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무가 관련 자료 요약본입니다.
1.무가란?
▶정의
▶무가와 여타문학의 차이
2.무가의 특징
3.무가의 분류
▶무가분류의 필요성
▶서정무가
▶교술무가
▶서사무가
▶희곡무가
1.무가란?
▶정의
▶무가와 여타문학의 차이
2.무가의 특징
3.무가의 분류
▶무가분류의 필요성
▶서정무가
▶교술무가
▶서사무가
▶희곡무가
본문내용
-악기반주에 맞추어 많은 사람들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노래도 들려주므로
∽서사무가의 기원-영고, 동맹, 무천등 고대의 제천의식
-단군제,동명제,혁거 세제등 국조제
∽서사무가의 특징-문학성이 강함
-수용층인 민중의 세계관이 잘 나타나 있음
-등장인물: 매우 평범하고 인간적
-초월적 세계와 현실세계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쉽게 오갈 수
있음
-지상과 현실적 삶을 매우 중시
∽구연방식
-구송창: 악기 반주를 해 주는 조무의 협조가 없이 주무 혼자서 북이나 징을 치며 앉아서 단조로운 가락으로 구송 하는 형태 예) 바리공주, 담금애기
-연희창: 조무의 악기 반주에 맞추어 주무는 서서 부채를 들고 무가 내용을 묘사하는 형용을 몸짓으로 표현해 가면서 말고 노래를 번갈아 가며 구연하는 형태
예)동해안 지역에서 행하는 세습무들의 굿에서 찾을 수 있는데 별신굿에서 전승되 는 '담금애기' '심청' 그리고 오구굿에서 불리는 '바리데기'
희곡무가
∽희곡무가란? '무극' 또는 '굿놀이'를 채록한 무가
∽주요자료
-경기 서울지역: '소놀이굿' '장님놀이' '사자놀이''어둥이놀이'
-동해안지역-'도리강관원놀이''거리굿''중잡이놀이''범굿'
-황해도지역-'사또놀이''사냥굿''도산말명'
-제주도-'세경놀이''영감놀이''전상놀이'
∽굿놀이의 연극적 특징
-별도의 무대장치를 하지 않음
-등장인물에 대한 분장도 관중이 식별할 정도의 특색만 나타내는 정도에 그침
-극의 진행:주무와 반주무의 대화로 전개하는 방식과 둘 이상의 인물이 등장해서 배역을 분담해 대화와 행위로 진행하는 경우
-장면의 전환이 주무의 설명에 따라 관념적으로 이루어지며 작중의 시간과 공간역시 관념적으로 처리됨
-극중의 공간은 실제 굿을 하는 공간과 연결되어 있어 극중인물이 굿판의 관중과대화를 나누기도 함
-생활 속에 감추어진 슬픔과 즐거움을 드러내 주며 남에게 보이기 부끄러운 부분을 특히 과장해서 골계적으로 표현
예)부부의 성생활, 출산장면, 어른을 흉보는 모습
-귀신: 억울하게 죽어간 서민대중의 다양한 모습
이들의 한이 산사람이 하는 일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고 해석
한을 풀어주는 것이 복된 미래를 보장하는 길이라고 생각하고 여러 가지 놀
이를 통해 귀신을 먹이고 즐겁게 놀게 함
참고문헌
강등학 외저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2000
서대석,『한국무가의 연구』,문학사상사,1980
이경엽,『무가문학연구』,박이정,1998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1981
∽서사무가의 기원-영고, 동맹, 무천등 고대의 제천의식
-단군제,동명제,혁거 세제등 국조제
∽서사무가의 특징-문학성이 강함
-수용층인 민중의 세계관이 잘 나타나 있음
-등장인물: 매우 평범하고 인간적
-초월적 세계와 현실세계가 공간적으로 연결되어 쉽게 오갈 수
있음
-지상과 현실적 삶을 매우 중시
∽구연방식
-구송창: 악기 반주를 해 주는 조무의 협조가 없이 주무 혼자서 북이나 징을 치며 앉아서 단조로운 가락으로 구송 하는 형태 예) 바리공주, 담금애기
-연희창: 조무의 악기 반주에 맞추어 주무는 서서 부채를 들고 무가 내용을 묘사하는 형용을 몸짓으로 표현해 가면서 말고 노래를 번갈아 가며 구연하는 형태
예)동해안 지역에서 행하는 세습무들의 굿에서 찾을 수 있는데 별신굿에서 전승되 는 '담금애기' '심청' 그리고 오구굿에서 불리는 '바리데기'
희곡무가
∽희곡무가란? '무극' 또는 '굿놀이'를 채록한 무가
∽주요자료
-경기 서울지역: '소놀이굿' '장님놀이' '사자놀이''어둥이놀이'
-동해안지역-'도리강관원놀이''거리굿''중잡이놀이''범굿'
-황해도지역-'사또놀이''사냥굿''도산말명'
-제주도-'세경놀이''영감놀이''전상놀이'
∽굿놀이의 연극적 특징
-별도의 무대장치를 하지 않음
-등장인물에 대한 분장도 관중이 식별할 정도의 특색만 나타내는 정도에 그침
-극의 진행:주무와 반주무의 대화로 전개하는 방식과 둘 이상의 인물이 등장해서 배역을 분담해 대화와 행위로 진행하는 경우
-장면의 전환이 주무의 설명에 따라 관념적으로 이루어지며 작중의 시간과 공간역시 관념적으로 처리됨
-극중의 공간은 실제 굿을 하는 공간과 연결되어 있어 극중인물이 굿판의 관중과대화를 나누기도 함
-생활 속에 감추어진 슬픔과 즐거움을 드러내 주며 남에게 보이기 부끄러운 부분을 특히 과장해서 골계적으로 표현
예)부부의 성생활, 출산장면, 어른을 흉보는 모습
-귀신: 억울하게 죽어간 서민대중의 다양한 모습
이들의 한이 산사람이 하는 일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고 해석
한을 풀어주는 것이 복된 미래를 보장하는 길이라고 생각하고 여러 가지 놀
이를 통해 귀신을 먹이고 즐겁게 놀게 함
참고문헌
강등학 외저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2000
서대석,『한국무가의 연구』,문학사상사,1980
이경엽,『무가문학연구』,박이정,1998
조동일, 『구비문학의 세계』, 새문사,1981