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선교의 갱신(“Renewal in Mission`)
2. 선교의 갱신(`Renewal in Mission`)
3. Does Section Two provide Sufficient Emphasis on world Evangelism
4. The Theology of Section Two
5. Uppsala`s `program for mission` and Church Growth
2. 선교의 갱신(`Renewal in Mission`)
3. Does Section Two provide Sufficient Emphasis on world Evangelism
4. The Theology of Section Two
5. Uppsala`s `program for mission` and Church Growth
본문내용
기쁘게 따름으로 갈증이 해소되는 일은 일체 언급이 없다.
웁살라의 복음전도에 대한 비판은 다음과 같다.
제2문서의 문장중에, "교회는...복음을 듣지 못한 수백만의 사람들에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죄 용서의 복음을 알릴 영원한 책임을 가지고 있다."이란 글이 있으나 실제로 이 부분의 실행에 대해서는 구체적이고 깊은 내용은 없다. 마땅히 여기서 죄를 위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의 속죄가 믿음으로 주는 효과 같은 선교 프로그램이 강조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 한 문장을 빼고는 웁살라의 선교 프로그램이란 중요임무에 대한 확신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2,3분과에서 한 문장만을 복음전도에 대해서 써놓고 웁살라가 교회내의 복음전도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잘못된 생각이라는 것이다.
웁살라의 제2분과의 내용 분석 :
웁살라에서 복음증거가 이처럼 약화된 것은 1분과에서 새로운 인류를 성서적으로 정의하면서 2,3분과의 선교 프로그램도 인간질서와 사회정의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2,3분과의 기안자가 복음전도를 사회봉사에 종속시키려는 의도를 가졌다는 결론을 피할 수 없다고 본다. 이 둘은 마 25장만 보고있지, 요 3장에 대해서는 장님이 되었다.
- 향후 10년간 목회자, 복음선교사, 지원교회와 부서가 해야할 네 가지 활동 :
ⅰ) 웁살라의 이 애매모호한 문서를 70년대의 선교지침으로 삼기를 거절하라.
ⅱ) 과거에 하나님이 축복하신 봉사와 복음전도의 프로그램을 계속해 나가라.
ⅲ) 봉사와 복음전도의 비율을 결정할 때에 우리 주님의 모범을 붙들라.(예수님은 세상에서 필요한 것도 인식하셨으나, "천하를 얻고도 자기 영혼을 읽으면 무엇이 유익하랴"고 하셨 다.)
ⅳ) 다음번 모임이 선교에 대한 지침을 만들 때에 전 교회를 더욱 잘 대표하며, 선교를 "그 리스도인이 해야 할 모든 일"이라는 정의가 주는 혼란을 피하며, 신중하게 인간 영혼의 구원과 신체와 사회의 치료의 양자를 취할 수 있도록 돕도록 하자
# 평 가 : 맥가브란은 선교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들이 기존교회의 선교 구조를 무시하거나 약화 시켜온 것을 종속이라는 용어를 통해 지적하고 비판한다. 맥가브란의 복음주의에 대한 우선권의 강조는 변함이 없다. 맥가브란의 다음과 같은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2,3분과에서 한 문장만을 복음전도에 대해서 써놓고 웁살라가 교회내의 복음전도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웁살라의 복음전도에 대한 비판은 다음과 같다.
제2문서의 문장중에, "교회는...복음을 듣지 못한 수백만의 사람들에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죄 용서의 복음을 알릴 영원한 책임을 가지고 있다."이란 글이 있으나 실제로 이 부분의 실행에 대해서는 구체적이고 깊은 내용은 없다. 마땅히 여기서 죄를 위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의 속죄가 믿음으로 주는 효과 같은 선교 프로그램이 강조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 한 문장을 빼고는 웁살라의 선교 프로그램이란 중요임무에 대한 확신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2,3분과에서 한 문장만을 복음전도에 대해서 써놓고 웁살라가 교회내의 복음전도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잘못된 생각이라는 것이다.
웁살라의 제2분과의 내용 분석 :
웁살라에서 복음증거가 이처럼 약화된 것은 1분과에서 새로운 인류를 성서적으로 정의하면서 2,3분과의 선교 프로그램도 인간질서와 사회정의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2,3분과의 기안자가 복음전도를 사회봉사에 종속시키려는 의도를 가졌다는 결론을 피할 수 없다고 본다. 이 둘은 마 25장만 보고있지, 요 3장에 대해서는 장님이 되었다.
- 향후 10년간 목회자, 복음선교사, 지원교회와 부서가 해야할 네 가지 활동 :
ⅰ) 웁살라의 이 애매모호한 문서를 70년대의 선교지침으로 삼기를 거절하라.
ⅱ) 과거에 하나님이 축복하신 봉사와 복음전도의 프로그램을 계속해 나가라.
ⅲ) 봉사와 복음전도의 비율을 결정할 때에 우리 주님의 모범을 붙들라.(예수님은 세상에서 필요한 것도 인식하셨으나, "천하를 얻고도 자기 영혼을 읽으면 무엇이 유익하랴"고 하셨 다.)
ⅳ) 다음번 모임이 선교에 대한 지침을 만들 때에 전 교회를 더욱 잘 대표하며, 선교를 "그 리스도인이 해야 할 모든 일"이라는 정의가 주는 혼란을 피하며, 신중하게 인간 영혼의 구원과 신체와 사회의 치료의 양자를 취할 수 있도록 돕도록 하자
# 평 가 : 맥가브란은 선교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들이 기존교회의 선교 구조를 무시하거나 약화 시켜온 것을 종속이라는 용어를 통해 지적하고 비판한다. 맥가브란의 복음주의에 대한 우선권의 강조는 변함이 없다. 맥가브란의 다음과 같은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2,3분과에서 한 문장만을 복음전도에 대해서 써놓고 웁살라가 교회내의 복음전도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