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1. 구성주의의 교수-학습관

2. 구성주의의 학습원칙

3. 구성주의 교수이론

본문내용

이다.
2) 상황학습의 장점
① 다양한 상황에서의 지식 활용법: 쇼핑이나 은행일 보기와 같은 산술기능의 대표적 맥락 속에서 산술 기능을 학습할 경우 이를 비행기표 사기나 회계업무 보기와 같은 새로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② 발명의 촉진: 실제 문제나 상황과 관련된 지식을 다룸으로써 이러한 지식을 새로운 상황에 유연성 있게 활용하는 방법을 터득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③ 지식의 함의 파악: 맥락이 가미된 학습이 이루어질 경우, 학생들은 지식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④ 지식의 구조화: 맥락이 배제된 단편적인 지식의 학습은 지식을 기계적으로 암기하는데 그치지만, 맥락 속에서 지식을 익힐 경우 지식을 활용하기에 적합하게 구조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3)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 Based Learning)
1) 의미 : 문제중심학습이란 학생들이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의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나름대로의 인지적 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학습법이다.
2) 특징
① 구조: 문제중심학습은 '협동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이루어진다.
② 학습자 주도의 학습: 과제가 주어지면 팀으로 나누어 각 팀에서 그 과제를 통해 자신들이 학습하게 될 '학습목표'를 결정하도록 한다. 즉 학습자 자신들이 주어진 과제를 통해 학습하고자 하는 것을 스스로 결정하게 함으로써 학습자 주도적 학습을 실현한다.
③ 안내자로서의 교사: 교사는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사고하고 학습해 갈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을 익히도록 자기성찰적 사고와 활동을 적극 권장하고 지도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3) 목표 : 문제중심학습의 목표는 ① 문제해결능력 ② 관련분야의 지식과 기능의 습득 ③ 자신의 견해를 분명히 제시, 설명, 옹호, 반박할 수 있는 능력의 습득 ④ 협동학습능력 등이다.
4) 교사의 역할
① 복잡하고, 비구조적이며, 특정 상황에 기반하고 있는 문제를 만들어 제시한다.
② 문제를 학생들에게 제시한 다음에는 학생들로 하여금 팀을 구성하도록 한다.
③ 미리 주어진 과제 해결에 도움이 될만한 학습자료들을 수집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한다.
④ 다양한 학습자원을 충분히 활용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도한다.
⑤ 개별학습시간 뿐만 아니라 팀학습 과정 중에서도 자기성찰적 사고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극 권장하고 지도
⑥ 학습자들에게 과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1.05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5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