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학습환경에 의한 과학탐구학습과 유아교사의 역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구성주의의 이론적 배경
1. 구성주의의 유래
2. 구성주의의 분류
3. 구성주의 인식론
4. 유아교육에 대한 구성주의 적용
1) Devries의 접근
2) Kamii의 접근
3) Forman의 접근
5. 구성주의 학습환경

Ⅲ. 사회적 구성주의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관점
1. 탐구중심의 과학활동
2.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1) 과학적 태도
2)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라고 하였다.
Miller와 Coleman은 태도란 학습된 것으로 일시적 안정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즉, 태도는 충분히 안정적인 반면 변화 가능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태도의 학습 과정은 물리적 경험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이상의 태도 정의를 기초로 한다면, 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는 과학에 관한 이전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아 형성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정서적 경향을 의미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Duschl과 Koballa는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가 과학을 가르치는 것에 대한 심리적·정서적 판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것이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에 따라 실제 과학을 가르치는 교수행동에 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이러한 과학적 태도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므로 학습에 의해 긍정적으로 변화·형성될 수 있다고 본다. 즉, 교사들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는 실제적인 과학교수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써 경험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또 다른 경험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고 본다.
Shrigley와 Johnson은 오래 전 연구에서 과학교수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지닌 교사가 그렇지 않는 교사에 비해 보다 많은 시간을 과학교육에 할애하였으며, 직접조작을 통한 탐구학습방법을 잘 활용하였고, 또한 과학을 중요한 과목으로 고려하였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현직 유아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연구들은 현직 유아교사들이 과학교육에 대해 자신감이 부족하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교사교육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Ⅳ. 결론
유아들에게 과학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유아들은 스스로 세상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탐구하려고 하는 자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학자로서 이미 소양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런 유아들에게 과학을 인위적 조작을 가해 과학의 개념이나 지식을 불어넣어 준다고 하는 것은 오히려 타고난 과학자의 소양을 더욱 발전시키고 성장하려는 욕구를 방해하는 것 일뿐이다. 유아들은 그들의 공동체 안에서 자유롭게 대화하고 자신의 생각을 말할 기회를 가지며, 남의 의견은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를 형성시켜 준다면 각자가 가지고 있는 사건이나 현상에 대해 자신이 느낀 점을 방해 없이 이야기함으로써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간주관성을 발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지식은 유아들의 정신 밖에 존재하지 않고 정신 안에서 구성되는 것이므로 똑같은 사건에 대해서도 각기 유아마다 다른 의미로 해석될 것이다. 그러나 학급에는 한 명의 유아만이 있지 않다. 각각 이전 경험을 달리하는 유아들이 각자의 경험을 가지고 교실에서 토론하는 사이 자신의 개념을 바꿀 필요가 있음을 느끼고 점차 논리에 적합한 개념을 재구성해 나갈 것이다. 교사는 각 유아들에 대해 수준에 맞는 발문을 해 근접발달지대(ZPD)를 넓혀주도록 할 수 있으며, ZPD가 넓게 형성된 유아는 그 만큼 쉽게 자기 책임하에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유아는 생활 상황에서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의문점에 대해 스스로 해답을 찾기 위해 시도하도록 성향을 발달시켜야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인지적 갈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그 결과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의미 있는 이해를 구성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유아가 자기 자신의 이해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자율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충분한 시간동안 자유롭게 토의하고 논쟁할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한다.
학급에서 자유로운 토론은 유아들간에 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하여 사회적 인지갈등을 통해 지식을 공동으로 구성하게 하는 교수-학습방법이 필요하다. 즉, 시상적 표상, 프로젝트 중심학습, 협동적 상호작용, 프로젝트에 부모참여 등은 유아들의 의사소통과 학습을 촉진하는 도구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유아에게 자율성을 키워주고 자신의 탐구에 몰입할 수 있는 유아과학교육에 있어서 이론적인 배경으로 구성주의 인식론을 적용할 것이 요구되고 유아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한 공유된 지식을 구성하게 하기 위해 Vygotsky의 이론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구광현(2000). 구성주의적 접근과 유아교육, 안양대 인문과학연구 제8호, pp. 242-258.
곽영순(2001). 구성주의 인식론의 이론적 배경,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 22, No. 5, p. 427-447.
김동엽(2002), 구성주의가 지니는 교육적 함의, 교실수업 개선 우수사례 워크숍2002, pp. 27-44.
김선애,안경숙,김소향(2002). 인지이론에 기초를 둔 구성주의적 접근이 유아과학교육에 주는 교육적 함의, 나사렛논총 제7호, pp. 99-118.
김애자(1999). 조력제공자 유형별 스케폴딩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충일(2000). 유아의 수평개념 발달을 위한 수업대화의 효과, 진주산업대 논문집 39, pp.39-162.
송선희(1999).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의 효과성 연구 : 컴퓨터 학습과 협동학 습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안금부,신은(2002). 구성주의 관점의 유아과학 교사교육이 유아의 과학흥미도, 과학과정기술,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pp. 173-194.
안경숙,김소향,유연화(2001).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인지이론이 유아교육에 주는 시사점, 경북논총, 5, pp. 299-311.
이기현,황윤세(1999). 구성주의적 접근을 통한 유아 교수-학습과정의 방향 탐색, 인문예술논 총 제19집, pp. 279-313.
한순미(1999). 비고스키와 교육 : 문화-역사적 접근, 교육과학사.
한은미(1996). vygotsky이론에 의한성인과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의 문제해결과의 관계,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허혜경(1996). vygotsky의 ZPD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 방법, 교육학연구 34(5), pp. 311-330.
홍용희(1995). 어린이의 학습에 비계설정-비고스키와 유아교육, 서울:창지사.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2.25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6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