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구성주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구성주의의 이론
-인지적 구성주의
-사회적 구성주의

2.구성주의 학습방법
-인지적 도제이론
-상황적 교수모델(앵커드 수업모형)
-인지적 융통성모형
-문제중심학습(PBL)

3. 구성주의의 전망과 비판

본문내용

넓은 범위에서의 그 증상과 관련된 원인에 대해 생각게 하고 이 과정이 끝나면 학생들은 다음 모임 전까지 각자 무엇을 더 공부하고 올지를 결정한다
<표4-2> 문제중심학습 제 2단계
그룹 학습과제
개인 학습과제
심장마비랄 무엇인가?
심장마비 때 왜 통증이 동반되는가?
어느 쪽 심장벽이 손상을 입었느냐가 중요한 차이를 지니는가?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는?
심장질환을 일으키는 주요요인은 무엇인가?
신경시스템이 통증을 느끼는 방식은 어떤 식인가?
2단계에서 개인 혹은 그룹과제의 배당이 끝난 뒤에는 바로 "SDL“단계에 들어간다. 이 단계들이 반복됨으로서 학생들은 새로운 지식을 축적해나가는 동시에 실제 의사가 하는 것과 거의 유사한 상황과 과정을 겪게 된다. 다시 말해 자신의 학습에 대한 자율성, 책임감을 지니게 하고 동시에 특정 지식을 배움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시뿐만 아니라 지식의 높은 전이라는 학습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Ⅲ 구성주의의 전망
비판 -우리가 처해있는 교육현실(입시제도, 중앙집권적 커리큘럼, 과밀도 학습, 컴퓨터 활용의 미숙함)하에서 구성주의적 학습모형은 상당히 도전적인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중고등학교의 경우, 교육과정의 개혁이나 입시제도의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교사들로부터 구성주의적 입장에 대한 호응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실행에 어려움이 있더라도 급격히 발달하고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한 수업을 활용하고 교육제도를 개선해나간다면 점차 구성주의 학습 환경을 적용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서적
왜 구성주의 인가? / 강인애 / 문음사
탁영진 교육학 / 탁영진 / 희소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4.01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9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