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인도농업의 특징
2.인도의 홍차
1)차의 도입
2)인도의 차 생산량
3)분류와 품종
4)재배조건
5)수확
3.홍차의 유통
1)유통형태
2)유통경로
3)포장
4.인도지역별 차의 특성
1)다즐링 (Darjeeling)
2)아삼 (Assam)
3)닐기리 (Nilgiri)
4)실론(스리랑카)의 홍차
5.세계 차생산 현황 (1-7위)
6.세계 수출입 현황
7.국내 수급전망
8.결론
1)우리나라 차산업의 문제점과 개선안
2)참고(부연)
2.인도의 홍차
1)차의 도입
2)인도의 차 생산량
3)분류와 품종
4)재배조건
5)수확
3.홍차의 유통
1)유통형태
2)유통경로
3)포장
4.인도지역별 차의 특성
1)다즐링 (Darjeeling)
2)아삼 (Assam)
3)닐기리 (Nilgiri)
4)실론(스리랑카)의 홍차
5.세계 차생산 현황 (1-7위)
6.세계 수출입 현황
7.국내 수급전망
8.결론
1)우리나라 차산업의 문제점과 개선안
2)참고(부연)
본문내용
본,대만,호주,스페인
410
1.746
위와동일
`01
867
2.240
미국,홍콩,일본,대만,캐나다,중국
390
1.542
중국,스리랑카,영국,미국,일본
※ 자료 : 농축산물 수출입동향(농촌진흥청)
7.국내 수급전망
구분
`95
`96
`97
2001
2004
총수요량(천M/T)
900
1.380
1.380
2.880
4.000
공급량(천M/T)
900
1.394
1.394
2.890
4.000
국내생산(천M/T)
870
1.334
1.334
2.800
3.400
소요재배면적(ha)
580
580
580
700
850
수량(Kg/10a)
150
230
230
400
400
수입(천M/T)
30
60
60
90
600
자급률(%)
97
97
97
97
85
주) 총수요량은 '93년 1인당 소비량과 년도별 인구증가율로 추정
※ 자료 : 작목별 기술대응방안('95, 농촌진흥청)
8.결론
우리나라 차문화는 불교가 융성했던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에 상당히 번성했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해 상류계층이 향유한 반면 서민들은 대용차와 숭늉을 즐겨 마셨다. 그러다가 한국전쟁시 미군에 의해 전래된 커피가 급속히 확산돼 지금까지 우리의 차문화를 지배해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차의 각종 기능성이 알려지고,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차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어 있다. 특히 환경호르몬이나 각종 공해, 중금속 등의 피해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지키고 생명연장의 꿈을 이뤄 줄 수 있는 미래식품으로서 차에 대한 기대치는 어떤 식품보다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수요에 대하여 미래의 우리나라의 차 산업의 증대와 발전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차산업의 기반은 미약하다. 우리나라 차산업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점을 찾도록 해야한다.
1.우리나라 차산업의 문제점과 개선안
구분
문제점
개선방안
재배기술
*차나무 우량품종 육성 실적이 없어 재래종에 의존(국내재배 녹차품종의 대부분이 야부기다임)
*야산에 조성된 다원이 많아 생산성 저조 및 기계화 곤란
*우량품종 육성계발
*기계화 가능한 지역에 다원조성으로 생산성향상
유통
*녹차의 소비에 따른 공급부족
*가공전문 기술인력 부족으로 품질 차이가 큼
*차문화의 정착이 미흡함
*다원 조성 지원 등 고려
*가공전문 기술인력 발굴
*국산차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신상품의 개발
수출
*일본보다 품질은 우수하나 가격이 높아 경쟁력이 약함
고품질 녹차(곡우차등)의 개발로 경쟁력강화
2.참고
*국내의 차 생산,소비,수출입 동향
⊙ 재배면적 - 국내 녹차 재배면적은 '99년에 1,431ha로서 이중 경남은 27.9%인 399ha였다. 최근 건강식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 녹차재배지역은 전남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보성군이 차시험장의 설립과 함께 국내 주요주산지이다.
⊙ 생 산 량 : 전국 차 생산량은 '99년 1,109톤으로서 경남의 생산량은 전국의 9.3% 정도이다. 세계의 차 최대 생산국은 인도와 중국으로 인도의 경우 2000년 1,471천톤 정도의 차가 생산되었다.
