌
Ban, Carolyn & Riccucci, Norma M. (1991). Public Personnel Management, NY: Longman Publishing Group
Ban, Carolyn (1998). "The Challenging Role of the Personnel Office," Condrey, Stephan E.(ed.), Handbook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Govern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Bekke, Hans A. G. M. & Perry, James L. & Toonen, Theo A. (1996). Civil Service Systems in Comparative Perspective, Indiana Univ. Press.
Condrey, Stephan. ed. (1998). Handbook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Govern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Davenport, Thomas O. (1999). Human Capital, San Franscisco: Jossey-Bass Publishers.
Dresang, Dennis L. (1991). Public Personnel Management and Public Policy, NY: Longman Publishing Group
Gawthrop, Louis C. (1998). Public Service and Democracy. NY: Chatham House Publishers.
Hays, Steven W. & Kearney, Richard C. (1995).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New Jersey: Prentice-Hall, Inc.
Ingraham, Patricia W. (1996). "Evolving Public Service Systems," Perry (ed.), Handbook of Public Administr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Inc., Publishers.
Kettl, Donald F. (2000). The Global Public Management Revolution: A Report on the Transformation of Governance,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Light, Paul C. (1999a). The New Public Service,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 (1999b). The True Size of Government,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Pilkington, Colin. (2000). The Civil Service in Britain Today, London: Manchester Univ Press.
Pynes, Joan E. (1997). Human Resources Management for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s. San Francisco: Jessey-Bass Inc., Publishers.
Rebore. Sr., Ronald W. (1998). Personnel Administration in Education. Allyn & Bacon.
Rosen, Bernard. (1986). "Crises in the U.S. Civil Service." PAR, vol. 46, no. 3, pp. 207~215
------------------- (2000). "The Empty Government Talent Pool: The New Public Service Arrives." The Brookings Review, vol. 18, no. 1(Winter 2000). pp. 20~23.
Stillman, Richard J. (1987). The American Bureaucracy. Chicago: Nelson Hall.
Sylvia, Ronald. (1994).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NY: Harcourt Brace & company.
Thompson, Frank J. (1979), Classics of Public Personnel Policy, Illinois: Moore Publishing Company.
West, William F. & Durant, Robert F. (2000). "Merit, Management and Netural Competence: Lessons from the U.S. Merit System Protection Board." PAR, vol. 60, no. 2, pp. 111~122.
White, Jay D. & Adams, Guy B. (1994). Research in Public Administration, London: Sage Publications.
  • 가격3,300
  • 페이지수140페이지
  • 등록일2002.10.16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66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