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계 유통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2단계 유통이론의 대두배경과 기본 가정

2. 2단계 유통 이론의 기본 가정들

3. 2단계 유통 이론에 대한 검증 연구들

4. 2단계 유통이론에 대한 비판과 평가

5. 2단계 유통이론에 대한 평가와 결언

본문내용

라는 말은 의견이나 아이디어를 창출해내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오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매스미디어로부터의 단순한 정보는 그것의 영향과는 달리 매스미디어로부터 수용자들에게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어, 반드시 의견지도자들을 거쳐서 전달된다고 볼 수는 없다.
다섯째, 매스미디어 이외의 다른 채널들이 정보나 아이디어 또는 지식을 제공하는 중요 정보원이 되고 있는 경우는 제외가 되고 있다.
이들의 비판내용은 다소 불합리한 점들이 없잖아 있지만 정보와 영향의 전파 과정을 구별하고, 단순한 정보는 매스미디어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달되지만, 그 영향은 2단계를 거쳐 전파 될 수도 있다는 점은 새로운 지적이었다.
5. 2단계 유통이론에 대한 평가와 결언
1) 긍정적 영향
2단계 유통이론은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발전에 큰 공헌을 했기 때문에 비판과 함께 많은 긍정적인 평가도 받아왔다. 우선 매스미디어 효과 연구를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고, 탄환이론의 부정과 소효과론을 제기하였다.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함은, 이전까지는 주로 메스커뮤니케이션 현상만을 다루는 좁은 범위의 이른바 '매스 커뮤니케이션학'이었다고 하겠으나, 2단계 유통이론의 대두를 계기로 그 연구 대상을 대인 커뮤니케이션 현상에까지 확대함으로써 기존의 '매스 커뮤니케이션학'이 '커뮤니케이션학'으로 발전, 모든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다루는 폭 넓은 학문이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탄환이론을 새로운 입장의 소효과이론으로 대치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바로 선별효과이론과 2단계 유통이론이다. 그리도 2단계 유통이론은 수용자에 대한 개념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전까지는 수용자들을 '매스'로 보고 수용자 개인은 '매스'를 구성하는 원자화된 존재로 보았다. 그러니 이 이론의 등장으로 수용자들은 더 이상 원자화된 존재가 아니라, 서로가 사회적 관계와 접촉을 갖는 상호 유관적 존재로 인식되었다.
2) 부정적 영향
2단계 유통이론이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와 그 이론의 발전에 기여한 바가 적지 않지만 그에 반한 역기능도 없지 않았는데,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2단계로만 나누고,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도 의견 지도자를 거쳐서만 일어나는 것으로 보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맥스미디어의 효과를 과소 평가하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커뮤니케이션 연구자들을 '소효과이론' 내지 '한정효과이론'의 콤플렉스에 걸리게 만들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2.03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1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