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시산업의 발전 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전시산업의 특성
1. 전시산업의 개요
2. 전시산업 육성·발전의 필요성
3. 전시회의 경제적 효과 및 연관산업 분야

Ⅱ. 국내 전시산업의 현황
1. 전시산업의 주요 구성
2. 국내 전시시설 현황
3. 국내 전시회 개최 현황
4. 국내 개최 전시회의 업종별 구성

Ⅲ. 국내 전시산업의 과제
1. 전문화 미흡
2. 국제전시회 개최 능력 및 의지 부족
3. 해외 마케팅 능력 부족 및 네트워크 부재
4. 국내 전시시설 증대에 따른 여건 변화
5. 전시산업에 대한 인식 미흡
6. 국내 전시회의 낮은 수출진흥 효과
7. 종합적인 정책방안 마련 및 사후평가 강화

Ⅳ. 세계 주요국의 전시산업 동향 및 특징
1. 개 황
2. 독 일
3. 홍 콩
4. 싱가포르

Ⅴ. 국내 전시기획업의 사업추진 방향
1. 국내 전시업계를 둘러싼 환경여건
2. 전시회 개최에 관련된 주요 요소
3. 전시기획업의 사업추진 방향

Ⅵ. 전시산업의 발전 방안
1. 전시산업 육성의 산업·무역정책적 중요성
2. 기본 방향
3. 세부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후평가 제도가 확립되어야 할 것임.
국내 전시회 중 일부 주요 전시회가 명실상부한 무역전시회로 성장하기 위한 역량을 배양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해당 전시회의 기본 통계작성 및 실적을 개관적으로 인증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해야 할 것임.
무역전시회(Trade Show)의 국내 입식을 위해서는 해당 사업주체의 전시 노하우, 네트워크 구축, 마케팅 능력 등 제반 역량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며, 이는 특히 상당한 재정적 능력과 정책적 지원이 요구되는 사업임.
(3) 전시기획 및 전시회의 전문화 추구
전시회의 국제화와 대형화 이전에 전시 Organizer들의 전문화와 전시회의 전문화를 통한 전시회의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함.
우리나라의 전시회는 역내 경쟁국인 홍콩, 싱가포르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최횟수가 많은 편임. 그러나 국내에서 열리는 다수의 전시회들은 중복, 과당경쟁 및 소규모 전시회의 난립 상태이므로 이를 지양하고 전시기획업계의 전문화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함.
전시기획 및 전시회의 전문화는 업계 내부에서 자율적으로 조정·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정부의 전시산업 육성 정책이 뚜렷한 방향을 설정하여 추진될 경우 전시산업의 전문화를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임.
(4) 해외 홍보 지원
국내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의 해외 홍보를 강화하기 위해 현재 국내 전시기획사들의 취약부분인 해외 홍보 및 설명회를 KOTRA 해외망 및 한국관광공사의 해외지사망 등을 통해 지원함.
더욱이 홍보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해외 주요 판매거점(Sales Point)별 지원 방안을 강구함.
이 밖에도 현지의 인쇄매체 광고, 인터넷 메일 홍보, 인터넷 배너 광고 등으로 발전해야 할 것임.
(5) 국제전시회 개최를 위한 역량 확보
전시기획사들은 성공적인 국제전시회의 모델 구축을 필요로 하며, 국내 차원에서의 전시역량의 범위를 해외로 확산시키는데 필요한 소프트 웨어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즉, 전시참가기업 및 바이어 DB의 구축, 홍보, 마케팅 전략 수립, 전문인력 양성·보강, 국제적으로 공인받을 수 있는 사후평가제 도입, 고객지원서비스 시스템 도입 등이 필요함.
또한 국제전시회를 위해서는 전시시설과 관련하여 전시참가기업 및 참관자들을 위한 서비스시스템을 국제적 수준으로 제고하여야 할 것임.
(6) 해외 마케팅 지원
제한된 자원을 활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목표시장을 설정하여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것이 바람직함.
우리나라는 입지적으로 일본과 중국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이들 두 경제대국을 축으로 하여 대만, 홍콩 등 중화경제권과 ASEAN으로 연결되는 동아시아경제권을 전시산업 국제화의 일차적인 목표시장으로 설정함.
목표시장의 공략을 위해서는 업종별·국가별·도시별 전시회 세일즈 망 구축, 인적 네트워크 활용, 홍보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현지 설명회 등을 추진함.
해외 바이어 유치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되며 전시회 참가와 더불어 관광, 쇼핑 등 다목적 방한 인센티브를 강구할 필요가 있음.
(7) 전시산업 관련 국제협력 활성화
전시산업의 각 주체들은 전시산업과 관련한 국제기구 및 국제단체에 가맹하고 적극적으로 활동함으로써 우리 전시산업의 위상 제고는 물론 업무연수, 정보 수집 및 국제교류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임.
전시장 소유 혹은 운영 주체, 전문 전시기획사들은 미국의 IAEM, PCMA, CEIR, 독일의 AUMA, Messe, 프랑스의 Promosalons 등과의 협력관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특히, 해외의 전문 전시기획사들과의 공동 협력을 통해 상호 전시장 부스교환, 공동전시회 주최, 국제전시회 개최와 관련한 업무협약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한 협력체제를 구축함으로써 향후 전시시장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음.
(8) 국내 전시장 활용도 제고
국내 전시장의 경우 COEX는 가동률이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부산, 대구 등 국내 전시장 시설이 신규 개관됨으로써 이들 전시장의 가동률 제고가 일차적인 과제가 되고 있음.
전시장의 가동률 제고를 위해서는 전시장 소유 및 운영 주체와 전문 전시기획사간의 협무협력을 강화하고, 특히 지방의 전시장 운영주체의 경우 전문인력 부족으로 전시 기획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존에 경쟁력을 지닌 전문 전시기획사들과의 공동 주최 등을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함.
(9) 전시산업의 주체간의 연계 강화
전시산업과 관련한 국내의 유관단체는 현재 전시기획업체가 중심인「한국전시업협동조합」이 유일한데, 국내 전시산업의 발전을 위한 공동 노력을 위해서는 전시기획업체뿐만 아니라 전시장 운영주체, 정책당국,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단체 또는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즉, 국내 전시산업을 대표하는 단체를 확대 구성함으로써 전시업계의 발전과 업계의 위상 제고를 도모하는데 필요할 것이고, 또한 국내 전시산업의 기본 데이터 등을 정비·발간하는 등 명실상부한 하나의 산업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는 것임.
 참 고 문 헌 
참고문헌
.무역협회 발표 자료.
.해외 주요 국별, 기업별, 전시센터별 발표 자료.
.COEX 발표 자료.
.ASAE, Planning International Meetings, Information Background Kit, 1997.
.Bill Quain and Don Looft, Show Development, IAEM, 1998.
.Diane T. Silberstein, Introductory Overview to Global Exhibiting, Exhibitor Magazine Group, 1999.
.EXPO, 각호.
.Rhonda J. Montgomery and Sandra K. Strick, Meetings, Conventions, and Expositions, Wiley, 1995.
.Richard B. Gartrell, Destination Marketing,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1994.
.S. L. Morrow, The Art of the Show, IAEM Foundation, 1998.
  • 가격2,5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02.10.21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6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