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형근, 『유식학 입문』 불광 출판사.
다카사키 지키도, 『유식입문』 시공사.
高麗大藏經硏究所 (http://211.46.71.249/webterm/webterm.exe) 서론
본론
1) 중관파
2) 유식파
3) 중관파와 유식파의 비교
4) 중관파의 유식 비판
결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관파 (經量行 中觀派)
- 자립논증파 중에서 淸辨은 유식설에 반대하여 외계의 實在를 인정하므로 경량부중관파라 하였다.
◎ 유가행 중관파 (瑜伽行 中觀派)
- 자립논증파 중에서 적호, 연화계는 유식사상을 도입하였으므로 유가행관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관파(中觀派)와 더불어 인도 대승불교의 양대 주류를 이루었다. 《대승성업론(大乘成業論)》 《불성론(佛性論)》 《변중변론(辨中邊論)》 등의 저서도 있다.
형제이다. 이 두사람은 간다라지방의 '푸루샤푸라'라는 도시에서 태어났다. 이곳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3.10.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관파의 <절대 : 모든 사물의 본질>에 대한 관념은 두 가지로 얘기되어질 수 있다. 절대란 전적으로 비규정적 성질을 갖는다는 점, 이는 논리적 측면에서 절대의 성격을 강조한 것이고, 비규정적이기에 이성에 의해 접근되어질 수 없다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관파와 유식파의 교리적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이론체계를 제시한 것, 대승불교의 핵심적 이론서인 <대승기신론>에 대한 대표적인 주석서. <금강삼매경론>: 대승불교의 실천원리를 제시한 이론서, 원래 책명은 <금강삼매경론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