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Ⅱ. 본 론
1. 안정성
2. 보수
3. 대우
4. 전문성
5. 장래성
6. 적성
7. 기타
Ⅲ. 결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Ⅱ. 본 론
1. 안정성
2. 보수
3. 대우
4. 전문성
5. 장래성
6. 적성
7. 기타
Ⅲ. 결 론
본문내용
.6%), 안정성(15.3%), 개인의 능력(10.2%), 기타(8.5%), 사회적 지위(5.1%)의 순서대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의 경우 안정성(35.4), 적성(24.6%), 개인의 능력(20.0%), 보수 장래성(각각 7.7%), 사회적 지위(4.6%)의 순서대로 나타났습니다. 여기서 주목할만한 것은 직업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요인이 과거에는 보수 위주에서 현재는 안정성 위주로 바뀌었다는 것입니다. 아마도 IMF이후 정리해고를 비롯해서 실직자의 수가 급증하게 된 것이 이러한 결과를 가져오게 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적성과 같은 요인은 시간과 환경의 변동에는 상관없이 일정한 수준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꾸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직장인 문제 : 직업을 선택할 때 어떤 요인을 주로 고려했는가?
1 적성 2 개인의 능력 3 보수
4 사회적 지위 5 안정성 6 장래성 7 기타
Frequency
Percent
Valid Percent
Cumulative
Percent
Valid
1
2
3
4
5
6
7
Total
12
6
13
3
9
11
5
59
20.3
10.2
22.0
5.1
15.3
18.6
8.5
100.0
20.3
10.2
22.0
5.1
15.3
18.6
8.5
100.0
20.3
30.5
52.5
57.6
72.9
91.5
100.0
대학생 문제 : 장래의 직업이 어떤 것에 의해 주로 결정되었는가?
1 적성 2 개인의 능력 3 보수
4 사회적 지위 5 안정성 6 장래성 7 기타
Frequency
Percent
Valid Percent
Cumulative
Percent
Valid
1
2
3
4
5
6
7
Total
16
13
5
3
23
5
0
65
24.6
20.0
7.7
4.6
35.4
7.7
0.0
100.0
24.6
20.0
7.7
4.6
35.4
7.7
0.0
100.0
24.6
44.6
52.3
56.9
92.3
100.0
앞에서의 분석들을 다음 페이지의 그래프를 통해서 보면 더욱 쉽게 알 수 있습니다.
Ⅲ. 결 론
결론부터 얘기한다면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요인마다 직장인과 대학생이 각각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가장 크게 작용했던 요인 역시 달랐는데 이것은 시간과 환경의 변화에 그 원인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IMF사태와 기업의 부도 그에 따른 정리해고 그리고 실업자 증가 같은 주변 환경의 변화가 직업을 선택하는 기준을 바꾸었다고 생각합니다.
앞에서 직장인과 대학생의 직업 선택에 대한 요인을 분석해 보았는데 아직 모자라고 부족한 점이 많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좀 더 있었더라면 더 잘 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특히 변수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습니다. 조사를 하고 분석을 한다는 것이 예전에는 간단한 것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그렇지가 않았습니다. 또한 이번 조사를 통해서 저 역시 졸업을 하고 직업을 선택하는데 많은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줘서 유익한 시간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직장인 설문 조사서>
.당신이 취업을 한 연도를 써주세요. ___________년도
(시대별 환경이 취업시 안정성에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당신의 현재 직업을 써주세요.(되도록 자세히) _____________
(조사 대상자의 직업을 파악)
.당신은 현재 자신의 직업이 이 정도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조사 대상자의 현재 자신의 직업에 대한 안정성에 대한 생각을 파악하기 위해서...)
.당신은 현재 당신의 직업에 이만큼 만족하고 있습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여부로 안정성 있는 혹은 없는 직업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생각을 알 수 있다.)
.당신은 현재의 직업을 선택할 때 직업의 안정성이라는 요인이 이만큼 작용을 하였습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예전의 직업선택시 안정성에 대한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과거에 자신이 추구하는 직업선택의 우선조건은?
①급여가 많아야 한다. ②안정적이어야 한다. ③사회적으로 지위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④내 적성에 맞는 일이어야 한다. ⑤직장 내에서 대우가 좋아야 한다.
⑥장래성 있는 직업이어야 한다.
(설문시 혼란을 막기 위해 맨 마지막문제로 들어가야 한다. 학생별로 직업선택시 선호도를 파악해 그 중 안정성이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또한 과거와 현재의 직업선택의 선호요인을 비교)
<대학생 설문 조사서>
.당신의 학과, 학년, 나이를 써주세요. 학과 : _________ 학년 : _____ 나이 : _____
(학과 학년 나이를 기준으로 해서 자료를 비교 분석)
.당신은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의 직업이 이만큼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우리 나라 직업의 안정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서...)
.당신은 현재 자신의 학과가 안정성 있는 직업을 선택하는데 이 정도의 관련 혹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조사 대상자가 자신의 학과가 안정성 있는 직업선택과 관련해 어느정도 작용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당신은 안정성 있는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서 유학이나 이민을 이만큼 생각해 보았습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안정성 있는 직업에 대한 시각을 알 수 있고 그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도 알 수 있다.)
.자신이 추구하는 직업선택의 우선조건은?
①급여가 많아야 한다. ②안정적이어야 한다. ③사회적으로 명예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④내가 하고싶은 일이어야 한다. ⑤ ⑥
(설문시 혼란을 막기 위해 맨 마지막문제로 들어가야 한다. 학생별로 직업선택시 선호도를 파악해 그 중 안정성이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또한 과거와 현재의 직업선택의 선호요인을 비교)
그리고 적성과 같은 요인은 시간과 환경의 변동에는 상관없이 일정한 수준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꾸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직장인 문제 : 직업을 선택할 때 어떤 요인을 주로 고려했는가?
