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자의 공간으로 뒤바뀐 강산
2. 녹색장묘운동
3. 화장에 대한 의식변화
4. 우리 나라의 승화원과 추모의 집
5. 외국의 장묘문화
2. 녹색장묘운동
3. 화장에 대한 의식변화
4. 우리 나라의 승화원과 추모의 집
5. 외국의 장묘문화
본문내용
책에 의해 화장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매장을 하더라도 지하 묘지의 크기는 1평 내외며 이마저도 2 ∼ 3명이 함께 매장하는 경우가 많아 묘지 공간 활용이 효율적이며 묘지는 평장이 대부분이다. 외국의 장묘 문화는 늘 가까이에서 망자를 기억하는 공간으로, 시민들의 자연 휴식과 여가 활용의 공간이며, 자연친화적인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음에 우리는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특히 영국의 경우를 보면 런던 근교의 켄살 그린이란 곳은 0.28평방km의 크기에 6만 4천8백개의 묘지가 마련되어 있는데 희귀동물의 서식지로 이름을 떨치고 있다. 묘지 구내에는 85종의 다양한 새가 서식하며 박쥐, 토끼 등의 동물도 살고 있어 런던 시민의 자연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어 장묘 시설의 생태적 역할을 볼 수 있다. 가장 효율적인 공간으로 산 자와 死者가, 자연과 인간이 어우러져 있는 외국의 모습은 우리의 장묘 관행이 인적이 드문 곳에 위치하여 허위와 과장으로 매번 반복되는 문제를 야기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외국의 사례는 우리의 매장 중심의 문화를 녹색 장묘의 문화로 바꾸는 것이 결코 요원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추천자료
인터넷과 문화산업: MP3 중심으로
문화마케팅/감성마케팅/조직관리 측면을 중심을한 스타벅스 성공사례 분석
한국사회의 과시적 문화_명품소비 분석을 중심으로
사례를 중심으로 한 문화산업의 마케팅
태국의 문화(의식주중심)
[과소비][과소비문화][소비문화]과소비(과소비문화)의 개념, 원인과 과소비(과소비문화) 형성...
[언어문화A+] 미국드라마 프렌즈(FRIENDS) 드라마 대본을 중심으로 한 영어권 문화와 한국 문...
남원축제를 중심으로 본 지역문화관광행정의 실태와 과제
[문화론] 외국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본 한국 과음문화와 해결책
미디어를 중심으로 본 문화비평
서양의 공공조형물(혹은 기념조형물) 중에서 이러한 성격을 반영하고 있는 작품을 하나 이상 ...
패션과 문화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1920-30년대의 Hipster,1940-50년대의 Hipster,New Hipst...
청소년 여가문화의 방향을 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하여 기술 [여가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