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교사의 소명과 문제 인식
1.교사의 사명은 엄숙한 것이다.
2.교사 [한 사람]의 힘과 영향력은 놀라운 것이다.
3.주님은 최고의 교사였고, 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II. 교사란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
1.교사는 리더여야 하다.
2.교사는 영향력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3.교사는 학생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III. 교사가 극복해야 할 몇 가지 오류들
1) 교육을 일정한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
2)교육이 학생 중심이 아니라 학과 중심인 경우
3)학생들의 삶을 도외시하는 태도
1.교사의 사명은 엄숙한 것이다.
2.교사 [한 사람]의 힘과 영향력은 놀라운 것이다.
3.주님은 최고의 교사였고, 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II. 교사란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
1.교사는 리더여야 하다.
2.교사는 영향력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3.교사는 학생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III. 교사가 극복해야 할 몇 가지 오류들
1) 교육을 일정한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
2)교육이 학생 중심이 아니라 학과 중심인 경우
3)학생들의 삶을 도외시하는 태도
본문내용
싫어하게 되는 데에 교사의 영향이 미치기도 하고 어떠한 말씀을 좋아하거나 꺼려하는 데에도 교사의 영향이 미친다. 이런 말이 있다.
"부적절한 교수법 때문에 학생들을 영원히 그 진리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은 죄이다."
좋은 영향을 미치는 교사가 되기 위해 계속해서 간절한 기도와 갈망하는 태도가 있어야 할 것이다.
3.교사는 학생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딤전1:5을 읽으라.
"경계의 목적은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과 거짓이 없는 믿음으로 나는 사랑이거늘"
교사는 가르침에 있어서 온전히 학생을 향한 사랑이 있어야 한다. 아이들에게는 관심이 없고 내 삶에만 관심이 있을 때 이 사람은 교사의 자격이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교사는 학생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목자는 양을 위해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는 학생을 섬기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을 섬기기 위해 교사는, 특히 그리스도인 교사는 인격적으로나 전문적으로 가능한 한 가장 높은 수준에까지 자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그 외에 것들은 다음 순위로 미룰 수 있어야 한다.
III. 교사가 극복해야 할 몇 가지 오류들
1) 교육을 '일정한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
어떤 [틀]을 설정하고, 그 과정을 이수하는 것으로 '교육을 마쳤다'고 생각지 말라. '수준 높은 가르침'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각 학생이 모든 시간에 똑같은 진보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훌륭한 교사는 [교육]을 일정한 과정을 밟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
2)교육이 학생 중심이 아니라 학과 중심인 경우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가르치고, 평가하는 것은 훌륭한 교사의 태도가 아니다. 어떤 교사는 학생이 얼마나 잘 배우는가를 생각하기 보다, 자신이 준비한 공과나 교육 계획이 제대로 진도 나갔는가에만 관심을 가지는 듯 보이기도 한다. 그런 교사는 실질적으로 영향력이 낮은 사람인 것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교사는 [학생]들을 이해할 줄 알고, 거기에 따라서 교육이 방식을 조절하는 사람이다.
3)학생들의 삶을 도외시하는 태도
-- 이론이 학생들의 삶과 동떨어지는 교육은 실패다. 당신의 가르침이 오늘날의 [학생들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가? 학생들의 삶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는 태도는 가르침을 적용에까지 연결시킬 수 없다. 교사는 늘 학생들의 필요를 파악하여 그 필요를 채워줄 수 있어야 한다. 성경의 진리는 불변한다. 진정한 교사는 양들이, 학생들이 꼴을 뜯어먹을 수 있는 곳까지 인도하는 사람이다. 그저 손을 허공에다 대고는 이렇게 말하지 말라.
"저기, 산을 두 개 넘어 가면 엄청난 풀들이 많아. 가서 맛있게 뜯어먹어"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이 양들 중에는 다리가 아픈 양도 있을 것이요, 길눈이 어두운 양도 있을 것이다. 또 겁이 많아서 산을 넘다가 나뭇잎의 부스럭거리는 소리만 들어도 꼼짝 못하는 양도 있는 것이다. 그 모든 양들을 이해하고, 그들을 이끌어 '꼴이 있는 초장'이라는 삶의 현실에까지 인도해주는 교사야말로 주님이 원하시는 교사이다.
"부적절한 교수법 때문에 학생들을 영원히 그 진리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은 죄이다."