1 적성 2 개인의 능력 3 보수
4 사회적 지위 5 안정성 6 장래성 7 기타
Frequency
Percent
Valid Percent
Cumulative
Percent
Valid
1
2
3
4
5
6
7
Total
12
6
13
3
9
11
5
59
20.3
10.2
22.0
5.1
15.3
18.6
8.5
100.0
20.3
10.2
22.0
5.1
15.3
18.6
8.5
100.0
20.3
30.5
52.5
57.6
72.9
91.5
100.0
대학생 문제 : 장래의 직업이 어떤 것에 의해 주로 결정되었는가?
1 적성 2 개인의 능력 3 보수
4 사회적 지위 5 안정성 6 장래성 7 기타
Frequency
Percent
Valid Percent
Cumulative
Percent
Valid
1
2
3
4
5
6
7
Total
16
13
5
3
23
5
0
65
24.6
20.0
7.7
4.6
35.4
7.7
0.0
100.0
24.6
20.0
7.7
4.6
35.4
7.7
0.0
100.0
24.6
44.6
52.3
56.9
92.3
100.0
앞에서의 분석들을 다음 페이지의 그래프를 통해서 보면 더욱 쉽게 알 수 있습니다.
Ⅲ. 결 론
결론부터 얘기한다면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요인마다 직장인과 대학생이 각각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가장 크게 작용했던 요인 역시 달랐는데 이것은 시간과 환경의 변화에 그 원인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IMF사태와 기업의 부도 그에 따른 정리해고 그리고 실업자 증가 같은 주변 환경의 변화가 직업을 선택하는 기준을 바꾸었다고 생각합니다.
앞에서 직장인과 대학생의 직업 선택에 대한 요인을 분석해 보았는데 아직 모자라고 부족한 점이 많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좀 더 있었더라면 더 잘 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특히 변수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습니다. 조사를 하고 분석을 한다는 것이 예전에는 간단한 것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그렇지가 않았습니다. 또한 이번 조사를 통해서 저 역시 졸업을 하고 직업을 선택하는데 많은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줘서 유익한 시간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직장인 설문 조사서>
.당신이 취업을 한 연도를 써주세요. ___________년도
(시대별 환경이 취업시 안정성에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당신의 현재 직업을 써주세요.(되도록 자세히) _____________
(조사 대상자의 직업을 파악)
.당신은 현재 자신의 직업이 이 정도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조사 대상자의 현재 자신의 직업에 대한 안정성에 대한 생각을 파악하기 위해서...)
.당신은 현재 당신의 직업에 이만큼 만족하고 있습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여부로 안정성 있는 혹은 없는 직업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생각을 알 수 있다.)
.당신은 현재의 직업을 선택할 때 직업의 안정성이라는 요인이 이만큼 작용을 하였습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예전의 직업선택시 안정성에 대한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과거에 자신이 추구하는 직업선택의 우선조건은?
①급여가 많아야 한다. ②안정적이어야 한다. ③사회적으로 지위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④내 적성에 맞는 일이어야 한다. ⑤직장 내에서 대우가 좋아야 한다.
⑥장래성 있는 직업이어야 한다.
(설문시 혼란을 막기 위해 맨 마지막문제로 들어가야 한다. 학생별로 직업선택시 선호도를 파악해 그 중 안정성이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또한 과거와 현재의 직업선택의 선호요인을 비교)
<대학생 설문 조사서>
.당신의 학과, 학년, 나이를 써주세요. 학과 : _________ 학년 : _____ 나이 : _____
(학과 학년 나이를 기준으로 해서 자료를 비교 분석)
.당신은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의 직업이 이만큼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우리 나라 직업의 안정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서...)
.당신은 현재 자신의 학과가 안정성 있는 직업을 선택하는데 이 정도의 관련 혹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조사 대상자가 자신의 학과가 안정성 있는 직업선택과 관련해 어느정도 작용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
.당신은 안정성 있는 직업을 선택하기 위해서 유학이나 이민을 이만큼 생각해 보았습니다.
①매우 많이 ②많이 ③보통 ④조금(또는 약간) ⑤없다.
(안정성 있는 직업에 대한 시각을 알 수 있고 그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도 알 수 있다.)
.자신이 추구하는 직업선택의 우선조건은?
①급여가 많아야 한다. ②안정적이어야 한다. ③사회적으로 명예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④내가 하고싶은 일이어야 한다. ⑤ ⑥
(설문시 혼란을 막기 위해 맨 마지막문제로 들어가야 한다. 학생별로 직업선택시 선호도를 파악해 그 중 안정성이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서... 또한 과거와 현재의 직업선택의 선호요인을 비교)
추천자료
발전소 매각정책의 문제점
일본의 정치발전
사회 계층과 사회 계급
니카라과의 정치위기와 산디니스타에 관한 고찰
직업공무원제도
휠에대한 전문적인 이해와 구조. A+레포트입니다. 교수님이 인정하셨습니다.
교사 평가제도 문제점과 개선방향
[신공공관리론][신공공관리론적 개혁방법 비판]신공공관리론 등장배경, 신공공관리론 특징, ...
두산 기본적분석(경제분석,산업분석,기업분석) & 기술적분석(이동평균선,이격도,투자심리...
[공공부문구조조정][공공부문]공공부문의 특성과 공공부문구조조정의 목표, 공공부문구조조정...
은행 대출의 경기순응성
행정개혁에 대한 저항과 대책.
[지역생산][지역][생산][경제]지역생산의 지표, 지역생산의 지역경제, 지역생산의 선행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