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외국어 교수법의 종류
1. 전통식 교수법
2. 인지주의식 교수법
3. 의사소통중심 교수법
1. 전통식 교수법
2. 인지주의식 교수법
3. 의사소통중심 교수법
본문내용
려야 한다.
③전달 과정도 언어 형식 못지 않게 중요하다.
④배우기 위해서 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
⑤학습자가 범하는 실수는 반드시 실수라고는 할 수 없다.
(2)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지도법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은 학습 과정의 내용, 지도의 원리나 원칙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체계적으로 계발된 것은 아니다. 실제로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장면에서 전달 행위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각 문장의 문법적이 정확함보다는 목적으로 하는 발화가
실현되어지는 것을 더 우선으로 한다.
(3) 의사소통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게 교육하는 네 단계
① 첫째단계: 인지적 연마단계로서 의사소통 기능을 다음 단계에서 곧 발휘 할 수 있게 하는 준비기간이다.
② 둘째단계: 재산출적 연마단계로서 의사소통 기능을 다음 단계에서 곧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준비기간이다.
③ 셋째단계: 산출적 연마단계로서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사용하려고 노력하는 기간이다.
④ 넷째단계: 창조적 연마단계로서 자유롭게 외국어를 구사하는 단계이다.
(4)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에서의 각 기능에 대한 연습
1)듣기 연습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에서는 듣기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연습의 하나이다.
Widdowson은 듣기 활동을 hearing과 listing으로 나누고 있다.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에서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이 되는 듣기 능력으로어떤 목적을 가지고 정보를 듣고 그 중에서 자기에게 필요한 정보를 가려내는 능력을 더 중요시하는데
Geddes는 그러한 목적에 알맞은 연습으로는 task listing을 권한다.
2)독해 연습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에서의 읽기 훈련은 문자나 문장 구조의 학습으로서만이 아니라,
사회에서 문자를 통하여 정보를 얻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일상 생활에서 전달을 목적으로 쓰여진 문장은 뉴스를 보도하는 신문 기사, 기계의 사용법은 알리는 사용 설명서, 판매 촉진을 위한 광고 등으로 결국은 쓴 사람과 읽는 사람 사이에
생길 수 있는 com-munication gap을 메우기 위한 수단으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그 속에는 제공하는 사람이 전달하고 싶은 내용도 있을 것이고 정보를 제공 받는 사람은 거기에서 자기에게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읽을 것이다.
따라서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에서는 교재를 읽기 전에 학습자에게 그것을 읽는 목적을 제시하여야 하고 학습자도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읽도록 해야 한다.
3) 문자 전달 연습
쓰기의 목표를 문자에 의한 정보 전달에 둔다. 쓰기 연습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예를 들고 있다.
①신청서 등의 서식에서 요구하고 있는 정보를 기입하게 한다.
②편지의 형식으로 주어진 정보에 대한 답장을 쓰게 한다.
③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게 한다.
④자유 작문
한편,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은 discourse로서의 전달 능력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쓰기 연습의 경우에도 문장의 구성이나 논리성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문장을 구성할 때는 ① 문법적인 연결 ② 의미적인 연결에 주의하여야 한다.
③전달 과정도 언어 형식 못지 않게 중요하다.
④배우기 위해서 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
⑤학습자가 범하는 실수는 반드시 실수라고는 할 수 없다.
(2)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지도법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은 학습 과정의 내용, 지도의 원리나 원칙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체계적으로 계발된 것은 아니다. 실제로 커뮤니케이션이 일어나는 장면에서 전달 행위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각 문장의 문법적이 정확함보다는 목적으로 하는 발화가
실현되어지는 것을 더 우선으로 한다.
(3) 의사소통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게 교육하는 네 단계
① 첫째단계: 인지적 연마단계로서 의사소통 기능을 다음 단계에서 곧 발휘 할 수 있게 하는 준비기간이다.
② 둘째단계: 재산출적 연마단계로서 의사소통 기능을 다음 단계에서 곧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준비기간이다.
③ 셋째단계: 산출적 연마단계로서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사용하려고 노력하는 기간이다.
④ 넷째단계: 창조적 연마단계로서 자유롭게 외국어를 구사하는 단계이다.
(4)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에서의 각 기능에 대한 연습
1)듣기 연습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에서는 듣기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연습의 하나이다.
Widdowson은 듣기 활동을 hearing과 listing으로 나누고 있다.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에서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이 되는 듣기 능력으로어떤 목적을 가지고 정보를 듣고 그 중에서 자기에게 필요한 정보를 가려내는 능력을 더 중요시하는데
Geddes는 그러한 목적에 알맞은 연습으로는 task listing을 권한다.
2)독해 연습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에서의 읽기 훈련은 문자나 문장 구조의 학습으로서만이 아니라,
사회에서 문자를 통하여 정보를 얻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일상 생활에서 전달을 목적으로 쓰여진 문장은 뉴스를 보도하는 신문 기사, 기계의 사용법은 알리는 사용 설명서, 판매 촉진을 위한 광고 등으로 결국은 쓴 사람과 읽는 사람 사이에
생길 수 있는 com-munication gap을 메우기 위한 수단으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그 속에는 제공하는 사람이 전달하고 싶은 내용도 있을 것이고 정보를 제공 받는 사람은 거기에서 자기에게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읽을 것이다.
따라서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에서는 교재를 읽기 전에 학습자에게 그것을 읽는 목적을 제시하여야 하고 학습자도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읽도록 해야 한다.
3) 문자 전달 연습
쓰기의 목표를 문자에 의한 정보 전달에 둔다. 쓰기 연습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예를 들고 있다.
①신청서 등의 서식에서 요구하고 있는 정보를 기입하게 한다.
②편지의 형식으로 주어진 정보에 대한 답장을 쓰게 한다.
③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게 한다.
④자유 작문
한편, 의사 소통 중심 교수법은 discourse로서의 전달 능력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쓰기 연습의 경우에도 문장의 구성이나 논리성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문장을 구성할 때는 ① 문법적인 연결 ② 의미적인 연결에 주의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교수법 중 강의법 조사
직접교수법과 전략 교수모형
국어과교육(국어교육) 협력학습과 소집단토의학습, 국어과교육(국어교육) 창의적교수학습과 ...
영어교육(영어지도, 수업) 목표와 체계, 영어교육(영어지도, 수업)과 청화식교수법,자연적교...
영어교육(학습, 영어수업)의 특징과 필요성, 영어교육(학습, 영어수업)과 매체, 문화, 영어교...
직접교수법과 전략 교수모형
[교육][학습][인지][교육 의미][인지교수법][인지문법]교육(학습)의 의미, 교육(학습)의 경제...
한국어 교수법 이론을 적용한 실제수업지도안 [공동체 언어 학습법 적용 수업 모형]
학습 내용 외의 두가지 교수법 내용과 장단점 그리고 해당 교수법이 효과적인 상황
청각식 교수법과 의사소통식 교수법을 비교하여 설명하고 효율적인 말하기 교육방법에 대해 ...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네가지 교수-학습방법을 정리하고 과정적 교수법에 기초한 수업과정 및 ...
영유아교수법에서 교사의 준비를 설명하시오. [영유아교수방법]
교수학습이론 정리 - 임용고시 교육학 대비 {학습관점,교수원리,효과적교수법,수업목표,수업...
인적자원개발론)교수설계, 교수법 이론 및 자신의 학습경험에 비추어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