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원론6] 생산비용과 이윤극대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생산비용과 이윤극대화

2.비용의 개념

3.단기에서의 생산비용

4.장기에서의 생산비용

5.규모의 경제와 범위의 경제

6.수입의 분석

7.이윤극대화 생산량의 도출

8.업은 정말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가?

본문내용

용의 두 배가 아니라 2의 0.6승, 즉 1.52배이며, 세 배로 증가시키는 데 드는 비용은 1.93배, 가스탱크나 파이프 같은 것들의 용량이 체적(volume)과 관련이 있는 데 그것들의 건설비용은 표면적(surface area)과 비례)
□ 반면에 생산의 규모가 커지면서 생산단가가 한층 더 높아질 수 있는 측면도 있음. 기업의 조직이 거대해지면 상호 의사전달이 어려워질 뿐 아니라 작업의 진척을 감시하는데 드는 비용도 더 커짐. 팀워크가 해이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음.
□ 현실에서 우리가 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경우는 그림 (iii)에서 보는 L자 모양을 가진 장기평균비용곡선.
2. 범위의 경제
□ 승용차와 트럭을 각각 하나씩의 기업이 생산하는 것보다 한 기업이 이 두 상품을 동시에 생산하는 것이 비용의 측면에서 더욱 유리할 수 있음. → 범위의 경제(economies of scope).
□ 예를 들어 한 기업이 승용차 5천 대를 생산하는 데 5백억원의 비용, 다른 기업이 트럭 2천대를 생산하는 데 3백억원이 든다고 가정. 이 중 어느 한 기업이 승용차 5천대와 트럭 2천대를 동시에 생산할 경우 7백억원의 비용이 든다면 범위의 경제가 존재.
□ 결합생산물(joint products)의 경우 범위의 경제가 나타날 수 있음.
ex. 구두와 핸드백, 쇠고기와 소가죽, 닭고기와 계란
□ 결합생산이 일어나는 것은 어떤 투입요소가 공동투입요소(public inputs)의 역할하기 때문.
□ 생산시설이나 유통망의 경우처럼 여러 가지의 다른 상품을 생산하는 데 공동으로 사용하기 좋은 투입요소가 존재할 경우에도 범위의 경제가 생길 수 있음. 한 상품의 생산과정에서 가치 있는 부산물이 생겨 결과적으로 범위의 경제가 생기기도 함. (ex. 라면회사에서 라면 부스러기를 이용해 과자를 생산하는 경우)
제5절 수입의 분석
□ 가구 한 개의 가격은 가구를 팔았을 때 한 개당 얻을 수 있는 수입, 즉 평균수입(average revenue, AR)과 같음. 가격에 상품 판매량을 곱하면 총수입을 계산할 수 있음. 상품 한 단위를 더 팔았을 때 추가로 얻는 수입은 한계수입(marginal revenue, MR).
□ 기업이 상품을 팔아 얻는 수입은 그 상품에 대한 수요와 밀접한 관계. 수요곡선의 식이 P=250-20Q로 주어졌다고 가정.
가구 판매량
가격(=평균수입)
총수입
한계수입
0
-
-
230
1
230
230
190
2
210
420
150
3
190
570
110
4
170
680
70
5
150
750
30
6
130
780
-10
7
110
770
-50
8
90
720
-90
9
70
630
<표 6- >
□ 이 표에 제시되어 있는 수치들을 그림으로 옮기면 <그림 6-8>에서 보는 총수입곡선과 한계수입곡선. 그림 (i)의 총수입곡선을 보면 처음에는 점차 올라가 6개의 가구를 팔았을 때 최고점에 이르고 그 다음부터는 떨어지기 시작. 총수입곡선이 최고점에 이를 때 한계수입곡선은 수평축을 지남. (한계수입이 0일 때 총수입이 극대화)
<그림 6-8>
□ 그림 (ii)에 수요곡선을 그려 놓았는데, 이를 보면 한계수입이 가격보다 더 작으며 양자 사이의 격차는 생산수준이 높아질수록 더 커짐.
제6절 이윤극대화 생산량의 도출
1. 직접적 도출
□ 이윤(
pi
)은 총수입(TR)에서 총비용(TC)을 뺀 나머지.
pi ~ =~ TR ~-~ TC
□ <표 6-4>를 보면 그 기업의 이윤이 극대화되는 생산량은 4개 혹은 5개로서 이 때의 이윤은 180만원.
가구의 양
총비용
한계비용
총수입
한계수입
이윤
0
300
-
-
60
230
1
360
230
-130
50
190
2
410
420
10
40
150
3
450
570
120
50
110
4
500
680
180
70
70
5
570
750
180
90
30
6
660
780
120
120
-10
7
780
770
-10
150
-50
8
930
720
-210
200
-90
9
1,130
630
-500
<표 6- >
□ <그림 6-9>를 보면 총수입곡선과 총비용곡선이 나란히 그려져 있는데, 총수입곡선이 총비용곡선보다 위쪽에 위치한 구간에서 두 곡선의 차이가 제일 넓게 벌어지는 곳은 4개 혹은 5개의 생산량.
<그림 6-9>
2. 한계곡선에 의한 도출
□ <표 6-4>에 제시한 수치예를 보면 가구 생산량이 4단위에서 5단위로 증가하는 부분에서 한계수입(MR)과 한계비용(MC)이 모두 70만원으로 서로 같음. 한계수입이 한계비용과 같다는 것이 바로 이윤극대화의 조건.
MR ~=~ MC
□ 엄밀하게 말해 이 조건은 이윤극대화를 위한 제1계 필요조건에 해당. 따라서 이 조건이 충족되었는데 사실은 이윤이 극대화된 것이 아니라 극소화된 경우도 생길 수 있음. (한계비용곡선이 한계수입곡선을 아래에서 위로 뚫고 지나가면 제2계조건이 충족)
제7절 기업은 정말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가?
□ 현실에 나타나는 기업의 행동을 보면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목표를 추구하고 있지 않은 듯한 인상을 줄 때가 있음. 특히 현대의 기업처럼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윤극대화만을 유일한 목표로 삼고 있을 가능성이 한층 더 작음. 전문경영인이 자신의 이해관계가 주주의 그것과 다를 경우 자신의 이익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가능성. → 매출액(sales) 극대화
□ 매출액, 즉 수입의 극대화를 추구한다면 <그림 6-10>에서 보는 것처럼 한계수입이 0으로 떨어지는 수준까지 생산. 이 때의 생산수준
hat Q
은 이윤이 극대화되는 생산수준
tilde Q
보다 더 큼.
<그림 6-10>
□ 그런데 전문경영인이 실제로는
hat Q
의 생산수준을 선택하기 힘들지 모름. 현실의 전문경영인은
tilde Q

hat Q
사이의 어떤 생산수준을 선택하게 될 가능성.
□ 지금까지 살펴본 매출액극대화(sales maximization)모형 말고도 여러 가지 모형이 이윤극대화모형의 대체가설로서 제시된 바 있음. 그렇지만 기업의 행위를 설명해 줄 수 있는 능력의 측면에서 이윤극대화모형이 오히려 이들보다 더 우월하다는 느낌.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2.11.03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