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문학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활활동의 목적 및 목표
1.문학의 구체적인 목표제시
2) 문학활동 내용 선정 및 조직
1.유아에게 적절한 책의 기준
2.문학활동의 내용 선정
1>동화
1.유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할 동화의 선택방법
2,동화의 구연
3)참고문헌

본문내용

가볍게 모아 쥔 상태를 기본으로 한다.
3 제목을 소개하고 약간의 여유를 둔 후 구연을 시작한다.
: 동화 구연을 할 때, 곧바로 동하를 시작하지 말고 먼저 동화 제목을 소개하고 약간 여유를 둔 뒤에 동화의 첫머리를 시작한다.
4 도입부는 여유있으면서도 탄력있게 유도한다.
: 동화의 도입부는 전체 이야기 전개를 이끌어 나갈 분위기를 잡는 부분이므로 지나치게 빠르거나 늘어지지 않도록 유의한다. 이때. 전래동화라면 구수한 느낌으로 시작하고, 동식물이 등장하거나 생활동화라면 산뜻한 기분을 주는 것이 좋다.
5 호흡할 곳을 적절히 조절한다.
: 동화구연은 구연자의 호흡 조절에 따라 대사전달의 힘이 좌우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호흡 조절을 위해서는 동화 원고에 끊어읽기 표시를 해가면서 연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모든 대사는 또박또박 힘주어 전달한다.
: 동화구연시 모든 대사는 힘이 있고 긴장감이 있어야 된다. 아랫배에 힘을 주는 복식호흡 상태에서 발성을 한다면 소리에 힘이 있고 멀리 떨어져 있는 청중에게까지 잘 전달된다.
대사의 전 후에 있는 해설 부분은 대사와 구별되도록 한다.
: 대사 전 후의 해설은 분위기를 고조시키거나 동화를 정돈, 마무리하는 기능이 있다.
표정연기와 제스처를 곁들인다.
: 이야기 전개에 맞게 얼굴의 각도를 바꾸거나 몸짓을 곁들임으로써 청중이 구연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연그과 혼동해서 지나치게 많이 움직이는 것은 삼가야 한다.
각 단어의 의미나 문맥의 상황 등을 충분히 살린다.
: 구연자는 구연을 하기 전에 크게는 상황의 변호, 작게는 단어의 느낌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1 불필요한 습관은 버리고 구연을 자연스럽게 한다.
: '에-', '저-', '응-' 등의 불필요한 언어 습관을 고치려면 우선 책을 크게 읽는 연습을 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해서 들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자연스러운 전달을 위해서 구연자는 본인이 그 상황에 처한 경우를 생각해 보고 바로 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3) 문학의 전달매체 및 교육방법
: 최근에는 유아들이 이야기를 들을 때 효과적인 면을 고려하여 보고, 듣고, 조작해 보도록 하기 위해 매체(그림동호, 입체동화, 인형, 멀티미디어 CD-ROM Title 등)를 다양하게 고안하여 문학 작품을 전달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성인이 창작한 매체가 유아가 문학 작품을 들을 때 신장될 수 있는 상상력의 발달에 한계를 지워 줄 수 도 있다는 단점이 지적되기도 하고, 이야기를 나눌 때 형성될 수 있는 정서적 유대감이 점차 감소되어 간다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유아문학을 전달할 때 활용되는 전달매체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http://rose0.knu.ac.kr/%7Ehome/webzine/data/child_data4.html
http://www.jnjhe.go.kr/info/inf/Lit.htm#1.%20문학과%20유아과학교육
유아문학교육 : 김현희 - 학지사
아동문학교육 : 강문희 - 학지사

키워드

유아,   문학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12.17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