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절 음성언어 교육론
1. 언어교육의 중요성
2. 음성언어지도의 원리 및 과정
제2절 국어과 학습지도의 이론과 방법
1. 교수전략
2. 국어 학력관
3. 국어과 교수 학습 형태의 유형 및 활용
4.국어과 교수 학습 원리 방법
제3절 듣기교육
1. 듣기교육의 목표
2. 듣기의 교수․학습
제4절 말하기 교육
1. 말하기의 목표
2. 지도내용
3. 말하기 교수-학습
4. 말하기 방법 및 실제
5. 말하기 지도에 있어서 유의점
제5절 읽기교육
1. 읽기교육의 목표
2. 읽기지도의 내용
3. 읽기의 교수-학습
4. 읽기교육의 실제
5. 읽기의 지도상의 유의점
제6절 쓰기교육
1. 쓰기교육의 목적
2. 쓰기(짓기)의 지도과정
제7절 문학교육
1. 문학교육의 목표
2. 문학지도의 방법 및 실제
마치며
토의할 문제
참고문헌
1. 언어교육의 중요성
2. 음성언어지도의 원리 및 과정
제2절 국어과 학습지도의 이론과 방법
1. 교수전략
2. 국어 학력관
3. 국어과 교수 학습 형태의 유형 및 활용
4.국어과 교수 학습 원리 방법
제3절 듣기교육
1. 듣기교육의 목표
2. 듣기의 교수․학습
제4절 말하기 교육
1. 말하기의 목표
2. 지도내용
3. 말하기 교수-학습
4. 말하기 방법 및 실제
5. 말하기 지도에 있어서 유의점
제5절 읽기교육
1. 읽기교육의 목표
2. 읽기지도의 내용
3. 읽기의 교수-학습
4. 읽기교육의 실제
5. 읽기의 지도상의 유의점
제6절 쓰기교육
1. 쓰기교육의 목적
2. 쓰기(짓기)의 지도과정
제7절 문학교육
1. 문학교육의 목표
2. 문학지도의 방법 및 실제
마치며
토의할 문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을 이해 하며, 감상하는데 활용 하도록 한다.
셋째, 문학 작품은 그 작품을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 평가될 수 있으 므로, 문학 작품은 그 작품을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 평가될 수 있 으므로, 문학 작푼의 이해와 감상 활동에 학생들이 스스로 해석하고 평가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도록 지도한다.
넷째, 문학 작품은 추상적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구체적 삶과 관련지어, 그 가치 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섯째, 문학의 수업에서는 교사의 창의성을 발휘하되, 토의나 토론식 수업 등 다양한 수업 운영 방식을 택하도록 한다.
문학지도의 방법 및 실제
문학교육의 지도과정 요령
지도과정
지 도 내 용
1.도 입
.학습동기 부여, 흥미, 내용 암시
a
전개
1)개관단계
·통독
·장면, 정경, 대체적 내용, 글의 유형, 분위기
2)분석단계
·정독
·인물, 배경 시점, 주제, 함축, 심상, 어조, 음률, 제재, 작중화자(서정적 자아), 줄거리, 갈등, 상상, 시상, 비유, 상징, 문체, 구성,(연, 행, 장, 막,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정서, 장르특징, 작가론, 작품론, 문학론, 문학사, 문예사조, 낱말(형성 및 내용)
3)종합단계
·통일적 구조, 효과
4)감상,비평
단 계
·미독
·낭독, 즐기기(표현내용), 가치관의 내면화, 미적양상
·가치
3. 정리, 확인
·학습내용 확인
4. 발 전
·작문(감상문,창작) ·독서
문학영역에 유용한 교수 학습모형
우리교육 현장에 소개 전파된 교수-학습 모형을 문확교육과 관련하여 조망 해 보도록 한다
문학수업의 역동성을 강화하는 활동
문학과 친화하기 위한 초기 단계 활동
문학게시판 활동
그림으로 나타내기 활동
이야기 이어가기
녹음듣기
집에 있는 책 이용 하기
책 알아 맞히기
등장인물에 대한 스무고개식 문답
일기 속에 문학작품 이름 하나씩만 나타내기
스티카 보상 하기
문학감상의 입문을 돕는 활동
모의 인터뷰
판매원 놀이
라디오 방송을 통한 책 비평
팀 해석
그림 이용하기
등장인물과 대화 나누기
소모임별 게임식 작품 익히기
작품에 대한 광고 만들기
적극적 문학감상을 위한 활동들
이야기 덧붙이기
토론활동
연극활동
논쟁활동
본래의 결말과 다른 결말 맺기
전래동화를 현대물로 번안 하기
작품속의 인물에게 편지 쓰기
종합적 감상을 위한 활동들
문학독화
독창적인 이야기 쓰기
책 추천하는 편지 쓰기
이야기 일지
소집단 독후감 보고서
극본 만들기
◈마치며
