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단락 구분 부호들(THE DIVISIONS)
Ⅱ. 특별한 점들 이상한 글자들 그리고 다른 부호들
Ⅲ. 마소라
Ⅳ. BHS 비평 장치
V. 악센트
Ⅱ. 특별한 점들 이상한 글자들 그리고 다른 부호들
Ⅲ. 마소라
Ⅳ. BHS 비평 장치
V. 악센트
본문내용
대체해 나가기 시작했으며 기원후 7-8세기에 이르러서는 보다 더 대중성을 얻게 되었다.) 레닌그라드 사본(codex)의 판권 페이지(colophon) 또한 그 사본이 벤 아셀 전승을 대표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최근의 연구는 이 타당성을 밝혀 내었다. 레닌그라드 사본의 중요성은 그것이 벤 아셀 전승에 기초한 히브리어 성서 전체를 가지고 있는 가장 오래된 사본이라는 데 있다. 이 레닌그라드 사본은 BHS에 특별한 변형 없이 채용되었다. BHS의 내용 중 가장 아랫 부분에 있는 비평장치는 다른 사본이나 역본이 본문과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나, 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BHS의 본문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부분을 지적하고 있다. 성서의 각 권은 제각기 다른 편집자에 의해 비평장치가 수집, 편집되었다. 각 책의 편집자들은 BHS의 표제 다음 면(맨 첫 장 뒷면)에 기록되어 있다.
B. 장치들을 본문과 연결시키기. (Association Entries to the Text.)
비평장치를 살펴보면 그 절을 나타내는 숫자 다음에 조그마한 돌출된 영어 알파벳 소문자들을 볼 수 있다. 본문으로 올라가 그에 상응하는 구절을 찾아보면 비평장치에서 본 작은 글자가 해당되는 단어 왼편에 붙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렇게 첨자가 단어 바로 뒤에 붙어 있는 경우 그 비평장치는 그 한 단어에만 영향을 미친다. 간혹 이 소문자가 막켑 아래 있을 경우가 있는데, in which case the note applies to the word up to the maqqep. 만일 이 소문자가 단어의 바로 앞에 위치해 있다면,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그 단어가 그 절의 첫 단어이고 그 구절에서 그 소문자가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면, 그 비평장치는 그 절 전체에 해당하는 것이다. 반면 그 단어가 구절의 첫 단어이고 아니고를 막론하고, 그 구절에서 소문자가 반복된다면, 비평장치는 그 첫 번째와 두 번째 동일한 소문자 사이에 있는 모든 어구를 받는다.
이 소문자는 절이 바뀌면 언제나 "a"부터 다시 시작한다.(비평노트가 그 다음 절에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따라서 한 페이지 안에 각기 다른 a와 b와 c 등이 여럿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비평장치의 소문자와 본문의 소문자를 올바로 연결시켰는지 항상 그 절(비평장치에 굵은 글꼴로 표시되어 있다)과 장(비평장치에 굵은 글씨체로 "Cp"라고 표시되어 있다) 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노트는 절마다 분리되지 않게 계속 연결되어 있는데, 연속되는 각 절은 한 쌍의 내려 그어진 선( )으로 구분된다.
C. 기호들의 해석(번역)
비평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호들의 대부분은 BHS XLIV-L면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보다 일반적인 기호들은 루거(Ruger)의 An English Key 의 마지막 부분에도 수록되어 있다. 자료들을 인용함에 있어, 비평장치는 주된 전승("역본"이라 불리는 70인역이나, 사마리아 오경 등과 같은 것)을 지칭하는 독특한 기호들을 사용할 것이다. 이런 기호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특정한 사본들을 지칭하기 위해 첨자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If no version of manuscript is referred to, the note following si a suggestion by the editor of the critical apparatus for that book.)
그런데, 불행하게도 BHS는 사용되는 모든 기호를 설명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호가 각기 다른 편집자에 의해서 서로 다른 의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Wonneberger의 Understanding BHS 는 BHS에 나오는 모든 기호들을 완벽히 해설해 놓은 책으로 참고할 만 하다. 이러한 의도를 가지고 Wonneberger의 작업에 접근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우선 87-88면의 기호색인을 잘 활용하는 것이다.
다음은 BHS에 설명되어 있지 않는 빈번히 사용되는 기호들인데, 초보자는 이 정도만 알고 있어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출처 인용(source citation)에서 첨자로 처리되는 마이너스 표시는 그 노트가 적용됨을 나타낸다.
?
=
,;
/
o
()
D. 본문비평에 있어 가치 평가
In most cases the BHS editors simply provide variant readings without an evaluation of the relative worth of the version or manuscript in which they appear. 대부분의 경우 BHS 편집자들은 역본이나 사본의 가치에 대한 비교 평가 없이 단순히 다양한 읽기를 제공한다. Of course, such a decision can be the work of a lifetime and may be subject to considerable controversy. Textual criticism involves the careful consideration of numerous issues which are beyond the scope of this guide. It never reduces to an uncritical acceptance of one reading over another simply because of the version in which it appears. Nevertheless, beginning students may benefit from the following list which, according to Wurthwein, p.112, indicates in descending value "roughly the order of their significance for textual criticism."
