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희년 계산법(8,10절)
2. 대속죄인 선포(9절)3. 자유선포(10절)
5. 토지소유의 원상회복(23,28절)
6. 주택소유의 원상회복(29,34절)
7. 이자 없는 대부(35,38절)
8. 노예해방(39,55절)
8. 노예해방(39,55절)
9. 되무르기법-고엘법(23,28,55절)
10. 희년법의 실시 여부
11. 이스라엘과 가톨릭의 경우
2. 대속죄인 선포(9절)3. 자유선포(10절)
5. 토지소유의 원상회복(23,28절)
6. 주택소유의 원상회복(29,34절)
7. 이자 없는 대부(35,38절)
8. 노예해방(39,55절)
8. 노예해방(39,55절)
9. 되무르기법-고엘법(23,28,55절)
10. 희년법의 실시 여부
11. 이스라엘과 가톨릭의 경우
본문내용
이 세상에 일어날 것이다. 현대사회의 양대 이데올로기인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도 희년정신의 완전한 실천에는 거리가 멀다. 그래서 세계는 이 모양으로 진통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 기독교가 그동안 오랜 역사가운데서 잊혀지고 무시되어 온 희년정신을 되살려 오늘에 실천한다면 이러한 국내외의 갈등과 진통들이 사라지고, 자유, 정의 평등, 평화의 세계가 건설될 수 있을것이다. 이것이 하나님이 바라신 희년법 제정의 궁극적 목적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희년법은 하나님 나라를 이 땅 위에 건설하는 데 기여하는 획기적인 법임에 틀림없다. 그런데도 이스라엘에서도, 그리고 가톨릭을 포함한 기독교 전반적으로 희년정신을 까마득하게 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는 희년정신을 세계에 되살릴 필요가 있다.
한국교회가 1995년을 희년으로 선포한 것은 단순히 갈라진 땅덩어리가 하나로 통일 되어야 한다는 의미만이 아니라, 앞서 말한 희년법이 포괄하고 있는 광범위한 내용과 정신이 이 한반도에서 성취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이해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운동을 전개해 나가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 희년정신은 한걸음 더 나아가서 전 세계로 퍼져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가 1995년을 희년으로 선포한 것은 단순히 갈라진 땅덩어리가 하나로 통일 되어야 한다는 의미만이 아니라, 앞서 말한 희년법이 포괄하고 있는 광범위한 내용과 정신이 이 한반도에서 성취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이해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운동을 전개해 나가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 희년정신은 한걸음 더 나아가서 전 세계로 퍼져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