인간의 언어 사용은 표현과 이해의 두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두 활동은 사고와 언어 사이를 연결짓는 정신적인 과정이라는 것이다. 이는 언어를 매개로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재구성하는 복합적인 사고과정이므로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은 객관화된 지식이나 규범화된 원리가 아니라 자신이 어떻게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실제적인 자기 인식이다. 이러한 이론적 가정과 이 가정을 뒷받침하는 많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지식적인 요소의 학습보다는 학생들의 직접적인 언어 활동 참여와 자기의 언어 과정에 대한 실제적인 인식에 중점을 두었다.
)김혜자,"국민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 청구 논문,p50(1993)
곧 우리조는 언어 사용이 사고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교사는 언어사용의 두 가지 측면 표현과 이해를 교수,학습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적용을 통하여 아동의 사고력 향상을 증진시켜야할 것이다. 이에 열린교육에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이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 토의할 문제
①가령 어느 아동이 쓰기는 잘하는데 말을 더듬거나 말을 잘하지 못하는아동이 있을수가 있다. 그럼 각 언어사용 측면에서 상호 관련이 있다고 보는가?
②체계로서의 언어를 가르치고 그것을 사용하게 되는 국어교육에서 현실적인 언 어와 국어정책 및 국어교육에서의 언어가 괴리되어 있다는 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되는가?
③특수아동(청각,시각장애자)들에게 행해지는 언어교육은 어떻한 방식으로 이루 어져야 하는가?
④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문자를 읽고,쓸 수 있는 기초개념을 넘어서서 학 생들에게 사고를 언어로 표현하고 또 언어를 통해서 사고를 이해하는 고등정신 기능을 신장시켜주는 것인데 이러한 점에서 언어는 창조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언어의 창조적 측면은 어떤 것이 있을까?
⑤위에서 제시된 교수 학습-방법외에 새로운 교수 학습-방법을 서로 생각해보자
★참고문헌★
.김대행,국어교과학의 지평,서울대학교 출판부,p52(1995)
.임규홍,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체,한신문화사,pp224-230(1996)
.───────────────────.p227
.조문제,말하기,듣기 교수,학습의 이론과 방법,교학 연구사,pp329-368(1996)
.──────────────────────────,pp207-225(1996)
.최현섭외 6명,국어교육학 개론,삼지원,p219(1997),재인용
.이응백외3명,국어교육,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pp136-137(1991)
.─────────────────────,pp156-164(1991)
.이철주,국어교육의 연구,인하대학교 출판부,pp114-119(1994)
.───────────────────,p115(1994)
.───────────────────,pp133-134(1994)
.충청남도 교육청,사고력을 기르는 국어과 교육,대한 교과서 주식회사,p215(1994)
.───────────────────────────────,p217(1994)
.───────────────────────────────,p254(1994)
.신헌재외 7명,열린교육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방법,박이정,pp99-184(1996)
.이오덕,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도서출판 보리,p84-88(1993)
.임규홍,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재,한신문화사,pp319-329(1996)
.박영목외 3명, 국어교육학 원론,(주)교학사,p367
.김상희,"국어과 수업 담화분석을 통한 교수 전략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1995,p94
.김혜자,"국민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 청구 논문,'p50(1993)
셋째, 문학 작품은 그 작품을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 평가될 수 있으 므로, 문학 작품은 그 작품을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 평가될 수 있 으므로, 문학 작푼의 이해와 감상 활동에 학생들이 스스로 해석하고 평가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도록 지도한다.
