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향한 증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선교와 전도의 차이점

II. 두 가지 선교개념 ( 선교개념 이해의 양극화)

본문내용

i) 는 "복음을 화분에 심어서 자란 상태로 들고 오지 마시오. 그냥 복음 의 씨만 가져 와서 우리 땅에 심도록 하시오" 라고 말하였다.
- 성경적 메시지와 그렇지 않은 메시지를 제대로 구별하지 못한다면 문화적 상대성과 성경적 절대성을 혼동하는 결과 초래
2. 혼합주의와 토착화
- 우리 자신의 문화와 복음을 구별해야 할 뿐 아니라 선교지의 문화에 맞게 복음을 전해야 한다.
(예, 전통적 악기 사용해서 찬송을 부르고 흑인처럼 생긴 예수님 사진을 보여 준다.)
- 그러나 그들 문화의 형식을 빌려서 표현하는 것이 단순한 일은 아니다.
그들 문화의 형식이 복음을 전하는데 부적합 할 수 있다.
그들 문화의 형식을 사용할 경우 우리가 전하려는 복음의 본래 의미가 보존되는지 주의깊게 생각하지 않으면 혼합주의에 빠지게 될 수 있다.
3. 개종과 예측하지 못한 부작용
문화적 관습은 총체적 문화의 일부분이므로 한가지 관습을 바꿀 경우 다른 면에서 변화 일어날 수 있다. (예, 일부다처제 폐지와 여자들이 노예나 창녀로 전락)
4. 신학적 독립성과 보편성
- 교회들이 토착화됨에 따라 교회의 통일성(unit)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 각 문화권의 교회로 하여금 자립, 자치, 자전 (self - propogating) 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강조되고 있는데 신학적 다양성의 문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
- 우리들이 도와준 교회들이 신학적 독립을 요구하고 사회주의나 공산주의적 복음주의자가 되겠다고 하 면 어떻게 할 것인가?
M = E + N + S(SS + SA) + F
M = M1 + M2 + M3 (동일, 유사, 타문화)

키워드

세계,   증거,   선교,   전도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10.22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