V. 악센트
A. GENERAL
히브리 성서에는 두 종류의 악센트 체계가 있다. 시편, 잠언 그리고 욥기의 대부분이 시가의 "세 책"을 구성한다. 이 책들은 나머지 "스물 한 권의 책들"과는 다소 다른 고유한 악센트 체계를 가지고 있다. 악센트는 대개 세 가지 목적으로 사용된다. 우선, 그들은 화성부호이다.
B. 장치들을 본문과 연결시키기. (Association Entries to the Text.)
비평장치를 살펴보면 그 절을 나타내는 숫자 다음에 조그마한 돌출된 영어 알파벳 소문자들을 볼 수 있다. 본문으로 올라가 그에 상응하는 구절을 찾아보면 비평장치에서 본 작은 글자가 해당되는 단어 왼편에 붙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렇게 첨자가 단어 바로 뒤에 붙어 있는 경우 그 비평장치는 그 한 단어에만 영향을 미친다. 간혹 이 소문자가 막켑 아래 있을 경우가 있는데, in which case the note applies to the word up to the maqqep. 만일 이 소문자가 단어의 바로 앞에 위치해 있다면, 두 가지 가능성이 있다. 그 단어가 그 절의 첫 단어이고 그 구절에서 그 소문자가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면, 그 비평장치는 그 절 전체에 해당하는 것이다. 반면 그 단어가 구절의 첫 단어이고 아니고를 막론하고, 그 구절에서 소문자가 반복된다면, 비평장치는 그 첫 번째와 두 번째 동일한 소문자 사이에 있는 모든 어구를 받는다.
이 소문자는 절이 바뀌면 언제나 "a"부터 다시 시작한다.(비평노트가 그 다음 절에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따라서 한 페이지 안에 각기 다른 a와 b와 c 등이 여럿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비평장치의 소문자와 본문의 소문자를 올바로 연결시켰는지 항상 그 절(비평장치에 굵은 글꼴로 표시되어 있다)과 장(비평장치에 굵은 글씨체로 "Cp"라고 표시되어 있다) 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노트는 절마다 분리되지 않게 계속 연결되어 있는데, 연속되는 각 절은 한 쌍의 내려 그어진 선( )으로 구분된다.
C. 기호들의 해석(번역)
비평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호들의 대부분은 BHS XLIV-L면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보다 일반적인 기호들은 루거(Ruger)의 An English Key 의 마지막 부분에도 수록되어 있다. 자료들을 인용함에 있어, 비평장치는 주된 전승("역본"이라 불리는 70인역이나, 사마리아 오경 등과 같은 것)을 지칭하는 독특한 기호들을 사용할 것이다. 이런 기호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특정한 사본들을 지칭하기 위해 첨자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If no version of manuscript is referred to, the note following si a suggestion by the editor of the critical apparatus for that book.)
그런데, 불행하게도 BHS는 사용되는 모든 기호를 설명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호가 각기 다른 편집자에 의해서 서로 다른 의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Wonneberger의 Understanding BHS 는 BHS에 나오는 모든 기호들을 완벽히 해설해 놓은 책으로 참고할 만 하다. 이러한 의도를 가지고 Wonneberger의 작업에 접근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우선 87-88면의 기호색인을 잘 활용하는 것이다.
다음은 BHS에 설명되어 있지 않는 빈번히 사용되는 기호들인데, 초보자는 이 정도만 알고 있어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출처 인용(source citation)에서 첨자로 처리되는 마이너스 표시는 그 노트가 적용됨을 나타낸다.
?
=
,;
/
o
()
D. 본문비평에 있어 가치 평가
In most cases the BHS editors simply provide variant readings without an evaluation of the relative worth of the version or manuscript in which they appear. 대부분의 경우 BHS 편집자들은 역본이나 사본의 가치에 대한 비교 평가 없이 단순히 다양한 읽기를 제공한다. Of course, such a decision can be the work of a lifetime and may be subject to considerable controversy. Textual criticism involves the careful consideration of numerous issues which are beyond the scope of this guide. It never reduces to an uncritical acceptance of one reading over another simply because of the version in which it appears. Nevertheless, beginning students may benefit from the following list which, according to Wurthwein, p.112, indicates in descending value "roughly the order of their significance for textual criticism."
V. 악센트
A. GENERAL
히브리 성서에는 두 종류의 악센트 체계가 있다. 시편, 잠언 그리고 욥기의 대부분이 시가의 "세 책"을 구성한다. 이 책들은 나머지 "스물 한 권의 책들"과는 다소 다른 고유한 악센트 체계를 가지고 있다. 악센트는 대개 세 가지 목적으로 사용된다. 우선, 그들은 화성부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