좋은 영향을 미치는 교사가 되기 위해 계속해서 간절한 기도와 갈망하는 태도가 있어야 할 것이다.
3.교사는 학생을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딤전1:5을 읽으라.
"경계의 목적은 청결한 마음과 선한 양심과 거짓이 없는 믿음으로 나는 사랑이거늘"
교사는 가르침에 있어서 온전히 학생을 향한 사랑이 있어야 한다. 아이들에게는 관심이 없고 내 삶에만 관심이 있을 때 이 사람은 교사의 자격이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교사는 학생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목자는 양을 위해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는 학생을 섬기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리고 학생을 섬기기 위해 교사는, 특히 그리스도인 교사는 인격적으로나 전문적으로 가능한 한 가장 높은 수준에까지 자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그 외에 것들은 다음 순위로 미룰 수 있어야 한다.
III. 교사가 극복해야 할 몇 가지 오류들
1) 교육을 '일정한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
어떤 [틀]을 설정하고, 그 과정을 이수하는 것으로 '교육을 마쳤다'고 생각지 말라. '수준 높은 가르침'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각 학생이 모든 시간에 똑같은 진보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훌륭한 교사는 [교육]을 일정한 과정을 밟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
2)교육이 학생 중심이 아니라 학과 중심인 경우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가르치고, 평가하는 것은 훌륭한 교사의 태도가 아니다. 어떤 교사는 학생이 얼마나 잘 배우는가를 생각하기 보다, 자신이 준비한 공과나 교육 계획이 제대로 진도 나갔는가에만 관심을 가지는 듯 보이기도 한다. 그런 교사는 실질적으로 영향력이 낮은 사람인 것이다. 그러므로 진정한 교사는 [학생]들을 이해할 줄 알고, 거기에 따라서 교육이 방식을 조절하는 사람이다.
3)학생들의 삶을 도외시하는 태도
-- 이론이 학생들의 삶과 동떨어지는 교육은 실패다. 당신의 가르침이 오늘날의 [학생들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가? 학생들의 삶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는 태도는 가르침을 적용에까지 연결시킬 수 없다. 교사는 늘 학생들의 필요를 파악하여 그 필요를 채워줄 수 있어야 한다. 성경의 진리는 불변한다. 진정한 교사는 양들이, 학생들이 꼴을 뜯어먹을 수 있는 곳까지 인도하는 사람이다. 그저 손을 허공에다 대고는 이렇게 말하지 말라.
"저기, 산을 두 개 넘어 가면 엄청난 풀들이 많아. 가서 맛있게 뜯어먹어"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 이 양들 중에는 다리가 아픈 양도 있을 것이요, 길눈이 어두운 양도 있을 것이다. 또 겁이 많아서 산을 넘다가 나뭇잎의 부스럭거리는 소리만 들어도 꼼짝 못하는 양도 있는 것이다. 그 모든 양들을 이해하고, 그들을 이끌어 '꼴이 있는 초장'이라는 삶의 현실에까지 인도해주는 교사야말로 주님이 원하시는 교사이다.
추천자료
교사/부모/교육부 장관으로서의 교육
교사정보소양교육(교원정보소양교육)의 의의, 교사정보소양교육(교원정보소양교육)의 현황과 ...
[교사교육][교사교육 질적 연구][교사교육과 교육용 웹서버][교사교육과 교육연구][교사교육...
[무용][과학][교무부장][특수][양호][유치원][사서][실과][미술][초등][학습지]무용교사, 과...
독서교육, 평생교육(수업)프로그램 사례, 반부패교육(수업)프로그램 사례, 미디어교육(수업)...
교원정보소양교육(교사정보소양교육)의 특징과 의의, 교원정보소양교육(교사정보소양교육)의 ...
[영국][교육제도][자국어교육][정보공학 교육과정][열린교육][진로교육][교사교육]영국의 교...
[영국교육][영국의 교육][영국 교육개혁][영국 교육행정제도][영국 교사교육]영국의 교육개혁...
[특수유아교육] 영재·재능아 교육 - 영재 교육의 이해, 교사교육의 중요성, 영재 담담교사의 ...
특수학교교사 양성체제 개선방안 - 양서익관과 자격제도 및 양성과정
[기독교교육] 기독교 교사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교사 교육의 문제점 및 교사 교육 방안
교육 및 보육영역의 교사의 사명감과 한국 보육교사교육의 개선방안.
[보육교사론]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원내 교사교육의 개념 필요성 및 목적 특성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