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안락사의 형법상 정당화 논의
A. 법적 정당화의 일반적 구조
B. 법적 정당화의 근거에 대한 견해
안락사에 대한 형법적 판단 및 해결
형법적 안락사
※안락사의 형법상 정당화 논의
A. 법적 정당화의 일반적 구조
1. 정당화의 일반적 구조
A. 법적 정당화의 일반적 구조
B. 법적 정당화의 근거에 대한 견해
안락사에 대한 형법적 판단 및 해결
형법적 안락사
※안락사의 형법상 정당화 논의
A. 법적 정당화의 일반적 구조
1. 정당화의 일반적 구조
본문내용
ichael Burleigh, "Death and Deliverance": 'Euthanasia' in Germany c. 1900∼1945. ETHNIC AND RACIAL STUDIES, Vol:19, ISSUE:3, PAGE:703
논문
국내
1. 강구진, "인공심폐장치의 차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서울대 「법학」41집, 1979.8.
2. 구병삭, "헌법상 자기결정권의 문제", 월간고시, 1990.2.
3. 권문택, "안락술에 대하여", 고시계 1974.7.
4. 김동림, "안락사에관한 형법적 고찰", 강원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3.2.22.
5. 김일수, "안락사 문제의 실정법적 연구", 현대사회 4권 1호, 1984.4.
6. 명희승, "안락사에 관한 연구", 연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2.
7. 문기석, "Euthanasia에 관한 법적 소고", 판례월보, 1984.10.
8. 박정일, "형법적측면에서의 안락사 및 존엄사에 관한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87.8.
9. 배준석,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고찰",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1990.2.
10. 백형구, "안락사와 존엄사", 대한변호사협회지 제290호(1984.3.), 17∼25쪽
11. 손병현,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법적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995.2.
12. 심헌섭, "안락사의 문제", 고시연구 1976.2.
13. 염정철, "안락사", 효원(부산대 학예부)2집, 1958.
14. 추승우, "형법상 안락사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2.
15. 한동주,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연구",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1993.2.
16. 한휘전, "안락사에 관한 연구", 조선대 석사학위논문, 1989.8.
17. 허영훈,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연구", 서강대 석사학위논문, 1997.2.
18. 허일태, "안락사에 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 1993, 겨울
국외
1. Baird Bobert M. & Stuart E. Rosenbaum. EUTHANASIA, The Moral Issues, Buffalo, New York, 1989
2. Black, Henry Campbell, BLACK'S LAW DICTIONARY, Abridged 6th Ed., 3rd Reprint, 1993
3. Black, Susan D. & J. Andrew Billings, "Patient Requests To Hasten Death", Arch Intern Med., Vol.154, 1994.9.
4. Caddell, David P. and Rae R. Newton, "Euthanasia: American Attitudes Toward The Physician's Role", Soc. Sci. Med., Vol.40, No.12, Greate Brit ain, 1995
5. Callahan, Daniel, "Regulating Physician-Assisted Death", Sounding Board,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31, No.24, 1994.12
6. Emanuel, Ezekiel J., "The History of Euthanasia Debates in the United Sates and Britai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Vol.121, No.10, 1994.11.
7. Fins, Joseph J. & Mattbew D. Baccbeta, "Framing the Physician Assisted Suicide and Voluntary Active Euthanasia Debate: The Role of Deontology, Conequentialism, and Clinical Pragmatism",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5
8. Foote, Caleb & Robert J. Levy, Criminal Law - Cases and Materials -, Little, Brown and Company, Boston, Toronto, 19819. Gert, Bernard & EmaEzekiel J. Emanuel, " The Distinction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Arch Intern Med., Vol.155, 1995.6
10. Hannay, Timo, "Landmark euthanasia case : Japanes doctor guilty", Nature Medicine, Vol.1, No.5, 1995.5
11. Heintz, A. P. M., "Euthanasia: a personal experience in gynecologic oncology", Int.J. Gynecol Cancer, 1995.
12. Jefferson, Michael, Criminal Law, Pitman, 1993
13. Jeffrey, David, "Active euthanasia - time for a decision -",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Vol.44, 1994
14. Jochemsen, H., "Euthanasia in Holland: an ethical critique of the new law", the Remmelink Report, Lindeboom Institute, the Netherlands, 1991
15. Kadish, Sanford & Stephen J. Schulhofer, Criminal Law And Its Processes-Cases And Materials -, Fifth Edition, Little, Brown and company, Boston, Toronto, London, 1989
16. Komesaroff, Paul A., J. Norelle Lickiss, Malcolm Parker, and Michael A.
논문
국내
1. 강구진, "인공심폐장치의 차단에 관한 형법적 고찰", 서울대 「법학」41집, 1979.8.