넷째, 문학 작품은 추상적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구체적 삶과 관련지어, 그 가치 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섯째, 문학의 수업에서는 교사의 창의성을 발휘하되, 토의나 토론식 수업 등 다양한 수업 운영 방식을 택하도록 한다.
문학지도의 방법 및 실제
문학교육의 지도과정 요령
지도과정
지 도 내 용
1.도 입
.학습동기 부여, 흥미, 내용 암시
a
전개
1)개관단계
·통독
·장면, 정경, 대체적 내용, 글의 유형, 분위기
2)분석단계
·정독
·인물, 배경 시점, 주제, 함축, 심상, 어조, 음률, 제재, 작중화자(서정적 자아), 줄거리, 갈등, 상상, 시상, 비유, 상징, 문체, 구성,(연, 행, 장, 막,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정서, 장르특징, 작가론, 작품론, 문학론, 문학사, 문예사조, 낱말(형성 및 내용)
3)종합단계
·통일적 구조, 효과
4)감상,비평
단 계
·미독
·낭독, 즐기기(표현내용), 가치관의 내면화, 미적양상
·가치
3. 정리, 확인
·학습내용 확인
4. 발 전
·작문(감상문,창작) ·독서
문학영역에 유용한 교수 학습모형
우리교육 현장에 소개 전파된 교수-학습 모형을 문확교육과 관련하여 조망 해 보도록 한다
문학수업의 역동성을 강화하는 활동
문학과 친화하기 위한 초기 단계 활동
문학게시판 활동
그림으로 나타내기 활동
이야기 이어가기
녹음듣기
집에 있는 책 이용 하기
책 알아 맞히기
등장인물에 대한 스무고개식 문답
일기 속에 문학작품 이름 하나씩만 나타내기
스티카 보상 하기
문학감상의 입문을 돕는 활동
모의 인터뷰
판매원 놀이
라디오 방송을 통한 책 비평
팀 해석
그림 이용하기
등장인물과 대화 나누기
소모임별 게임식 작품 익히기
작품에 대한 광고 만들기
적극적 문학감상을 위한 활동들
이야기 덧붙이기
토론활동
연극활동
논쟁활동
본래의 결말과 다른 결말 맺기
전래동화를 현대물로 번안 하기
작품속의 인물에게 편지 쓰기
종합적 감상을 위한 활동들
문학독화
독창적인 이야기 쓰기
책 추천하는 편지 쓰기
이야기 일지
소집단 독후감 보고서
극본 만들기
◈마치며
인간의 언어 사용은 표현과 이해의 두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두 활동은 사고와 언어 사이를 연결짓는 정신적인 과정이라는 것이다. 이는 언어를 매개로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재구성하는 복합적인 사고과정이므로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은 객관화된 지식이나 규범화된 원리가 아니라 자신이 어떻게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실제적인 자기 인식이다. 이러한 이론적 가정과 이 가정을 뒷받침하는 많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지식적인 요소의 학습보다는 학생들의 직접적인 언어 활동 참여와 자기의 언어 과정에 대한 실제적인 인식에 중점을 두었다.
)김혜자,"국민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 청구 논문,p50(1993)
곧 우리조는 언어 사용이 사고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교사는 언어사용의 두 가지 측면 표현과 이해를 교수,학습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적용을 통하여 아동의 사고력 향상을 증진시켜야할 것이다. 이에 열린교육에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이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 토의할 문제
①가령 어느 아동이 쓰기는 잘하는데 말을 더듬거나 말을 잘하지 못하는아동이 있을수가 있다. 그럼 각 언어사용 측면에서 상호 관련이 있다고 보는가?
