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사회사업 )교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의 제기와 논문의 목적

2. 신학교/기독교대학의 사회복지(사회사업)교육의 동향

3. 사회복지(사회사업) 교과과정과 신학의 주제

4. 신학교육 교과과정과 사회복지(사회사업)의 주제

5. 사회복지(사회사업)교육과 신학교육의 통합과제

6. 기독교 사회복지, 교회사회사업의 정립을 위한 기독교 사회복지의 과제

본문내용

기 쉽고 이 결과 신학과 교수와 사회복지학과 교수간에 의미있는 학문적 대화가 어루어 지지 목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기독교사회학자인 G.A.Hillemy 교수는 진리의 유형이라는 <도표 4>와 같은 이론적 준거들을 제시하여 주었다.
) G.A.Hillemy, Jy, "A chrstian Perspective on Socialigy" In A Reader in Sociology : christian P erspectives, ed, C.P.De Santo,et al,(Scottdale, PA,: Heral Press, 1986), pp. 159 ~ 170.
신학의 경우 신학적 진리, 신비적 진리, 감각적 진리, 과학적 진리의 순서대로 그 강조점을 들 수 있겠고, 사회복지학의 경우 그 반대교육방법이 고찰될 수 있을 것이다.
(표 4)
네째, 신학 교과과정에서 실천신학, 기독교육학, 기독교 윤리학동은 인간이 문제와 인간을 둘러 싼 환경의 문제를 파악함에서 과학적 관점에다 깊숙한 윤리적 영적(기독교적) 차원의 관점을 사회복지계에 던져 줄 수 있다. 기독교 사회복지교육이 시도된다면 이러한 기독교적 관점을 가짐 수 있는 교육이 동반 되어져야 한다.
다섯째, 신학교나 기독교대학에서 사회복지교육을 실시할 때는 기독교공동체, 교회공동체, 교회가 주최가 되는 사회복지기관 등을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들의 실체에 대한 이해는 신학교 교과과정의 도움을 얻어야 사회복지교육이 기독교공동체라는 준거틀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사회사업 방법론이나 정책, 행정 및 사회복지 연구 교육이라는 전체사회복지분야에서 기도교적 관점이 적용되기 위하여서는 신학교자와 사회복지학교육자들 간에서 이러한 분야의 학문을 이루고 있는 기본개념에 대한 여러차원적 조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상과 몇개의 연결 가능성의 꽉점을 제시하면서 확신되는 바는 신학과 사회복지학은 가장 근접한 학문으로 기독교공동체나 교회의 본질적인 복음적 사명을 완수하는데 서로를 필요로 하고 있다고 본다.
Ⅵ. 기독교사회복지, 교회사회사업의 정립을 위한 기독교 사회복지교육의 과제
본 연구논문은 몇개의 문제점을 전제로 시작되었다. 신학교나 기독교계 대학에 사회복지(사회사업)학과가 존재하는 근본적인 이유가 분명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 결과 신학과와 사회복지학과 간의 의미있는 교과과정상의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이다. 또한 신학과 교수들과 사회복지학과 교수들 사이에 교육상 의미있는 상호교환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이다. 사회복지학과 자체에서도 신학과 사회복지의 의미있는 관계를 맺지 못하고 교수님 학생들에게서 전문적 정체감 확립에 문제성을 이르키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별히 신학교나 기독교대학내의 사회복지교육이 일반대학의 교육과 대소동이하이며, 교과과정이나 교과과목 또는 교재개발에서 츠이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어떤 의미에서는 사회복지(사회사업)학과는 대부분 신학교 당국에 의하여 창설된 후 그대로 던져져 있는 상태를 방불하게 된다. 신학교나 기독교대학들의 독특한 건학이념이나 학교교육이념에 입각하여 사회복지교육이 능동적으로 형성되어져 가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방향감각이나 기독교의 목적의식도 없이 끌려가고, 일반대학에서 교육하는 사조에 그대로 휘말려가는 경향이 있다. 문제는 이러한 신학교·기독교대학의 사회복지교육의 실정이 정상적인 것인가 또는 문제성으로 제기하여야 하는가를 주제성 있게 결정해야 할 것인가 또는 문제성으로 제기하여야 하는가를 주체성 있게 결정해야 할 것이다. 신학교에 소속하지 말고 일반 사회과학대학이 소속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으나 느낌도 있다. 사회복지학과에 다니는 학생은 신앙이 얕은 사람들이라는 평판도 있다. 이제 신학계나 사회복지계는 특별히 같은 울타리안에서 젊은 학생들에게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한 어떤 건설적인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하나님께서 은혜로 내려 주신 신학의 딸란트, 사회복지의 딸란트를 합동하여 유익하게 하나님나라에서 쓰여지도록 구체적인 행동이 취해져야 한다. 그래서 다음 몇가지 구체적인 제안을 하면서 본 논문을 종결하고자한다.
첫째, 현재 22개 신학교 몇 기독교계 대학에서 지금까지 제기되고 고찰된 문제를 공동으로 대처해 나가기 위하여 어떤 협의체가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예, 한국기독교 사회복지교육 협의회)
둘째, 신학교나 기독교계 대학의 신학전공교수들과 사회복지(사회사업)교육 전공교수들 간에 협의체가 구성되어 신학교 내에서의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제반 문제들이 토의 되어져야 한다.
세째, 기독교사회복지학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소연구위원회 내지 연구팀이 구성되어 계속적인 연구활동과 보고가 이루어져야 한다.
네째, 교회사회사업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나름대로의 실천방법을 연구, 개발 한기 위한 연구팀 내지 연구위원회가 구성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회 내지 기독교 공동체가 주최가 되는 사회복지기관의 전문인력이나 기독교적 관점의 운영을 돕기 위한 사회복지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전문사회사업, 교회의 사회봉사사업, 기독교인들의 자원봉사활동 등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전반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신학교 소속 사회복지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교회가 사회사업(사회복지)실천의 장(Setting)내지 맥략(content)이 될 경우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덟째, 세속적인 사회복지교육과 기독교 관점의 사회복지교육의 유사점과 상이점을 연구할 소위원회가 구성될이 바람직하다.
아홉째, 이와 같은 다양한 과제의 수행에 핵심이 될 수 있는 기독교사회복지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과과정이 본 논문에서 제시한 내용이나 방향이외에도 보다 포괄적인 관점에서 연구개발하기 위한 전국 규모의 "TASK-FORCE"가 시급히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열째, 이러한 모든 노력에 핵심이 될 수 있는 기독교사회복지(교육)연구소가 어떤 신학교나 기독교계 대학에 창설되어 구심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기독교적 관점의 사회복지를 교육하기 위해 교수들이 기독교적 신앙으로 부장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1.26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