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관파와 유식파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중관파
2) 유식파
3) 중관파와 유식파의 비교
4) 중관파의 유식 비판

결론

본문내용

적으로는 있다고 인정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실재하지 않는 空이라고 주장하여 如來와 菩提와 空性에도 궁극적인 실재가 없다고 본다. 中觀派는 世間적으로 외계의 대상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이 점에서 唯識派의 기본적인 견해와 대립한다. 中觀派에서는 『華嚴經』의 '三界唯心'은 다른 學派에서 事物의 존재를 주장하는 것을 배제하고, 無我를 말하기 위해 唯心이라고 설한 것뿐이며 결코 외계가 존재하지 않음을 설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따라서 唯心은 方便이라는 것이다.
唯識派에서는 阿賴耶識이 緣起한다고 설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있다고 해도 我와 같은 불변의 실재로 보는 것이 아니며 唯識性에 든다는 것은 대상도 식도 함께 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空性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같은 唯識說에도 시대를 따라 변천이 있어서 시대를 더불어 唯識無境 즉 識만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부각되었다. 이것은 識의 구조에 대한 認識論的 分析이 발달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世親 이후 陳那가 출현해서 認識의 대상이란 認識의 결과로 植 자체의 내부에서 형성된 것이며, '인식한다는 것은 自己 認識에 지나지 않는다'고 함으로써 확립되기 시작하였다.
中觀派가 비판하기 시작한 것은 陳那의 說이 확립된 이후라고 추정되기 때문에 식의 실재성에 대한 주장이 상당히 강렬하게 반영되었다고 생각된다. 바꾸어 말하면 中觀派에서는 非有非無의 中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無의 입장에 더 기울어져 있는 듯 하다.
Ⅲ. 結 論
이상에서 中觀派와 唯識派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 두 學派가 闡明하고 있는 思想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學派간의 차이점과 대립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佛法은 一味라는 말이 있다. 散說된 부처님의 교설 들이 모두 한 맛이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발생한 다양한 불교사상들이 모두 한 맛이라는 의미이다. 그 취지를 망각하게 되면, 阿比達磨敎學은 경건주의적 실재론, 中觀派는 냉소적 허무주의, 唯識派는 몽상적 유심주의, 密敎는 몰가치적인 실재론으로 비칠 수 있겠으나 그 취지를 올바로 파악하는 경우 우리는 이 모든 불교사상에서 佛法의 ‘한 맛’, 즉, 解脫味를 느끼게 된다. 佛敎 內 각 敎派의 다양성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敎化方式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일 뿐이다.
♧ 參考文獻
묘주, 『유식사상』경서원.
오형근, 『유식학 입문』 불광 출판사.
다카사키 지키도, 『유식입문』 시공사.
高麗大藏經硏究所 (http://211.46.71.249/webterm/webterm.exe)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2.05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44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