2. 구병삭, "헌법상 자기결정권의 문제", 월간고시, 1990.2.
3. 권문택, "안락술에 대하여", 고시계 1974.7.
4. 김동림, "안락사에관한 형법적 고찰", 강원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3.2.22.
5. 김일수, "안락사 문제의 실정법적 연구", 현대사회 4권 1호, 1984.4.
6. 명희승, "안락사에 관한 연구", 연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2.
7. 문기석, "Euthanasia에 관한 법적 소고", 판례월보, 1984.10.
8. 박정일, "형법적측면에서의 안락사 및 존엄사에 관한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87.8.
9. 배준석,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고찰",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1990.2.
10. 백형구, "안락사와 존엄사", 대한변호사협회지 제290호(1984.3.), 17∼25쪽
11. 손병현,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법적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995.2.
12. 심헌섭, "안락사의 문제", 고시연구 1976.2.
13. 염정철, "안락사", 효원(부산대 학예부)2집, 1958.
14. 추승우, "형법상 안락사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2.
15. 한동주,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연구",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1993.2.
16. 한휘전, "안락사에 관한 연구", 조선대 석사학위논문, 1989.8.
17. 허영훈, "안락사에 관한 형법적 연구", 서강대 석사학위논문, 1997.2.
18. 허일태, "안락사에 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 1993, 겨울
국외
1. Baird Bobert M. & Stuart E. Rosenbaum. EUTHANASIA, The Moral Issues, Buffalo, New York, 1989
2. Black, Henry Campbell, BLACK'S LAW DICTIONARY, Abridged 6th Ed., 3rd Reprint, 1993
3. Black, Susan D. & J. Andrew Billings, "Patient Requests To Hasten Death", Arch Intern Med., Vol.154, 1994.9.
4. Caddell, David P. and Rae R. Newton, "Euthanasia: American Attitudes Toward The Physician's Role", Soc. Sci. Med., Vol.40, No.12, Greate Brit ain, 1995
5. Callahan, Daniel, "Regulating Physician-Assisted Death", Sounding Board,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31, No.24, 1994.12
6. Emanuel, Ezekiel J., "The History of Euthanasia Debates in the United Sates and Britain", Annals of Internal Medicin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Vol.121, No.10, 1994.11.
7. Fins, Joseph J. & Mattbew D. Baccbeta, "Framing the Physician Assisted Suicide and Voluntary Active Euthanasia Debate: The Role of Deontology, Conequentialism, and Clinical Pragmatism",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5
8. Foote, Caleb & Robert J. Levy, Criminal Law - Cases and Materials -, Little, Brown and Company, Boston, Toronto, 19819. Gert, Bernard & EmaEzekiel J. Emanuel, " The Distinction Between Active And Passive Euthanasia", Arch Intern Med., Vol.155, 1995.6
10. Hannay, Timo, "Landmark euthanasia case : Japanes doctor guilty", Nature Medicine, Vol.1, No.5, 1995.5
11. Heintz, A. P. M., "Euthanasia: a personal experience in gynecologic oncology", Int.J. Gynecol Cancer, 1995.
12. Jefferson, Michael, Criminal Law, Pitman, 1993
13. Jeffrey, David, "Active euthanasia - time for a decision -",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Vol.44, 1994
14. Jochemsen, H., "Euthanasia in Holland: an ethical critique of the new law", the Remmelink Report, Lindeboom Institute, the Netherlands, 1991
15. Kadish, Sanford & Stephen J. Schulhofer, Criminal Law And Its Processes-Cases And Materials -, Fifth Edition, Little, Brown and company, Boston, Toronto, London, 1989
16. Komesaroff, Paul A., J. Norelle Lickiss, Malcolm Parker, and Michael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