⊙ 소 비 : 차 소비추세는 '80년에 녹차의 수요가 5톤, 홍차의 수요가 16톤이 던 것이 '91년에는 녹차가 740톤, 홍차가 217톤으로 급격히 증가 하는 경향을 보였다.
⊙ 수 출 입 : 수출은 '99년 390톤, 2000년 371톤, 2001년에 867톤 이었으며 수입은 166톤, '99년 274톤, 2000년 410톤, 2001년에 390톤 이었다.
⊙차의 효능 : 차는 술독을 없애고 취기를 깨게하는 것 외에 내구력과 기억력을 증대시키고 괴혈병을 예방하며 알콜이나 니코틴 등의 해독작용을 한다.
410
1.746
위와동일
`01
867
2.240
미국,홍콩,일본,대만,캐나다,중국
390
1.542
중국,스리랑카,영국,미국,일본
※ 자료 : 농축산물 수출입동향(농촌진흥청)
7.국내 수급전망
구분
`95
`96
`97
2001
2004
총수요량(천M/T)
900
1.380
1.380
2.880
4.000
공급량(천M/T)
900
1.394
1.394
2.890
4.000
국내생산(천M/T)
870
1.334
1.334
2.800
3.400
소요재배면적(ha)
580
580
580
700
850
수량(Kg/10a)
150
230
230
400
400
수입(천M/T)
30
60
60
90
600
자급률(%)
97
97
97
97
85
주) 총수요량은 '93년 1인당 소비량과 년도별 인구증가율로 추정
※ 자료 : 작목별 기술대응방안('95, 농촌진흥청)
8.결론
우리나라 차문화는 불교가 융성했던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에 상당히 번성했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해 상류계층이 향유한 반면 서민들은 대용차와 숭늉을 즐겨 마셨다. 그러다가 한국전쟁시 미군에 의해 전래된 커피가 급속히 확산돼 지금까지 우리의 차문화를 지배해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차의 각종 기능성이 알려지고,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차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어 있다. 특히 환경호르몬이나 각종 공해, 중금속 등의 피해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지키고 생명연장의 꿈을 이뤄 줄 수 있는 미래식품으로서 차에 대한 기대치는 어떤 식품보다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수요에 대하여 미래의 우리나라의 차 산업의 증대와 발전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차산업의 기반은 미약하다. 우리나라 차산업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개선점을 찾도록 해야한다.
1.우리나라 차산업의 문제점과 개선안
구분
문제점
개선방안
재배기술
*차나무 우량품종 육성 실적이 없어 재래종에 의존(국내재배 녹차품종의 대부분이 야부기다임)
*야산에 조성된 다원이 많아 생산성 저조 및 기계화 곤란
*우량품종 육성계발
*기계화 가능한 지역에 다원조성으로 생산성향상
유통
*녹차의 소비에 따른 공급부족
*가공전문 기술인력 부족으로 품질 차이가 큼
*차문화의 정착이 미흡함
*다원 조성 지원 등 고려
*가공전문 기술인력 발굴
*국산차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신상품의 개발
수출
*일본보다 품질은 우수하나 가격이 높아 경쟁력이 약함
고품질 녹차(곡우차등)의 개발로 경쟁력강화
2.참고
*국내의 차 생산,소비,수출입 동향
⊙ 재배면적 - 국내 녹차 재배면적은 '99년에 1,431ha로서 이중 경남은 27.9%인 399ha였다. 최근 건강식품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 녹차재배지역은 전남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보성군이 차시험장의 설립과 함께 국내 주요주산지이다.
⊙ 생 산 량 : 전국 차 생산량은 '99년 1,109톤으로서 경남의 생산량은 전국의 9.3% 정도이다. 세계의 차 최대 생산국은 인도와 중국으로 인도의 경우 2000년 1,471천톤 정도의 차가 생산되었다.
⊙ 소 비 : 차 소비추세는 '80년에 녹차의 수요가 5톤, 홍차의 수요가 16톤이 던 것이 '91년에는 녹차가 740톤, 홍차가 217톤으로 급격히 증가 하는 경향을 보였다.
⊙ 수 출 입 : 수출은 '99년 390톤, 2000년 371톤, 2001년에 867톤 이었으며 수입은 166톤, '99년 274톤, 2000년 410톤, 2001년에 390톤 이었다.
⊙차의 효능 : 차는 술독을 없애고 취기를 깨게하는 것 외에 내구력과 기억력을 증대시키고 괴혈병을 예방하며 알콜이나 니코틴 등의 해독작용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