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알베르토 망구엘의 <독서의 역사> ......서평
본문내용
니 속에 넣고 다니기를 원하는 독서가들을 위한 것이다.
1953년 : 레이 브래드버리는 『화씨 451도』란 책을 출간했다. 이 소설은 책은 모조리 불태워지고, 독서가들은 텍스트를 외워서밖에 간직하지 못하는, 즉 '워킹 라이브러리'가 되는 미래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1970년 : 미국의 컴퓨터광 테드 넬슨은 '하이퍼텍스트'라는 용어를 만들어낸다. 이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독서가들이 어느 대목에서나 마음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 문학을 뜻한다.
1996년 : 미국 의회 도서관의 장서가 1억 권이 넘었다. 1995년에만 357,437권이 추가되었다. 1800년에 처음 마련된 이 의회 도서관의 기금은 5,000달러에 불과했다.
1985년 : 유네스코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28%가 글을 읽지 못한다.
1953년 : 레이 브래드버리는 『화씨 451도』란 책을 출간했다. 이 소설은 책은 모조리 불태워지고, 독서가들은 텍스트를 외워서밖에 간직하지 못하는, 즉 '워킹 라이브러리'가 되는 미래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
1970년 : 미국의 컴퓨터광 테드 넬슨은 '하이퍼텍스트'라는 용어를 만들어낸다. 이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독서가들이 어느 대목에서나 마음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 문학을 뜻한다.
1996년 : 미국 의회 도서관의 장서가 1억 권이 넘었다. 1995년에만 357,437권이 추가되었다. 1800년에 처음 마련된 이 의회 도서관의 기금은 5,000달러에 불과했다.
1985년 : 유네스코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28%가 글을 읽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