②체계로서의 언어를 가르치고 그것을 사용하게 되는 국어교육에서 현실적인 언 어와 국어정책 및 국어교육에서의 언어가 괴리되어 있다는 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되는가?
③특수아동(청각,시각장애자)들에게 행해지는 언어교육은 어떻한 방식으로 이루 어져야 하는가?
④국어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문자를 읽고,쓸 수 있는 기초개념을 넘어서서 학 생들에게 사고를 언어로 표현하고 또 언어를 통해서 사고를 이해하는 고등정신 기능을 신장시켜주는 것인데 이러한 점에서 언어는 창조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언어의 창조적 측면은 어떤 것이 있을까?
⑤위에서 제시된 교수 학습-방법외에 새로운 교수 학습-방법을 서로 생각해보자
★참고문헌★
.김대행,국어교과학의 지평,서울대학교 출판부,p52(1995)
.임규홍,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체,한신문화사,pp224-230(1996)
.───────────────────.p227
.조문제,말하기,듣기 교수,학습의 이론과 방법,교학 연구사,pp329-368(1996)
.──────────────────────────,pp207-225(1996)
.최현섭외 6명,국어교육학 개론,삼지원,p219(1997),재인용
.이응백외3명,국어교육,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pp136-137(1991)
.─────────────────────,pp156-164(1991)
.이철주,국어교육의 연구,인하대학교 출판부,pp114-119(1994)
.───────────────────,p115(1994)
.───────────────────,pp133-134(1994)
.충청남도 교육청,사고력을 기르는 국어과 교육,대한 교과서 주식회사,p215(1994)
.───────────────────────────────,p217(1994)
.───────────────────────────────,p254(1994)
.신헌재외 7명,열린교육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방법,박이정,pp99-184(1996)
.이오덕,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도서출판 보리,p84-88(1993)
.임규홍,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재,한신문화사,pp319-329(1996)
.박영목외 3명, 국어교육학 원론,(주)교학사,p367
.김상희,"국어과 수업 담화분석을 통한 교수 전략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1995,p94
.김혜자,"국민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이화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 청구 논문,'p50(1993)
추천자료
2학년)국어(읽기) <읽기과 교수-학습 과정안> -4. 마음을 주고받으며 : 시에 나타난 마음 알...
2학년)국어(읽기) <읽기과 교수-학습 과정안> - 4.마음을 주고받으며 : 마음을 나타내는 부분...
2학년)국어(읽기) <읽기과 교수-학습 과정안> - 4. 마음을 주고받으며 : 인물의 마음을 생각...
초등6)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 2.나눔과 어울림 (말하기&#8729;듣기&#8729;쓰...
초등6)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 2.나눔과 어울림 (교과서 201~207쪽 (6/9)) : 내 경험과...
초등6)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 5. 마음을 나누며, 2. 나눔과 어울림 (말&#8729;듣&...
초등6)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 5.나눔과 어울림, 2. 나눔과 어울림 (200쪽 (5~6/9)차...
초등6)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 4. 의견을 모아서 (읽기172쪽~177쪽/(9/9)차시) : 주장...
초등6)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 5. 생각을 펼쳐요 (듣기 &#8228; 말하기60~63 ( 3/4...
초등2)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읽기( 5/6 )차시)> 6.의견이 있어요 - 의견이 나...
초등2)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듣말 87~91)>7. 따뜻한 눈길로 - 말의 재미를 느...
초등2)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68 ~ 69)> 6.의견이 있어요 - 내 생각에 알맞은 ...
초등2)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쓰기 70~75쪽 (3/ 4)차시)> 6.의견이 있어요 - ...
초등2)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쓰기 68, 69쪽 ( 2/4 )차시)> 6.의견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